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ek after week vs. Weekly: 정확히 알고 쓰는 주간 반복 영어 표현
매주 반복되는 일정을 영어로 말하려 할 때 “week after week”와 “weekly” 중 어떤 표현을 써야 할지 헷갈리셨나요? 비슷해 보이지만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있어 잘못 사용하면 어색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혹시 “매주 회의가 있어요”를 영어로 말하려다 머뭇거린 경험이 있으신가요? 걱정 마세요! 이 글을 통해 “week after week”와 “weekly”의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을 배우고, 다양한 주간 반복 상황에 맞는 영어 표현까지 마스터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저와 함께 주간 반복 표현의 달인이 되어 보세요!
목차
“Week after week”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주간 반복을 나타내는 여러 표현 중, 특정 뉘앙스를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핵심 표현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
표현: week after week
발음: [위크 애프터 위크]
뜻: 매주, 주마다 (반복이나 지겨움을 강조)
이 표현은 단순히 ‘매주’라는 사실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어떤 행위나 상태가 끊임없이, 때로는 지겨울 정도로 매주 반복된다는 느낌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긍정적인 상황보다는 반복되는 일상이나 변함없는 상황에 대한 감정을 나타낼 때 더 자주 쓰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주 똑같은 불평을 듣는 상황이나, 변함없이 매주 같은 장소에 가는 상황 등을 묘사할 때 효과적입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week after week”와 “weekly”를 포함하여 주간 반복을 나타내는 다양한 영어 표현들을 상황별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각 표현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고 적절한 상황에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기본적인 주간 반복 표현 (General Weekly Actions)
가장 일반적으로 ‘매주’ 일어나는 일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I have a team meeting weekly.
발음: [아이 해브 어 팀 미팅 위클리]
뜻: 저는 매주 팀 회의가 있습니다. -
표현: We submit our reports every week.
발음: [위 서브밋 아워 리포츠 에브리 위크]
뜻: 우리는 매주 보고서를 제출합니다. -
표현: The newsletter is sent out once a week.
발음: [더 뉴스레터 이즈 센트 아웃 원스 어 위크]
뜻: 뉴스레터는 일주일에 한 번 발송됩니다. -
표현: She attends her yoga class on a weekly basis.
발음: [쉬 어텐즈 허 요가 클래스 온 어 위클리 베이시스]
뜻: 그녀는 매주 요가 수업에 참석합니다. (다소 격식 있는 표현) -
표현: Do you get paid weekly or monthly?
발음: [두 유 겟 페이드 위클리 오어 먼슬리?]
뜻: 당신은 주급으로 받나요, 월급으로 받나요?
2. 반복과 지속성을 강조하는 표현 (Emphasizing Repetition/Continuity)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반복되는 행위의 꾸준함이나 때로는 지겨움을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
표현: He complains about the same thing week after week.
발음: [히 컴플레인즈 어바웃 더 세임 띵 위크 애프터 위크]
뜻: 그는 매주 똑같은 것에 대해 불평합니다. (지겨움의 뉘앙스) -
표현: Week in, week out, the market trends remain the same.
발음: [위크 인, 위크 아웃, 더 마켓 트렌즈 리메인 더 세임]
뜻: 매주 변함없이 시장 동향은 동일합니다. (단조로운 반복 강조) -
표현: They practiced diligently, week after week, to prepare for the competition.
발음: [데이 프랙티스드 딜리전틀리, 위크 애프터 위크, 투 프리페어 포 더 컴피티션]
뜻: 그들은 대회를 준비하기 위해 매주 꾸준히 열심히 연습했습니다. (꾸준함 강조) -
표현: The volunteers show up week after week, regardless of the weather.
발음: [더 발룬티어즈 쇼 업 위크 애프터 위크, 리가들리스 오브 더 웨더]
뜻: 자원봉사자들은 날씨에 상관없이 매주 꾸준히 나옵니다. (헌신적인 반복 강조) -
표현: It feels like we have the same argument week in, week out.
