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sed to 구문: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를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
어릴 적 매일 하던 놀이나 예전에 살던 동네를 떠올릴 때, “예전엔 ~하곤 했지” 또는 “~였었지” 라고 말하고 싶을 때가 있죠? 하지만 이걸 영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하려니 막막하게 느껴지셨을 수 있습니다. 걱정 마세요! 과거의 습관이나 지금은 변한 상태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아주 유용한 ‘used to’ 구문이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used to’를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 쉽고 명확하게 배우실 수 있을 거예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used to’ 표현을 마스터하고 과거 이야기를 영어로 자신 있게 나눠보세요!
목차
- Used to 구문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Used to 영어 문장
- 과거의 습관 표현하기
- 과거의 상태 표현하기
- 부정문: 과거에 하지 않았던 습관/상태
- 의문문: 과거의 습관/상태 묻기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Used to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Used to를 활용한 대화 예시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Used to와 관련된 유용한 표현들
- 1. ‘Used to’ vs. ‘Would’ (과거 습관 표현)
- 2. ‘Be used to’ vs. ‘Get used to’ (~에 익숙하다/익숙해지다)
- 3. 흔히 저지르는 실수와 주의점
- Used to 구문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문장 구조 (긍정문, 부정문, 의문문)
- 2. 의미: 과거의 습관 vs. 과거의 상태
- 3. 뉘앙스: 현재와의 단절
- 결론: 자신감 있게 Used to로 과거를 표현하기
Used to 구문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과거에 규칙적으로 했던 행동이나 과거의 상태를 나타낼 때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핵심 표현은 바로 ‘used to’입니다.
-
표현: used to [verb]
발음: [유스 투 / 유즈드 투 + 동사원형]
뜻: ~하곤 했다 / ~였었다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
이 표현은 과거에는 그랬지만 현재는 더 이상 그렇지 않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과거의 습관적인 행동이나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상태를 설명할 때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 used to live in Busan.”이라고 하면, 과거에는 부산에 살았지만 지금은 살지 않는다는 뜻이 됩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Used to 영어 문장
‘Used to’는 다양한 상황에서 과거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과거의 습관, 상태, 그리고 부정문과 의문문 형태까지 살펴보겠습니다.
과거의 습관 표현하기
예전에는 자주 했지만 지금은 하지 않는 행동들을 묘사할 때 사용합니다.
-
표현: I used to play the piano every day.
발음: [아이 유스 투 플레이 더 피애노 에브리 데이]
뜻: 나는 매일 피아노를 치곤 했었다. -
표현: We used to go camping every summer.
발음: [위 유스 투 고 캠핑 에브리 서머]
뜻: 우리는 매년 여름 캠핑을 가곤 했었다. -
표현: She used to bite her nails when she was nervous.
발음: [쉬 유스 투 바이트 허 네일즈 웬 쉬 워즈 너버스]
뜻: 그녀는 긴장하면 손톱을 물어뜯곤 했었다. -
표현: My father used to read me bedtime stories.
발음: [마이 파더 유스 투 리드 미 베드타임 스토리즈]
뜻: 아버지는 나에게 잠자리 이야기를 읽어주시곤 했었다. -
표현: They used to argue a lot, but now they get along well.
발음: [데이 유스 투 아규 어 랏, 벗 나우 데이 겟 얼롱 웰]
뜻: 그들은 예전에 많이 다투곤 했지만, 지금은 잘 지낸다.
과거의 상태 표현하기
과거에는 사실이었지만 현재는 변한 상태나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
표현: This building used to be a library.
발음: [디스 빌딩 유스 투 비 어 라이브러리]
뜻: 이 건물은 예전에 도서관이었었다. -
표현: I used to have long hair.
발음: [아이 유스 투 해브 롱 헤어]
뜻: 나는 예전에 머리가 길었었다. -
표현: He used to be very shy.
발음: [히 유스 투 비 베리 샤이]
뜻: 그는 예전에 매우 수줍음이 많았었다. -
표현: There used to be a big tree in front of my house.
발음: [데어 유스 투 비 어 빅 트리 인 프런트 오브 마이 하우스]
뜻: 우리 집 앞에는 예전에 큰 나무가 있었었다. -
표현: People used to believe the Earth was flat.
발음: [피플 유스 투 빌리브 디 어스 워즈 플랫]
뜻: 사람들은 예전에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었었다.
부정문: 과거에 하지 않았던 습관/상태
과거에는 그렇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낼 때는 ‘didn’t use to’ 또는 ‘never used to’를 사용합니다. ‘didn’t use to’ 다음에는 동사원형 ‘use’가 오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
표현: I didn’t use to like coffee, but now I love it.
