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sed to vs Be used to 구문 차이: 과거 습관과 익숙함 표현하기 영어로
과거에는 그랬는데 지금은 아니라고 말하고 싶을 때, 혹은 무언가에 완전히 익숙해졌다고 표현하고 싶을 때, ‘used to’와 ‘be used to’가 헷갈리셨나요? 이 두 표현은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쓰임새가 완전히 다릅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used to’와 ‘be used to’의 명확한 차이를 이해하고, 과거의 습관과 현재의 익숙함을 자연스럽게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을 확실하게 알려드릴게요. 이제 더 이상 헷갈리지 마세요!
목차
핵심 표현: Used to
- 표현: used to + 동사원형
발음: [유즈드 투 + 동사원형]
뜻: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 (~하곤 했다, 과거에는 ~였다)
핵심 표현: Be used to
- 표현: be used to + 명사/동명사
발음: [비 유즈드 투 + 명사/동명사]
뜻: ~에 익숙하다
‘Used to’ 활용: 과거의 습관/상태 표현하기
- 표현: I used to live in Busan.
발음: [아이 유즈드 투 리브 인 부산]
뜻: 나는 과거에 부산에 살았었다. (지금은 아님) - 표현: She used to play the piano every day.
발음: [쉬 유즈드 투 플레이 더 피애노 에브리 데이]
뜻: 그녀는 매일 피아노를 치곤 했다. (지금은 아님) - 표현: We used to go hiking on weekends.
발음: [위 유즈드 투 고 하이킹 온 위켄즈]
뜻: 우리는 주말마다 하이킹을 가곤 했다. - 표현: He used to have long hair.
발음: [히 유즈드 투 해브 롱 헤어]
뜻: 그는 과거에 머리가 길었다. - 표현: They used to be close friends.
발음: [데이 유즈드 투 비 클로스 프렌즈]
뜻: 그들은 과거에 친한 친구였다. - 표현: Did you use to smoke?
발음: [디쥬 유즈 투 스모크?]
뜻: 예전에 담배를 피웠었나요? (의문문: did + 주어 + use to) - 표현: I didn’t use to like coffee, but now I do.
발음: [아이 디든트 유즈 투 라이크 커피, 벗 나우 아이 두]
뜻: 나는 예전에 커피를 좋아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좋아한다. (부정문: didn’t use to) - 표현: This building used to be a theater.
발음: [디스 빌딩 유즈드 투 비 어 씨어터]
뜻: 이 건물은 과거에 극장이었다. - 표현: People used to write letters more often.
발음: [피플 유즈드 투 라이트 레터스 모어 오펜]
뜻: 사람들은 예전에 편지를 더 자주 쓰곤 했다. - 표현: My father used to read me bedtime stories.
발음: [마이 파더 유즈드 투 리드 미 베드타임 스토리즈]
뜻: 아버지는 나에게 잠자리 이야기를 읽어주시곤 했다.
‘Be used to’ 활용: 현재의 익숙함 표현하기
- 표현: I am used to the noise now.
발음: [아이 엠 유즈드 투 더 노이즈 나우]
뜻: 나는 이제 그 소음에 익숙하다. - 표현: She is used to waking up early.
발음: [쉬 이즈 유즈드 투 웨이킹 업 얼리]
뜻: 그녀는 일찍 일어나는 것에 익숙하다. - 표현: We are used to working long hours.
발음: [위 아 유즈드 투 워킹 롱 아워즈]
뜻: 우리는 장시간 일하는 것에 익숙하다. - 표현: He is used to the spicy food here.
발음: [히 이즈 유즈드 투 더 스파이시 푸드 히어]
뜻: 그는 여기 매운 음식에 익숙하다. - 표현: They are used to the cold weather.
발음: [데이 아 유즈드 투 더 콜드 웨더]
뜻: 그들은 추운 날씨에 익숙하다. - 표현: Are you used to living alone?
발음: [아 유 유즈드 투 리빙 얼론?]