발음: [잇 필즈 라이크 위 해브 더 세임 아규먼트 위크 인, 위크 아웃]
뜻: 우리는 매주 똑같은 논쟁을 하는 것 같아요. (지겨움, 단조로움 강조)
3. 특정 요일이나 빈도를 나타내는 표현 (Specific Days or Frequency)
매주 특정 요일에 반복되는 활동이나, 주 단위의 빈도를 구체적으로 명시할 때 사용합니다.
-
표현: We have our project meeting every Tuesday.
발음: [위 해브 아워 프로젝트 미팅 에브리 튜즈데이]
뜻: 우리는 매주 화요일에 프로젝트 회의를 합니다. -
표현: The library is closed on Sundays.
발음: [더 라이브러리 이즈 클로즈드 온 선데이즈]
뜻: 도서관은 매주 일요일에 휴관합니다. (요일 앞에 ‘on’ 사용) -
표현: I go grocery shopping twice a week.
발음: [아이 고 그로서리 쇼핑 트와이스 어 위크]
뜻: 저는 일주일에 두 번 장을 봅니다. -
표현: He visits his parents every other week.
발음: [히 비짓츠 히즈 페어런츠 에브리 아더 위크]
뜻: 그는 격주로 부모님을 방문합니다. (2주에 한 번) -
표현: This event happens three times a week during the summer.
발음: [디스 이벤트 해픈즈 쓰리 타임즈 어 위크 듀링 더 서머]
뜻: 이 행사는 여름 동안 일주일에 세 번 열립니다.
4. 격식 있는 상황이나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표현 (Formal/Business Contexts)
업무 보고나 공식적인 문서 등에서 주간 반복을 언급할 때 사용될 수 있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The committee convenes on a weekly basis.
발음: [더 커미티 컨빈즈 온 어 위클리 베이시스]
뜻: 위원회는 매주 소집됩니다. -
표현: Weekly progress reports are mandatory for all team members.
발음: [위클리 프로그레스 리포츠 아 맨더토리 포 올 팀 멤버즈]
뜻: 주간 진행 보고서는 모든 팀원에게 의무적입니다. -
표현: Please ensure the data is updated weekly.
발음: [플리즈 인슈어 더 데이터 이즈 업데이트드 위클리]
뜻: 데이터가 매주 업데이트되도록 해주십시오. -
표현: A weekly review of performance metrics will be conducted.
발음: [어 위클리 리뷰 오브 퍼포먼스 메트릭스 윌 비 컨덕티드]
뜻: 성과 지표에 대한 주간 검토가 실시될 것입니다. -
표현: The department holds its staff meeting every Friday morning.
발음: [더 디파트먼트 홀즈 잇츠 스태프 미팅 에브리 프라이데이 모닝]
뜻: 그 부서는 매주 금요일 오전에 직원 회의를 엽니다.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week after week”와 “weekly”를 포함한 주간 반복 표현들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려드립니다.
1. “Weekly” vs. “Every week”: 이 두 표현은 대부분의 경우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으며 ‘매주’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Weekly”는 부사 또는 형용사로 사용될 수 있고 (예: a weekly meeting, update weekly), “every week”는 부사구로 주로 문장 끝이나 앞에 위치합니다. “Weekly”가 약간 더 간결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 go swimming weekly” 또는 “I go swimming every week” 모두 가능합니다.
2. “Week after week”의 뉘앙스 파악: 이 표현은 단순한 빈도수 이상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지루함, 단조로움, 혹은 반대로 꾸준함과 끈기를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하세요. “He practices the piano week after week”는 그의 꾸준한 노력을 보여주는 반면, “He makes the same mistake week after week”는 반복되는 실수에 대한 답답함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 특정 요일 반복은 “on + 요일(복수형)” 또는 “every + 요일(단수형)”: 매주 특정 요일에 일어나는 일을 말할 때는 “on Mondays” (매주 월요일마다) 또는 “every Monday” (매주 월요일) 형식을 사용합니다. “We have a meeting on Tuesdays”와 “We have a meeting every Tuesday”는 같은 의미입니다. 복수형 요일 앞에는 ‘on’을 붙이는 것을 잊지 마세요.
