
With Intent To: ‘할 의도로’ 영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어떤 행동을 할 때 그 뒤에 숨겨진 ‘의도’나 ‘목적’을 명확히 밝히고 싶을 때가 있죠. 하지만 영어로 이 미묘한 뉘앙스를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공식적인 자리나 법적인 맥락에서는 의도를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걱정 마세요! ‘…할 의도로’라는 의미를 전달하는 핵심 표현 ‘with intent to’를 중심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여러분의 의도를 명확하고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방법을 쉽고 체계적으로 알려드릴게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의도 표현의 달인이 되어 보세요!
목차
- With Intent To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1. 일반적인 의도 표현 (General Intentions)
- 2. 강한 의지나 결심 표현 (Strong Will or Determination)
- 3. 공식적 또는 법적 맥락에서의 의도 (Formal or Legal Context)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1. 유사 표현 비교: Intent vs. Purpose vs. Objective vs. Aim vs. Goal
- 2. 법적 맥락에서의 ‘Intent’
- 3. 의도를 나타내는 다른 구문들
- With Intent To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행위자의 ‘의도’ (Intent) 강조
- 2. 특정 ‘행위’ (Action/Verb)와의 연결
- 3. 격식성 및 법적 함의 (Formality and Legal Connotation)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할 의도로’ 표현하기
With Intent To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표현: with intent to [verb]
발음: [위드 인텐트 투 (동사)]
뜻: ~할 의도로, ~할 목적으로
이 표현은 어떤 행동이 특정한 목적이나 의도를 가지고 행해졌음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주로 법률 문서나 공식적인 보고서 등 격식 있는 상황에서 자주 등장하며, 행위자의 마음속 계획이나 목표를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상 대화보다는 조금 더 무게감 있는 상황에서 의도를 명확히 밝혀야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e entered the building with intent to steal.”이라고 하면, 그가 ‘훔칠 의도를 가지고’ 건물에 들어갔다는 의미가 됩니다. 이처럼 ‘with intent to’ 뒤에는 의도하는 행동을 나타내는 동사 원형이 오게 됩니다. 이 표현을 익혀두면 자신의 행동이나 타인의 행동 뒤에 숨은 목적을 설명하거나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할 의도로’라는 의미를 전달하는 표현은 ‘with intent to’ 외에도 다양합니다. 상황과 뉘앙스에 따라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의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영어 문장들을 상황별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1. 일반적인 의도 표현 (General Intentions)
일상적인 대화나 글에서 자신의 계획이나 목적을 설명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I plan to study abroad next year.
발음: [아이 플랜 투 스터디 어브로드 넥스트 이어]
뜻: 저는 내년에 해외 유학 갈 계획이에요. -
표현: She aims to finish the project by Friday.
발음: [쉬 에임즈 투 피니쉬 더 프로젝트 바이 프라이데이]
뜻: 그녀는 금요일까지 프로젝트를 끝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
표현: We intend to launch the new product in June.
발음: [위 인텐드 투 런치 더 뉴 프로덕트 인 준]
뜻: 저희는 6월에 신제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
표현: My purpose in calling you is to ask for your advice.
발음: [마이 퍼포스 인 콜링 유 이즈 투 애스크 포 유어 어드바이스]
뜻: 제가 당신에게 전화한 목적은 조언을 구하기 위해서입니다. -
표현: He is saving money in order to buy a house.
발음: [히 이즈 세이빙 머니 인 오더 투 바이 어 하우스]
뜻: 그는 집을 사기 위해 돈을 모으고 있습니다. (목적 강조) -
표현: They are working hard so as to achieve their goals.
발음: [데이 아 워킹 하드 쏘 애즈 투 어치브 데어 골즈]
뜻: 그들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목적 강조, 다소 격식)
2. 강한 의지나 결심 표현 (Strong Will or Determination)
단순한 계획을 넘어, 반드시 이루고자 하는 강한 의지나 결심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I am determined to pass the exam.
발음: [아이 엠 디터민드 투 패스 디 이그잼]
뜻: 저는 그 시험에 꼭 합격할 작정입니다. -
표현: She resolved to quit smoking.
발음: [쉬 리졸브드 투 큇 스모킹]
뜻: 그녀는 담배를 끊기로 굳게 결심했습니다. -
표현: He is committed to improving his English skills.