발음: [아이 디든트 유즈 투 라이크 커피, 벗 나우 아이 러브 잇]
뜻: 나는 예전에 커피를 좋아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아주 좋아한다. -
표현: She didn’t use to exercise regularly.
발음: [쉬 디든트 유즈 투 엑서사이즈 레귤럴리]
뜻: 그녀는 예전에 규칙적으로 운동하지 않았었다. -
표현: We never used to lock our doors in my hometown.
발음: [위 네버 유스 투 락 아워 도어즈 인 마이 홈타운]
뜻: 내 고향에서는 예전에 문을 잠그지 않았었다. -
표현: He didn’t use to wear glasses.
발음: [히 디든트 유즈 투 웨어 글래시즈]
뜻: 그는 예전에 안경을 쓰지 않았었다. -
표현: There didn’t use to be so much traffic here.
발음: [데어 디든트 유즈 투 비 소 머치 트래픽 히어]
뜻: 예전에는 여기에 교통 체증이 이렇게 심하지 않았었다.
의문문: 과거의 습관/상태 묻기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에 대해 질문할 때는 ‘Did [주어] use to…?’ 형식을 사용합니다. 여기에서도 ‘did’ 다음에는 동사원형 ‘use’가 옵니다.
-
표현: Did you use to live around here?
발음: [디드 유 유즈 투 리브 어라운드 히어?]
뜻: 예전에 이 근처에 사셨었나요? -
표현: Did he use to work with you?
발음: [디드 히 유즈 투 워크 위드 유?]
뜻: 그가 예전에 당신과 함께 일했었나요? -
표현: What kind of music did you use to listen to?
발음: [왓 카인드 오브 뮤직 디드 유 유즈 투 리슨 투?]
뜻: 예전에 어떤 종류의 음악을 듣곤 했나요? -
표현: Where did you use to hang out after school?
발음: [웨어 디드 유 유즈 투 행 아웃 애프터 스쿨?]
뜻: 방과 후에 어디서 시간을 보내곤 했나요? -
표현: Didn’t you use to have a dog?
발음: [디든트 유 유즈 투 해브 어 도그?]
뜻: 예전에 개를 키우지 않았었나요?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Used to 핵심 포인트
‘Used to’ 구문을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아두면 좋습니다. 실제 대화에서 실수 없이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현재는 그렇지 않다는 뉘앙스: ‘Used to’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과거에는 그랬지만, 지금은 더 이상 그렇지 않다는 의미를 내포한다는 점입니다. “I used to smoke”는 과거에는 담배를 피웠지만 지금은 피우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만약 과거에도 했고 지금도 계속하고 있는 습관이라면 현재 시제나 현재 진행 시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I smoke” 또는 “I often smoke”).
2. ‘Used to’ vs. ‘Be used to’: ‘Used to + 동사원형’은 과거의 습관/상태를 나타내지만, ‘be used to + 명사/동명사(~ing)‘는 ‘~에 익숙하다’는 현재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I used to live alone” (예전에 혼자 살았었다)와 “I am used to living alone” (나는 혼자 사는 것에 익숙하다)는 완전히 다른 뜻입니다. 이 둘을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3. ‘Used to’ vs. ‘Get used to’: ‘Be used to’와 비슷하게 ‘get used to + 명사/동명사(~ing)‘는 ‘~에 익숙해지다’라는 변화의 과정을 나타냅니다. “It was hard at first, but I got used to the new system.” (처음에는 어려웠지만, 나는 새로운 시스템에 익숙해졌다.) 처럼 사용됩니다. ‘used to’와는 의미와 형태가 다르므로 구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4. 발음 주의: 긍정문에서 ‘used to’는 [유스 투]처럼 발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d’ 소리가 거의 들리지 않거나 뒤따르는 ‘t’ 소리와 합쳐져 약하게 발음됩니다. 하지만 부정문(‘didn’t use to’)이나 의문문(‘Did you use to…?’)에서는 [유즈 투]처럼 ‘s’가 유성음 [z]로 발음됩니다. 발음 차이를 인지하고 연습하면 더 자연스럽게 들립니다.
5. 부정문과 의문문 형태: 부정문은 ‘didn’t use to + 동사원형’, 의문문은 ‘Did [주어] use to + 동사원형?’ 형태를 사용합니다. 이때 ‘used’가 아닌 ‘use’를 사용하는 것이 문법적으로 올바른 형태입니다. “He didn’t used to…”나 “Did she used to…?”는 틀린 표현입니다. 구어체에서는 간혹 ‘used to not’ 형태도 쓰이지만, 표준 문법에서는 ‘didn’t use to’가 더 일반적입니다.