4. 빈도 부사 활용: “always”, “usually”, “often”, “sometimes”, “rarely”, “never”와 같은 빈도 부사를 함께 사용하여 주간 활동의 빈도를 더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I usually go to the gym weekly” (나는 보통 매주 헬스장에 간다) 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Once a week”, “Twice a week” 등 구체적인 횟수 명시: 일주일에 몇 번 하는지를 정확히 말하고 싶을 때는 “once a week” (일주일에 한 번), “twice a week” (일주일에 두 번), “three times a week” (일주일에 세 번) 등을 사용합니다. “How often do you exercise?” (얼마나 자주 운동하세요?) 라는 질문에 “I exercise three times a week” (일주일에 세 번 운동해요) 라고 답할 수 있습니다.
6. 격식 수준 고려: “On a weekly basis”는 “weekly”나 “every week”보다 다소 격식 있는 표현입니다. 비즈니스 이메일이나 보고서 등 공식적인 글쓰기나 발표에서 사용하면 적절합니다. 일상 대화에서는 “weekly”나 “every week”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7. “Week in, week out”의 의미: 이 표현은 “week after week”와 유사하게 변함없는 반복, 특히 단조롭거나 지겨운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Week in, week out, he does the same routine.” (매주 변함없이 그는 똑같은 일상을 반복한다.) 와 같이 쓰일 수 있습니다.
이 포인트들을 기억하고 연습하면, 다양한 주간 반복 상황을 영어로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팀 주간 회의 일정 논의
상황 설명: 팀 리더인 Alex(A)와 팀원인 Ben(B)이 정기적으로 열리는 주간 팀 회의의 효율성과 일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
표현: A: Ben, can we chat for a moment about our weekly team meeting?
발음: [벤, 캔 위 챗 포 어 모멘트 어바웃 아워 위클리 팀 미팅?]
뜻: Ben, 우리 주간 팀 회의에 대해 잠시 이야기할 수 있을까요? -
표현: B: Sure, Alex. What’s on your mind? Is there an issue with the current schedule?
발음: [슈어, 알렉스. 왓츠 온 유어 마인드? 이즈 데어 언 이슈 위드 더 커런트 스케줄?]
뜻: 그럼요, Alex. 무슨 일이신가요? 현재 일정에 문제가 있나요? -
표현: A: Not exactly an issue, but I’ve been thinking maybe meeting every week is a bit much, especially when we don’t always have major updates.
발음: [낫 이그잭틀리 언 이슈, 벗 아이브 빈 띵킹 메이비 미팅 에브리 위크 이즈 어 빗 머치, 이스페셜리 웬 위 돈트 올웨이즈 해브 메이저 업데이트.]
뜻: 꼭 문제는 아니지만, 매주 만나는 것이 좀 과한 것 같다는 생각을 해봤어요. 특히 항상 주요 업데이트가 있는 것은 아니잖아요. -
표현: B: I see your point. Sometimes it feels like we’re meeting just for the sake of meeting, week after week.
발음: [아이 씨 유어 포인트. 섬타임즈 잇 필즈 라이크 위아 미팅 저스트 포 더 세이크 오브 미팅, 위크 애프터 위크.]
뜻: 무슨 말씀이신지 알겠어요. 가끔은 그냥 만나기 위해 만나는 것처럼 느껴질 때도 있어요, 매주 말이죠. -
표현: A: Exactly. I was wondering if perhaps meeting every other week, or bi-weekly, might be more productive.