발음: [히 이즈 커미티드 투 임프루빙 히즈 잉글리시 스킬즈]
뜻: 그는 자신의 영어 실력 향상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헌신적인 의지) -
표현: They swore to seek revenge.
발음: [데이 스웨어 투 씩 리벤지]
뜻: 그들은 복수를 맹세했습니다. -
표현: We are set on winning this competition.
발음: [위 아 셋 온 위닝 디스 컴페티션]
뜻: 우리는 이 대회에서 우승하기로 마음을 정했습니다.
3. 공식적 또는 법적 맥락에서의 의도 (Formal or Legal Context)
법률, 계약, 공식 발표 등 격식 있는 상황에서 의도를 명확히 밝힐 때 주로 사용되는 표현들입니다. ‘with intent to’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
표현: The defendant acted with intent to cause harm.
발음: [더 디펜던트 액티드 위드 인텐트 투 코즈 함]
뜻: 피고는 해를 가할 의도로 행동했습니다. (법적) -
표현: The company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new technologies.
발음: [더 컴퍼니 워즈 이스태블리쉬드 포 더 퍼포스 오브 디벨로핑 뉴 테크놀로지스]
뜻: 그 회사는 신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공식적) -
표현: This agreement is entered into with the objective of fostering cooperation.
발음: [디스 어그리먼트 이즈 엔터드 인투 위드 디 오브젝티브 오브 포스터링 코오퍼레이션]
뜻: 본 합의는 협력 증진을 목표로 체결되었습니다. (계약) -
표현: He made the statement with the express intention of clarifying his position.
발음: [히 메이드 더 스테이트먼트 위드 디 익스프레스 인텐션 오브 클래리파잉 히즈 포지션]
뜻: 그는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하려는 분명한 의도를 가지고 그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명시적 의도) -
표현: The legislation was drafted with a view to protecting consumers.
발음: [더 레지슬레이션 워즈 드래프티드 위드 어 뷰 투 프로텍팅 컨슈머스]
뜻: 그 법안은 소비자를 보호할 목적으로 입안되었습니다. (목표 지향)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with intent to’와 관련 표현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포인트들을 기억하면 여러분의 의도를 더욱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상황에 맞는 격식 수준 선택: ‘with intent to’는 다소 격식 있고 법적인 뉘앙스를 가집니다. 친구와의 대화에서는 ‘I’m planning to…’나 ‘I want to…’ 같은 좀 더 편한 표현이 자연스럽습니다. 반면, 공식적인 문서나 발표에서는 ‘with intent to’, ‘for the purpose of’, ‘with the objective of’ 등이 적합합니다. 상황과 대상에 따라 표현의 격식 수준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Intent’ vs. ‘Intention’: ‘Intent’는 주로 법률 용어로서 구체적인 행위를 하려는 ‘의도’나 ‘고의’를 의미하며, 단수 형태로 많이 쓰입니다. ‘Intention’은 일반적인 ‘의도’, ‘의향’, ‘목적’을 의미하며, 복수 형태(intentions)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He had no intent to harm” (해를 가할 의도는 없었다 – 법적 뉘앙스)와 “What are your intentions for the future?” (미래에 대한 당신의 계획/의향은 무엇인가요? – 일반적) 처럼 구분될 수 있습니다.
- ‘To + 동사원형’ 구조 확인: ‘with intent to’, ‘plan to’, ‘aim to’, ‘intend to’, ‘in order to’, ‘so as to’ 등 대부분의 의도 표현 뒤에는 동사 원형이 옵니다. 예를 들어, “with intent to stealing”이 아니라 “with intent to steal”이 올바른 형태입니다. 단, ‘be committed to’, ‘look forward to’, ‘with a view to’ 뒤에는 동명사(~ing)가 오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예: “committed to improving”, “with a view to protecting”)
- 명확성 강조: 의도를 전달할 때는 모호함 없이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비즈니스나 법적 상황에서는 오해의 소지를 없애야 합니다. 필요하다면 ‘express intention'(명백한 의도), ‘clear purpose'(분명한 목적)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의도를 더욱 분명히 할 수 있습니다.