6. ‘Would’와의 차이점: 과거의 반복적인 ‘행동’이나 ‘습관’을 나타낼 때는 ‘used to’ 대신 ‘would’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When I was a child, I would visit my grandparents every weekend.”) 하지만 과거의 ‘상태’를 나타낼 때는 ‘would’를 사용할 수 없고 ‘used to’만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I used to live in Seoul.” (O) / “I would live in Seoul.” (X – 상태를 나타내므로 틀림). ‘Used to’는 습관과 상태 모두에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더 높습니다.
7. 특정 시점의 과거 행동: ‘Used to’는 과거의 ‘반복적인’ 습관이나 ‘지속적인’ 상태를 나타냅니다. 과거의 특정 시점에 일어난 한 번의 행동을 말할 때는 단순 과거 시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I visited Busan last year.” (작년에 부산을 방문했다 – 한 번의 사건) 와 “I used to visit Busan every summer.” (매년 여름 부산을 방문하곤 했다 – 반복적 습관)는 다릅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Used to를 활용한 대화 예시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이 예전 학창 시절을 회상하며 이야기를 나누는 상황입니다. ‘Used to’를 사용하여 과거의 추억을 공유하는 모습을 살펴봅시다.
상황: 카페에서 만난 대학 동창 A와 B가 예전 학교 다닐 때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역할:
- A: 과거를 회상하며 이야기를 시작하는 친구
- B: A의 이야기에 맞장구치며 자신의 추억도 공유하는 친구
-
표현: A: Hey, it’s great to see you after all these years! Remember this cafe? We used to come here all the time after class.
발음: [헤이, 잇츠 그레잇 투 씨 유 애프터 올 디즈 이어즈! 리멤버 디스 카페? 위 유스 투 컴 히어 올 더 타임 애프터 클래스.]
뜻: 야, 이렇게 오랜만에 보니 정말 반갑다! 이 카페 기억나? 우리 수업 끝나고 항상 여기 오곤 했잖아. -
표현: B: Of course! How could I forget? We used to spend hours here, talking about everything. You used to always order that huge caramel macchiato.
발음: [오브 코스! 하우 쿠드 아이 포겟? 위 유스 투 스펜드 아워즈 히어, 토킹 어바웃 에브리띵. 유 유스 투 올웨이즈 오더 댓 휴즈 캐러멜 마키아토.]
뜻: 당연하지! 어떻게 잊겠어? 우리 여기서 몇 시간이고 모든 것에 대해 이야기하며 보내곤 했지. 넌 항상 그 엄청 큰 캐러멜 마키아토를 주문하곤 했잖아. -
표현: A: Haha, I did! I used to have such a sweet tooth back then. And you used to be obsessed with that indie band, what was their name again?
발음: [하하, 아이 디드! 아이 유스 투 해브 서치 어 스위트 투스 백 덴. 앤 유 유스 투 비 옵세스드 위드 댓 인디 밴드, 왓 워즈 데어 네임 어게인?]
뜻: 하하, 그랬지! 나 그때 단 걸 정말 좋아했었어. 그리고 넌 그 인디 밴드에 완전 빠져있었잖아, 이름이 뭐였더라? -
표현: B: Oh, ‘The Starlight Echoes’! Yeah, I used to listen to their album non-stop. I even used to go to all their small gigs.
발음: [오, ‘더 스타라이트 에코즈’! 예, 아이 유스 투 리슨 투 데어 앨범 논-스탑. 아이 이븐 유스 투 고 투 올 데어 스몰 긱스.]
뜻: 아, ‘더 스타라이트 에코즈’! 응, 나 그들 앨범을 쉬지 않고 듣곤 했지. 심지어 그들의 작은 공연들에도 다 가곤 했었어. -
표현: A: Right! It’s funny how things change. I didn’t use to drink coffee black, but now I can’t stand it with sugar.
발음: [라잇! 잇츠 퍼니 하우 띵즈 체인지. 아이 디든트 유즈 투 드링크 커피 블랙, 벗 나우 아이 캔트 스탠드 잇 위드 슈거.]
뜻: 맞아! 참 신기해, 어떻게 변하는지. 난 예전엔 블랙커피를 마시지 않았는데, 이젠 설탕 넣은 건 못 마시겠어. -
표현: B: Tell me about it. I used to hate waking up early, but now I’m usually up before sunrise. Did you use to live in that dormitory near the library?
발음: [텔 미 어바웃 잇. 아이 유스 투 헤이트 웨이킹 업 얼리, 벗 나우 아임 유주얼리 업 비포 선라이즈. 디드 유 유즈 투 리브 인 댓 도미토리 니어 더 라이브러리?]
뜻: 내 말이. 난 예전에 일찍 일어나는 걸 싫어했는데, 지금은 보통 해 뜨기 전에 일어나. 너 도서관 근처 그 기숙사에 살지 않았었니? -
표현: A: Yeah, I used to live there for the first two years. It used to be so noisy, but it was fun living with friends.