발음: [이그잭틀리. 아이 워즈 원더링 이프 퍼햅스 미팅 에브리 아더 위크, 오어 바이-위클리, 마이트 비 모어 프로덕티브.]
뜻: 맞아요. 혹시 격주로, 즉 2주에 한 번씩 만나는 것이 더 생산적이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
표현: B: Bi-weekly could work. That would give us more time to make substantial progress on tasks between meetings.
발음: [바이-위클리 쿠드 워크. 댓 우드 기브 어스 모어 타임 투 메이크 섭스탠셜 프로그레스 온 태스크스 비트윈 미팅즈.]
뜻: 격주도 괜찮을 것 같아요. 그러면 회의 사이에 업무에 상당한 진전을 이룰 시간이 더 많아질 거예요. -
표현: A: My thoughts exactly. We can still have quick check-ins via email or chat weekly if needed, but reserve the formal meeting for substantial discussions.
발음: [마이 똣츠 이그잭틀리. 위 캔 스틸 해브 퀵 첵-인즈 바이아 이메일 오어 챗 위클리 이프 니디드, 벗 리저브 더 포멀 미팅 포 섭스탠셜 디스커션즈.]
뜻: 제 생각도 정확히 그래요. 필요하다면 매주 이메일이나 채팅으로 간단히 확인할 수 있고, 공식 회의는 실질적인 논의를 위해 남겨두는 거죠. -
표현: B: That sounds like a good balance. Should we propose this change to the rest of the team?
발음: [댓 사운즈 라이크 어 굿 밸런스. 슈드 위 프로포즈 디스 체인지 투 더 레스트 오브 더 팀?]
뜻: 좋은 균형인 것 같네요. 이 변경 사항을 나머지 팀원들에게 제안할까요? -
표현: A: Yes, let’s bring it up in this week’s meeting. We’ll explain the reasoning and see how everyone feels about adjusting our weekly routine.
발음: [예스, 렛츠 브링 잇 업 인 디스 위크스 미팅. 윌 익스플레인 더 리즈닝 앤 씨 하우 에브리원 필즈 어바웃 어저스팅 아워 위클리 루틴.]
뜻: 네, 이번 주 회의에서 이야기해 봅시다. 이유를 설명하고 모두가 우리의 주간 루틴을 조정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보죠. -
표현: B: Sounds like a plan. Hopefully, this change will make our collaboration even more efficient than meeting week in, week out without fail.
발음: [사운즈 라이크 어 플랜. 호프풀리, 디스 체인지 윌 메이크 아워 컬래버레이션 이븐 모어 이피션트 댄 미팅 위크 인, 위크 아웃 위드아웃 페일.]
뜻: 좋은 계획이네요. 이 변화가 틀림없이 매주 꼬박꼬박 만나는 것보다 우리의 협업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만들어 주기를 바랍니다.
회화 포인트 및 문화적 팁:
1. 제안의 정중함: Alex는 “maybe meeting every week is a bit much”나 “I was wondering if perhaps…” 와 같이 부드럽고 간접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회의 빈도 변경을 제안합니다. 이는 직접적인 비판보다는 개선을 위한 제안이라는 인상을 줍니다.
2. 공감 표현: Ben은 “I see your point”라고 말하며 Alex의 의견에 공감하고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건설적인 대화를 이끌어가는 데 중요합니다.
3. “Week after week” 사용: Ben이 “week after week”를 사용하며 회의가 때로는 목적 없이 반복되는 것처럼 느껴진다는 점을 표현합니다. 이는 약간의 지겨움이나 비효율성에 대한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4. 대안 제시: “Every other week” (격주) 와 “bi-weekly” (2주마다)는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주간 회의의 대안으로 자주 제시됩니다.
5. “Bring it up”: “Let’s bring it up in this week’s meeting”은 ‘회의에서 (안건으로) 제기하다/꺼내다’라는 의미의 자연스러운 구어 표현입니다.