뜻: 혼자 사는 것에 익숙한가요? - 표현: I’m not used to speaking English in public yet.
발음: [아임 낫 유즈드 투 스피킹 잉글리시 인 퍼블릭 옛]
뜻: 나는 아직 사람들 앞에서 영어로 말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다. - 표현: My dog is used to taking a walk at this time.
발음: [마이 도그 이즈 유즈드 투 테이킹 어 워크 앳 디스 타임]
뜻: 내 강아지는 이 시간에 산책하는 것에 익숙하다. - 표현: He wasn’t used to the city life at first.
발음: [히 워즌트 유즈드 투 더 시티 라이프 앳 퍼스트]
뜻: 그는 처음에는 도시 생활에 익숙하지 않았다. - 표현: You’ll soon be used to the new system.
발음: [율 순 비 유즈드 투 더 뉴 시스템]
뜻: 당신은 곧 새로운 시스템에 익숙해질 것입니다.
‘Get used to’ 활용: 익숙해지는 과정 표현하기
- 표현: I am getting used to the new software.
발음: [아이 엠 게팅 유즈드 투 더 뉴 소프트웨어]
뜻: 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에 익숙해지고 있다. - 표현: It takes time to get used to a new job.
발음: [잇 테익스 타임 투 겟 유즈드 투 어 뉴 잡]
뜻: 새로운 일에 익숙해지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 표현: She is slowly getting used to the local customs.
발음: [쉬 이즈 슬로울리 게팅 유즈드 투 더 로컬 커스텀즈]
뜻: 그녀는 서서히 현지 관습에 익숙해지고 있다. - 표현: You need to get used to waking up earlier.
발음: [유 니드 투 겟 유즈드 투 웨이킹 업 얼리어]
뜻: 당신은 더 일찍 일어나는 것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 표현: How long did it take you to get used to the food?
발음: [하우 롱 디드 잇 테이크 유 투 겟 유즈드 투 더 푸드?]
뜻: 그 음식에 익숙해지는 데 얼마나 걸렸나요? - 표현: We had to get used to the different time zone.
발음: [위 해드 투 겟 유즈드 투 더 디퍼런트 타임 존]
뜻: 우리는 다른 시간대에 익숙해져야 했다. - 표현: Don’t worry, you’ll get used to it.
발음: [돈 워리, 율 겟 유즈드 투 잇]
뜻: 걱정 마세요, 곧 익숙해질 거예요. - 표현: He found it hard to get used to the humidity.
발음: [히 파운드 잇 하드 투 겟 유즈드 투 더 휴미디티]
뜻: 그는 습한 날씨에 익숙해지는 것이 어렵다고 느꼈다. - 표현: I’m still getting used to driving on the left side of the road.
발음: [아임 스틸 게팅 유즈드 투 드라이빙 온 더 레프트 사이드 오브 더 로드]
뜻: 나는 아직 도로 왼쪽에서 운전하는 것에 익숙해지는 중이다. - 표현: Children usually get used to new environments quickly.
발음: [칠드런 유주얼리 겟 유즈드 투 뉴 인바이런먼츠 퀴클리]
뜻: 아이들은 보통 새로운 환경에 빨리 익숙해진다.
실제 대화 예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상황: 최근 서울로 이사 온 A와 원래 서울에 살고 있던 친구 B가 카페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눕니다.
- 표현: B: Hey, how are you settling into Seoul?
발음: [헤이, 하우 아 유 세틀링 인투 서울?]
뜻: 안녕, 서울 생활은 좀 적응돼 가? - 표현: A: It’s okay, but still adjusting. I used to live in a very quiet town.
발음: [잇츠 오케이, 벗 스틸 어저스팅. 아이 유즈드 투 리브 인 어 베리 콰이엇 타운.]
뜻: 괜찮아, 아직 적응 중이야. 나는 예전에 아주 조용한 동네에 살았었거든. - 표현: B: Ah, I see. So you’re not used to the hustle and bustle yet?