- 긍정적/부정적 뉘앙스 고려: ‘with intent to’는 중립적인 표현이지만, 뒤따르는 동사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with intent to help”(도울 의도로)는 긍정적이지만, “with intent to deceive”(속일 의도로)는 부정적입니다. 문맥 속에서 표현이 어떤 뉘앙스를 가지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유사 표현과의 차이 이해: ‘in order to’나 ‘so as to’는 ‘목적’을 강조하는 반면, ‘with intent to’는 행위자의 ‘의도’ 자체에 초점을 맞춥니다. ‘for the purpose of’는 좀 더 공식적인 문서에서 목적을 명시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이러한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면 더욱 정교한 영어 구사가 가능해집니다.
- 실제 사용 예시 참고: 뉴스 기사, 법률 문서, 공식 연설문 등에서 ‘with intent to’나 관련 표현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찾아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실제 사용 사례를 통해 표현의 정확한 쓰임새와 뉘앙스를 익힐 수 있습니다. 다양한 예문을 접하며 감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상황 설명: 두 동료 Alex(A)와 Ben(B)이 최근 회사 기밀 정보 유출 미수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용의자는 특정 정보를 빼내 경쟁사에 넘기려 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습니다.
-
표현: A: Did you hear about the security breach attempt last night? They caught someone trying to access the server room.
발음: [디쥬 히어 어바웃 더 시큐리티 브리치 어템트 라스트 나잇? 데이 콧 섬원 트라잉 투 액세스 더 서버 룸.]
뜻: 어젯밤 보안 침입 시도에 대해 들었어요? 누군가 서버실에 접근하려다 잡혔대요. -
표현: B: Yes, I read the internal memo. It’s quite shocking. Do they know why he did it?
발음: [예스, 아이 레드 디 인터널 메모. 잇츠 콰잇 쇼킹. 두 데이 노우 와이 히 디드 잇?]
뜻: 네, 내부 메모 읽었어요. 꽤 충격적이네요. 그 사람이 왜 그랬는지 아나요? -
표현: A: The initial report suggests he entered the restricted area with intent to steal confidential project files.
발음: [디 이니셜 리포트 서제스츠 히 엔터드 더 리스트릭티드 에어리아 위드 인텐트 투 스틸 컨피덴셜 프로젝트 파일즈.]
뜻: 초기 보고서에 따르면, 그는 기밀 프로젝트 파일을 훔칠 의도로 제한 구역에 들어갔다고 해요. -
표현: B: With intent to steal? That’s serious. Was he planning to sell them to a competitor?
발음: [위드 인텐트 투 스틸? 대츠 시리어스. 워즈 히 플래닝 투 셀 뎀 투 어 컴페티터?]
뜻: 훔칠 의도로요? 심각하네요. 경쟁사에 팔 계획이었을까요? -
표현: A: It seems likely. They found encrypted communications on his laptop discussing potential buyers. He clearly acted with the purpose of financial gain.
발음: [잇 심즈 라이클리. 데이 파운드 인크립티드 커뮤니케이션즈 온 히즈 랩탑 디스커싱 포텐셜 바이어즈. 히 클리얼리 액티드 위드 더 퍼포스 오브 파이낸셜 게인.]
뜻: 그럴 가능성이 높아 보여요. 그의 노트북에서 잠재 구매자와 논의하는 암호화된 통신 기록을 발견했대요. 그는 명백히 금전적 이득을 목적으로 행동했어요. -
표현: B: Unbelievable. I always thought he was a dedicated employee. It’s hard to believe he would do something like this.
발음: [언빌리버블. 아이 올웨이즈 똣 히 워즈 어 데디케이티드 엠플로이. 잇츠 하드 투 빌리브 히 우드 두 썸띵 라이크 디스.]
뜻: 믿을 수가 없네요. 항상 헌신적인 직원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런 일을 저지를 거라고는 믿기 어려워요. -
표현: A: Me too. But the evidence seems quite strong. The security team said he bypassed several security protocols, seemingly in order to cover his tracks.
발음: [미 투. 벗 디 에비던스 심즈 콰잇 스트롱. 더 시큐리티 팀 세드 히 바이패스드 세버럴 시큐리티 프로토콜즈, 시밍리 인 오더 투 커버 히즈 트랙스.]
뜻: 저도요. 하지만 증거가 꽤 확실해 보여요. 보안팀 말로는 그가 자신의 흔적을 감추기 위해 여러 보안 절차를 우회했다고 하더군요. -
표현: B: What happens now? Will the company press charges?