복잡한 표현 분석:
1. just for the sake of meeting: ‘단지 만나기 위해서’, 즉 실질적인 목적이나 필요 없이 형식적으로 만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for the sake of ~”는 ‘~을 위해서’라는 뜻입니다.
2. substantial progress/discussions: ‘상당한 진전/실질적인 논의’를 의미합니다. “Substantial”은 양이나 중요도가 상당함을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3. week in, week out without fail: ‘매주 어김없이’, ‘한 주도 빠짐없이 꼬박꼬박’이라는 의미로, 변함없는 꾸준한 반복을 강조합니다. 여기서는 약간 기계적이거나 비효율적인 반복이라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내포할 수 있습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주간 반복 표현 외에도 시간의 반복과 빈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과 개념을 알아두면 영어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1. 다른 시간 단위 반복 표현 (Daily, Monthly, Annually)
‘매주’ 외에 다른 시간 단위의 반복을 나타내는 표현들도 함께 알아두면 유용합니다. 기본 구조는 유사합니다.
* Daily (매일): “I check my emails daily.” (나는 매일 이메일을 확인한다.) / “We have a daily stand-up meeting.” (우리는 매일 스탠드업 미팅을 한다.) / “He exercises every day.” (그는 매일 운동한다.) / “Day after day, the routine remained the same.” (매일매일, 일상은 똑같았다. – ‘day after day’는 ‘week after week’처럼 반복과 단조로움을 강조)
* Monthly (매달): “The rent is due monthly.” (월세는 매달 내야 한다.) / “We receive a monthly newsletter.” (우리는 월간 뉴스레터를 받는다.) / “She visits her family every month.” (그녀는 매달 가족을 방문한다.) / “Month after month, the sales figures increased.” (매달 계속해서, 판매 수치가 증가했다. – 꾸준한 증가 강조)
* Annually / Yearly (매년): “The conference is held annually.” (그 컨퍼런스는 매년 개최된다.) / “We conduct yearly performance reviews.” (우리는 연간 성과 검토를 실시한다.) / “They go on vacation every year.” (그들은 매년 휴가를 간다.) / “Year after year, the festival attracts more visitors.” (매년 계속해서, 그 축제는 더 많은 방문객을 끌어모은다. – 지속적인 경향 강조)
이처럼 ‘daily’, ‘monthly’, ‘annually/yearly’는 ‘weekly’와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며, ‘every day/month/year’, ‘day/month/year after day/month/year’ 등의 표현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됩니다.
2. 빈도 부사 (Adverbs of Frequency)의 정확한 사용
주간 반복을 이야기할 때, 얼마나 자주 그 일이 일어나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빈도 부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빈도 부사의 일반적인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Be 동사 뒤: “She is always on time for the weekly meeting.” (그녀는 주간 회의에 항상 정시에 온다.)
* 일반 동사 앞: “We usually submit our reports weekly on Fridays.” (우리는 보통 매주 금요일에 보고서를 제출한다.)
* 조동사 뒤, 본동사 앞: “You should never miss the weekly deadline.” (당신은 주간 마감일을 절대 놓쳐서는 안 된다.)
자주 사용되는 빈도 부사 (빈도 순): Always (100%) > Usually (보통) > Often (자주) > Sometimes (가끔) > Occasionally (때때로) > Seldom/Rarely (거의 ~않다) > Never (0%)
이 부사들을 ‘weekly’, ‘every week’ 등과 함께 사용하면 (“I sometimes skip my weekly workout.”) 반복되는 활동의 실제 빈도를 더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3. 주간 루틴의 예외 표현하기 (Expressing Exceptions)
매주 반복되는 일이라도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외 상황을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 Except for / Apart from: “We meet every week, except for holidays.” (우리는 공휴일을 제외하고 매주 만난다.)