발음: [아, 아이 씨. 쏘 유아 낫 유즈드 투 더 허슬 앤 버슬 옛?]
뜻: 아, 그렇구나. 그럼 아직 도시의 부산스러움에 익숙하지 않겠네? - 표현: A: Definitely not! I used to wake up to the sound of birds, not traffic.
발음: [데피니틀리 낫! 아이 유즈드 투 웨이크 업 투 더 사운드 오브 버즈, 낫 트래픽.]
뜻: 완전 아니지! 예전엔 차 소리가 아니라 새소리에 잠을 깨곤 했어. - 표현: B: Haha, I understand. I’ve lived here all my life, so I’m used to the noise.
발음: [하하, 아이 언더스탠드. 아이브 리브드 히어 올 마이 라이프, 쏘 아임 유즈드 투 더 노이즈.]
뜻: 하하, 이해해. 난 평생 여기서 살아서 소음에는 익숙해. - 표현: A: And the subway! It’s so crowded. I used to drive everywhere.
발음: [앤 더 서브웨이! 잇츠 쏘 크라우디드. 아이 유즈드 투 드라이브 에브리웨어.]
뜻: 그리고 지하철! 너무 붐벼. 예전엔 어디든 운전해서 다녔거든. - 표현: B: You’ll get used to taking the subway. It’s quite convenient once you figure it out.
발음: [율 겟 유즈드 투 테이킹 더 서브웨이. 잇츠 콰이트 컨비니언트 원스 유 피겨 잇 아웃.]
뜻: 지하철 타는 것도 익숙해질 거야. 일단 파악하고 나면 꽤 편리해. - 표현: A: I hope so. I’m trying to get used to walking more too.
발음: [아이 호프 쏘. 아임 트라잉 투 겟 유즈드 투 워킹 모어 투.]
뜻: 그러길 바라. 더 많이 걷는 것에도 익숙해지려고 노력 중이야. - 표현: B: That’s good! Are you getting used to the food here? Korean food can be quite different.
발음: [댓츠 굿! 아 유 게팅 유즈드 투 더 푸드 히어? 코리안 푸드 캔 비 콰이트 디퍼런트.]
뜻: 잘하고 있네! 여기 음식에는 익숙해지고 있어? 한국 음식이 꽤 다를 수 있잖아. - 표현: A: Yes, slowly but surely. I wasn’t used to eating spicy food, but I’m starting to enjoy it.
발음: [예스, 슬로울리 벗 슈얼리. 아이 워즌트 유즈드 투 이팅 스파이시 푸드, 벗 아임 스타팅 투 인조이 잇.]
뜻: 응, 느리지만 확실히. 매운 음식 먹는 것에 익숙하지 않았는데, 즐기기 시작했어. - 표현: B: See? You’re adapting well. Just give it some time, and you’ll feel right at home. You’ll soon be used to everything!
발음: [씨? 유아 어댑팅 웰. 저스트 기브 잇 썸 타임, 앤 율 필 라잇 앳 홈. 율 순 비 유즈드 투 에브리띵!]
뜻: 거봐, 잘 적응하고 있네. 시간만 좀 주면, 금방 집처럼 편안하게 느껴질 거야. 곧 모든 것에 익숙해질 거야!
마치며
이제 ‘used to’와 ‘be used to’의 차이가 확실히 느껴지시나요? ‘Used to + 동사원형’은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를, ‘Be used to + 명사/동명사’는 현재의 익숙함을 나타낸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처음에는 조금 헷갈릴 수 있지만, 오늘 배운 표현들을 떠올리며 자신의 이야기를 영어로 만들어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나는 예전에 ~하곤 했지 (I used to…)” 혹은 “나는 이제 ~에 익숙해 (I am used to…)” 라고 스스로에게 말해보는 건 어떨까요? 과거의 나, 그리고 현재의 나를 영어로 자신 있게 표현하는 그날까지, 함께 연습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