발음: [왓 해픈즈 나우? 윌 더 컴퍼니 프레스 차지즈?]
뜻: 이제 어떻게 되나요? 회사에서 고소할까요? -
표현: A: I assume so. Given that he acted deliberately with intent to cause significant damage to the company, they’ll likely pursue legal action.
발음: [아이 어슘 쏘. 기븐 댓 히 액티드 딜리버러틀리 위드 인텐트 투 코즈 시그니피컨트 대미지 투 더 컴퍼니, 데일 라이클리 퍼슈 리걸 액션.]
뜻: 그럴 것 같아요. 그가 회사에 상당한 손해를 입힐 의도로 고의적으로 행동했기 때문에, 법적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아요. -
표현: B: It’s a stark reminder to be vigilant about internal security. We need to ensure our systems are robust enough to prevent future incidents.
발음: [잇츠 어 스탁 리마인더 투 비 비질런트 어바웃 인터널 시큐리티. 위 니드 투 인슈어 아워 시스템즈 아 로버스트 이너프 투 프리벤트 퓨처 인시던츠.]
뜻: 내부 보안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냉혹한 교훈이네요. 향후 사건을 방지하기 위해 우리 시스템이 충분히 견고한지 확인해야 해요.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with intent to steal’: 이 대화의 핵심 표현입니다. ‘훔칠 의도/목적을 가지고’라는 의미로, 용의자의 행동 뒤에 숨겨진 불법적인 목적을 명확히 나타냅니다. 법적인 맥락이나 심각한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with the purpose of financial gain’: ‘금전적 이득을 목적으로’라는 의미입니다. ‘with intent to’와 유사하지만, ‘purpose’는 조금 더 일반적인 ‘목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용의자의 동기를 설명합니다.
- ‘in order to cover his tracks’: ‘자신의 흔적/행적을 감추기 위해’라는 뜻입니다. ‘in order to’는 ‘~하기 위하여’라는 목적을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인 표현 중 하나입니다.
- ‘acted deliberately with intent to cause significant damage’: ‘회사에 상당한 손해를 입힐 의도로 고의적으로 행동했다’는 의미입니다. ‘deliberately'(고의적으로)를 추가하여 의도성을 더욱 강조하고, ‘with intent to’를 사용하여 그 구체적인 의도(손해 유발)를 명시했습니다.
- 뉘앙스 차이: 대화에서 ‘with intent to’, ‘with the purpose of’, ‘in order to’가 모두 목적이나 의도를 나타내지만, ‘with intent to’는 특히 법적 책임이나 비난 가능성이 있는 행위의 ‘고의성’을 강조하는 데 더 적합하게 사용되었습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with intent to’ 외에도 의도나 목적을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들이 있으며, 각각의 뉘앙스와 사용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관련 표현들을 더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1. 유사 표현 비교: Intent vs. Purpose vs. Objective vs. Aim vs. Goal
이 단어들은 모두 ‘의도’나 ‘목적’과 관련 있지만, 미묘한 의미 차이가 있습니다.
- Intent: 주로 특정 행동을 하려는 마음속의 계획이나 의지, 특히 법적인 맥락에서 ‘고의’를 의미합니다. (예: criminal intent – 범죄 의도)
- Purpose: 어떤 행동을 하는 이유나 그것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결과입니다. ‘Intent’보다 일반적이며, 존재 이유나 기능(raison d’être)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 The purpose of the meeting is to discuss the budget. – 회의의 목적은 예산을 논의하는 것입니다.)
- Objective: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나 목적입니다. 종종 계획이나 프로젝트의 일부로 설정됩니다. (예: Our primary objective is to increase sales by 10%. – 우리의 주요 목표는 매출을 10% 늘리는 것입니다.)
- Aim: 일반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나 방향성을 나타냅니다. ‘Objective’보다 덜 구체적일 수 있습니다. (예: Her aim is to become a doctor. – 그녀의 목표는 의사가 되는 것입니다.)
- Goal: 장기적이거나 궁극적으로 이루고 싶은 목표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im’과 유사하지만 더 크고 중요한 목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 My long-term goal is to retire early. – 나의 장기 목표는 조기 은퇴하는 것입니다.)