* Unless: “The weekly report is due on Friday, unless notified otherwise.” (별도의 공지가 없는 한, 주간 보고서는 금요일 마감이다.)
* Usually, but…: “I usually go jogging weekly, but not when it rains heavily.” (나는 보통 매주 조깅을 가지만, 비가 많이 올 때는 가지 않는다.)
* This week is an exception: “Normally we have pizza every Friday, but this week is an exception because we’re trying a new restaurant.” (보통 매주 금요일에 피자를 먹지만, 이번 주는 새로운 식당에 가보기로 해서 예외이다.)
이런 표현들을 사용하면 규칙적인 주간 일정 속에서 발생하는 변동 사항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4. 격주 표현: “Every other week” vs. “Bi-weekly”
‘격주로’, 즉 2주에 한 번을 의미하는 표현은 “every other week”와 “bi-weekly”가 있습니다.
* Every other week: 의미가 명확하며 혼동의 여지가 적습니다. “I visit my grandparents every other week.” (나는 격주로 조부모님을 뵙는다.)
* Bi-weekly: 이 단어는 ‘2주에 한 번’이라는 의미와 ‘일주일에 두 번’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모두 가질 수 있어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문맥상 의미가 명확하지 않다면, “twice a week” (일주일에 두 번) 또는 “every two weeks” / “every other week” (2주에 한 번)로 풀어서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비즈니스 상황에서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every two weeks”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Week after week”와 “Weekly”를 중심으로 주간 반복 표현의 핵심 요소들을 더 깊이 있게 분석해 보겠습니다.
1. “Weekly”: 형용사 및 부사로서의 활용
“Weekly”는 ‘매주의’라는 의미의 형용사와 ‘매주’라는 의미의 부사로 모두 사용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습니다.
* 형용사 사용: 명사 앞에서 명사를 수식합니다.
* “a weekly report” (주간 보고서)
* “our weekly team lunch” (우리의 매주 팀 점심 식사)
* “the weekly schedule” (주간 일정)
* 이 경우, ‘매주 발행되는’, ‘매주 열리는’ 등 주간 단위의 성격을 나타냅니다.
* 부사 사용: 동사나 문장 전체를 수식하며 ‘매주’라는 빈도를 나타냅니다.
* “We update the database weekly.” (우리는 매주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 “Do you get paid weekly?” (주급으로 받으세요?)
* “Weekly, we review our goals.” (매주 우리는 목표를 검토한다. – 문장 앞에 쓰일 수도 있음)
* 부사로 쓰일 때는 “every week”와 거의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간결함을 선호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2. “Week after week”: 감정을 담은 반복의 강조
이 표현은 단순한 빈도 정보 전달을 넘어섭니다. 핵심은 ‘끊임없는 반복’과 그에 따른 감정이나 결과를 강조하는 데 있습니다.
* 긍정적 강조 (꾸준함, 끈기):
* “She practiced the violin week after week, and her skills improved dramatically.” (그녀는 매주 꾸준히 바이올린을 연습했고, 실력이 극적으로 향상되었다.)
* “Volunteers worked week after week to clean up the park.” (자원봉사자들은 공원을 청소하기 위해 매주 꾸준히 일했다.)
* 부정적 강조 (지겨움, 단조로움, 문제의 지속):
* “He kept making the same excuses week after week.” (그는 매주 똑같은 변명을 계속했다.)
* “Dealing with the same technical issues week after week is frustrating.” (매주 똑같은 기술적 문제들을 처리하는 것은 좌절스럽다.)
* “Week after week, the rain continued.” (몇 주 동안 계속해서 비가 내렸다.)
이처럼 “week after week”는 문맥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뉘앙스를 강하게 전달하므로, 사용 시 의도하는 바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3. “Every week”: 가장 중립적이고 일반적인 표현
“Every week”는 ‘매주’를 의미하는 가장 표준적이고 중립적인 표현입니다. 특별한 감정적 뉘앙스 없이 사실로서의 주간 반복을 전달할 때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 “I go grocery shopping every week.” (나는 매주 장을 본다.) – 단순 사실 전달
* “The garbage truck comes every week on Tuesday.” (쓰레기 차는 매주 화요일에 온다.) – 규칙적인 일정 설명
* “Do you talk to your parents every week?” (부모님과 매주 통화하니?) – 빈도 질문
특별히 반복을 강조하거나 감정을 드러낼 필요가 없는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every week”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안전합니다. “Weekly”와 의미상 큰 차이는 없지만, 구어체에서 더 자주 들릴 수 있습니다.
4. 구체적인 요일 vs. 일반적인 주간 반복
주간 반복을 말할 때, 특정 요일을 명시하는 것과 단순히 ‘매주’라고 말하는 것은 정보의 구체성에서 차이가 납니다.
* 특정 요일 명시 (“on Mondays”, “every Friday”): 언제 그 활동이 이루어지는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일정을 잡거나 특정 요일의 루틴을 설명할 때 필요합니다. “The class is held every Wednesday.” (그 수업은 매주 수요일에 열린다.)
* 일반적인 주간 반복 (“weekly”, “every week”, “week after week”): 특정 요일 정보 없이, 단지 주 단위로 반복된다는 사실만 전달합니다. 활동 자체가 중요하다거나, 반복의 빈도나 꾸준함/지겨움 등을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We submit reports weekly.” (우리는 매주 보고서를 제출한다. – 언제인지는 중요하지 않거나 이미 알려져 있음)
상황에 따라 필요한 정보의 수준에 맞춰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주간 반복 표현하기
이제 “week after week”와 “weekly”, 그리고 “every week”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셨을 겁니다! 비슷해 보였던 이 표현들이 실제로는 각기 다른 뉘앙스와 쓰임새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셨죠? “Weekly”와 “every week”는 중립적으로 ‘매주’라는 사실을 전달하는 데 주로 쓰이고, “week after week”는 반복의 꾸준함이나 때로는 지겨움을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강력한 표현이라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처음에는 어떤 표현을 써야 할지 조금 망설여질 수도 있어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대화나 글쓰기에서 조금씩 사용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주간 일과를 영어로 설명해보거나, 매주 반복되는 일에 대한 감정을 “week after week”를 사용해 표현해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다음 단계 제안:**
* **주간 일기 쓰기:** 매주 있었던 일이나 다음 주 계획을 영어로 간단히 적어보세요. 이때 “weekly”, “every + 요일”, “once a week” 등 다양한 표현을 활용해보는 겁니다.
* **관련 표현 확장:** “daily”, “monthly”, “annually” 등 다른 시간 단위 반복 표현도 함께 익혀두면 표현의 폭이 훨씬 넓어질 거예요. 빈도 부사(always, usually, sometimes 등)와 함께 사용하는 연습도 잊지 마세요!
**실천 계획 제안:**
1. **1단계:** 가장 기본적이고 중립적인 “every week”를 사용하여 자신의 주간 활동 3가지 이상을 영어 문장으로 만들어 보세요. (예: “I study English every week.”)
2. **2단계:** “weekly”를 형용사와 부사로 각각 활용하여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예: “I have a weekly appointment.”, “I clean my room weekly.”)
3. **3단계:** “week after week”를 사용하여 꾸준히 하는 활동이나 반복되어 지겨운 상황을 묘사하는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긍정/부정 뉘앙스 모두 연습)
4. **4단계:** 특정 요일(“on Sundays”, “every Tuesday”)이나 횟수(“twice a week”)를 넣어 더 구체적인 주간 일정을 표현하는 연습을 하세요.
꾸준히 연습하다 보면 어느새 주간 반복 상황을 영어로 자신감 있게 표현하는 여러분을 발견하게 될 거예요.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week after week, 영어 공부를 이어 나가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