이 단어들을 사용한 표현들, 가령 ‘for the purpose of + -ing’, ‘with the objective of + -ing’, ‘with the aim of + -ing’ 등은 ‘with intent to + 동사원형’과 유사한 의미를 전달하지만, 강조점이나 격식 수준에서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or the purpose of’는 공식적인 문서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2. 법적 맥락에서의 ‘Intent’
법률에서 ‘intent’는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범죄 성립 여부를 판단할 때 행위자의 ‘고의성’ 즉, ‘intent’가 있었는지가 핵심 요소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Specific Intent: 특정 범죄 결과를 발생시키려는 구체적인 의도입니다. 예를 들어, 1급 살인죄가 성립하려면 ‘살해하려는 구체적인 의도(specific intent to kill)’가 입증되어야 할 수 있습니다.
- General Intent: 불법적인 행위 자체를 하려는 일반적인 의도입니다. 행위의 결과까지 구체적으로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그 행위가 불법임을 인지하고 행했다면 일반적인 의도가 인정될 수 있습니다. 폭행죄 등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 Malice Aforethought: 주로 살인죄와 관련하여 사용되며, ‘예모(豫謀)’, 즉 사전에 계획된 악의나 살의를 의미합니다.
- Mens Rea: ‘범죄 의사’ 또는 ‘유책한 정신 상태’를 의미하는 라틴어 법률 용어입니다. 범죄가 성립하기 위한 주관적 요건으로, ‘intent’는 ‘mens rea’의 한 형태입니다.
따라서 ‘with intent to’ 구문은 법정 진술, 기소장, 판결문 등에서 피고인의 정신 상태와 행위의 고의성을 명확히 기술하기 위해 빈번하게 사용됩니다. “The suspect entered the bank with intent to commit robbery.” (용의자는 강도 행위를 할 의도로 은행에 들어갔다.) 와 같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일상 대화에서 이 표현을 사용할 때는 이러한 법적인 함의를 인지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의도를 나타내는 다른 구문들
‘with intent to’ 외에도 목적이나 의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구문들이 있습니다.
- So that + 주어 + can/will/may + 동사: ‘~하기 위해서’라는 목적을 나타내는 절을 이끕니다. “She is studying hard so that she can pass the exam.” (그녀는 시험에 합격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
- For + 명사/동명사: ‘~을 위해’라는 목적을 나타냅니다. “This tool is for cutting paper.” (이 도구는 종이를 자르기 위한 것이다.) “He went out for a walk.” (그는 산책하러 나갔다.)
- To + 동사원형 (부사적 용법 – 목적):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목적 표현입니다. “I went to the library to borrow some books.” (나는 책을 좀 빌리기 위해 도서관에 갔다.)
- Lest + 주어 + (should) + 동사원형: ‘~하지 않도록’이라는 부정적인 목적을 나타내는 다소 문어적인 표현입니다. “He spoke quietly lest anyone (should) overhear.” (그는 누가 엿듣지 않도록 조용히 말했다.)
이러한 다양한 표현들을 익혀두면 문맥에 따라 가장 적절하고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의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with intent to’는 특정 상황, 특히 행위자의 ‘고의성’을 강조하거나 격식 있는 맥락에서 유용하지만, 다른 표현들도 함께 알아두는 것이 영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With Intent To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with intent to’ 구문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이 표현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을 세부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 요소들을 이해하면 표현의 의미와 사용법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1. 행위자의 ‘의도’ (Intent) 강조
이 구문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행위자의 ‘의도’ 또는 ‘목적’을 명확히 밝히는 것입니다. 단순히 어떤 행동을 했다는 사실을 넘어, 그 행동 이면에 있는 정신적인 상태, 즉 ‘무엇을 하려고 했는가’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는 특히 결과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행위의 동기가 중요한 상황에서 의미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He possessed the tools with intent to break in” (그는 침입할 의도로 도구를 소지했다) 라는 문장은, 실제로 침입하지 않았더라도 불법적인 의도가 있었음을 강조합니다. 이처럼 ‘intent’는 행위의 법적, 도덕적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단순한 계획(plan)이나 희망(hope)을 넘어서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적극적인 마음 상태를 시사합니다.
2. 특정 ‘행위’ (Action/Verb)와의 연결
‘with intent to’ 다음에는 반드시 의도된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 원형이 따라옵니다. 이는 의도가 막연한 생각이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과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with intent to steal’, ‘with intent to deceive’, ‘with intent to help’ 등 어떤 동사가 오느냐에 따라 전체 문장의 의미와 뉘앙스가 결정됩니다. 이 동사는 의도의 내용을 구체화하는 역할을 하며, 문맥 속에서 행위자가 궁극적으로 무엇을 목표했는지를 명확하게 전달합니다. 따라서 ‘to’ 뒤에 오는 동사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문장 이해의 핵심입니다. 이 구조는 의도와 그 의도가 향하는 구체적인 행동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 고리를 만들어 줍니다.
3. 격식성 및 법적 함의 (Formality and Legal Connotation)
앞서 언급했듯이, ‘with intent to’는 일상적인 구어체보다는 격식 있는 문어체나 공식적인 발언, 특히 법률 관련 맥락에서 더 자주 사용됩니다. 이는 이 표현이 행위의 ‘고의성’을 입증하거나 주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법정, 경찰 보고서, 계약서 등에서는 행위자의 의도를 명확히 규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므로 이 표현이 선호됩니다. 따라서 친구에게 “I went to the cafe with intent to meet you.”라고 말하는 것은 다소 어색하고 과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I went to the cafe to meet you.” 또는 “I intended to meet you at the cafe.”가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이 표현을 사용할 때는 상황의 격식 수준과 법적인 뉘앙스를 고려해야 합니다. 잘못 사용하면 의도치 않게 상황을 너무 심각하게 만들거나 부자연스러운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할 의도로’ 표현하기
자, 이제 ‘with intent to’라는 표현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언제 사용되는지, 그리고 이와 유사한 다른 표현들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금 더 명확하게 이해되셨을 거예요! 처음에는 조금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 표현은 여러분의 의도나 목적을, 특히 공식적이거나 중요한 상황에서, 아주 명확하게 전달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답니다. 법적인 문서나 뉴스 기사에서 이 표현을 마주쳤을 때 더 이상 당황하지 않고 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셨기를 바랍니다!
물론 ‘with intent to’만 고집할 필요는 없어요. 오늘 함께 살펴본 ‘plan to’, ‘aim to’, ‘in order to’, ‘for the purpose of’ 등 다양한 표현들을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죠. 친구와의 약속을 이야기할 때는 가볍게 ‘I’m planning to…’라고 말하고, 중요한 프로젝트의 목표를 설명할 때는 ‘Our objective is to…’나 ‘We aim to…’를 사용하는 식으로 말이에요. 핵심은 여러분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의 뉘앙스와 상황의 격식 수준에 가장 잘 맞는 표현을 선택하는 감각을 기르는 것이랍니다!
다음 단계 제안:
- 오늘 배운 표현들이 사용된 실제 영어 뉴스 기사나 법률 관련 글(요약본이나 해설)을 찾아 읽어보세요. 실제 문맥 속에서 표현이 어떻게 쓰이는지 확인하면 이해도가 훨씬 높아질 거예요.
- 자신이 최근에 했던 행동이나 앞으로 할 계획에 대해 ‘with intent to’ 또는 다른 의도 표현을 사용하여 영어 문장을 직접 만들어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예를 들어, “I studied English hard last night with intent to pass the upcoming test.” 처럼요!
실천 계획 제안:
- 매일 1개씩 의도 표현 문장 만들기: 하루에 하나씩이라도 오늘 배운 표현(‘with intent to’, ‘intend to’, ‘aim to’ 등)을 사용하여 자신의 계획이나 의도에 대한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 상황극 연습: 친구나 스터디 파트너와 함께 공식적인 상황(예: 회의, 발표)과 비공식적인 상황(예: 친구와의 대화)을 설정하고, 각 상황에 맞는 의도 표현을 사용해보는 역할극을 해보세요.
- 피드백 구하기: 자신이 만든 문장이나 연습한 대화를 원어민 친구나 선생님에게 보여주고 자연스러운지, 의미 전달은 명확한지 피드백을 받아보세요.
영어 공부는 꾸준함이 중요해요!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꾸준히 연습하고 실제 대화나 글쓰기에서 사용해보려는 노력을 한다면, 머지않아 자신의 의도를 영어로 자신감 있고 정확하게 표현하는 여러분을 발견하게 될 거예요. 포기하지 마시고 즐겁게 영어 공부 계속해나가시길 응원합니다!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