발음: [예, 아이 유스 투 리브 데어 포 더 퍼스트 투 이어즈. 잇 유스 투 비 소 노이지, 벗 잇 워즈 펀 리빙 위드 프렌즈.]
뜻: 응, 처음 2년 동안 거기 살았었어. 엄청 시끄럽곤 했지만, 친구들이랑 같이 사는 건 재미있었지. -
표현: B: I bet. I didn’t use to study much back then, surprisingly. I used to spend more time at the student club.
발음: [아이 벳. 아이 디든트 유즈 투 스터디 머치 백 덴, 서프라이징리. 아이 유스 투 스펜드 모어 타임 앳 더 스튜던트 클럽.]
뜻: 그랬겠다. 놀랍게도 난 그때 공부를 많이 안 했었어. 학생 동아리에서 시간을 더 많이 보내곤 했지. -
표현: A: Really? You always seemed so studious! Well, we all used to have different priorities, I guess. It’s nice reminiscing though.
발음: [리얼리? 유 올웨이즈 심드 소 스튜디어스! 웰, 위 올 유스 투 해브 디퍼런트 프라이오리티즈, 아이 게스. 잇츠 나이스 레미니싱 도우.]
뜻: 정말? 넌 항상 엄청 공부 열심히 하는 것처럼 보였는데! 뭐, 우리 모두 그때는 다른 우선순위를 가졌었나 봐. 그래도 이렇게 추억하니까 좋다. -
표현: B: Definitely. We should do this again sometime soon.
발음: [데피니틀리. 위 슈드 두 디스 어게인 섬타임 순.]
뜻: 그럼. 조만간 또 이렇게 만나야겠다.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이 대화에서 ‘used to’가 어떻게 자연스럽게 활용되었는지 살펴보고, 몇 가지 유용한 표현을 더 깊이 이해해 봅시다.
- 자연스러운 과거 회상: ‘Used to’는 “We used to come here all the time”, “You used to always order…” 처럼 과거의 반복적인 습관이나 자주 했던 행동을 자연스럽게 묘사하며 대화를 이끌어갑니다.
- 상태 변화 강조: “I didn’t use to drink coffee black, but now…” 와 같이 ‘used to’의 부정형을 사용하여 과거와 현재의 변화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취향이나 습관이 어떻게 변했는지 설명할 때 유용합니다.
- 과거 상태 질문: “Did you use to live in that dormitory…?” 처럼 과거의 특정 상태에 대해 질문할 때 ‘Did… use to…?’ 형태를 사용합니다. 상대방의 과거 경험에 대해 물어볼 때 자주 쓰입니다.
- Have a sweet tooth: “I used to have such a sweet tooth”에서 ‘have a sweet tooth’는 ‘단것을 매우 좋아하다’라는 관용적인 표현입니다.
- Be obsessed with: “You used to be obsessed with that indie band”에서 ‘be obsessed with’는 ‘~에 광적으로 빠져있다, 집착하다’라는 의미로, 강한 관심이나 애정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Used to와 관련된 유용한 표현들
‘Used to’ 외에도 과거의 습관이나 익숙함과 관련된 다른 표현들이 있습니다. 이 표현들의 차이점을 이해하면 더욱 풍부하고 정확한 영어 구사가 가능해집니다.
1. ‘Used to’ vs. ‘Would’ (과거 습관 표현)
과거에 반복적으로 했던 행동, 즉 습관을 나타낼 때 ‘used to’와 ‘would’ 둘 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묘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Used to’는 과거의 습관뿐만 아니라 과거의 상태(더 이상 사실이 아닌)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반면, ‘would’는 주로 과거의 반복적인 행동이나 습관에만 사용되며, 과거의 상태를 묘사하는 데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When I was young, I used to visit my grandparents every summer.” 와 “When I was young, I would visit my grandparents every summer.” 는 둘 다 ‘어렸을 때 매년 여름 할머니 댁을 방문하곤 했다’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둘 다 과거의 반복적인 행동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과거의 상태를 말할 때는 ‘used to’만 가능합니다. “This building used to be a cinema.” (이 건물은 예전에 영화관이었다.) 라고는 말할 수 있지만, “This building would be a cinema.” 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Would’는 주로 회상하거나 이야기를 들려주는 맥락에서 특정 습관을 생생하게 묘사할 때 자주 등장합니다. ‘Used to’는 습관과 상태 모두를 포괄하며, 현재와의 단절을 좀 더 명확히 나타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2. ‘Be used to’ vs. ‘Get used to’ (~에 익숙하다/익숙해지다)
‘Used to + 동사원형’과는 완전히 다른 의미와 구조를 가진 표현들입니다. 이 둘은 ‘익숙함’과 관련이 있습니다. ‘Be used to + 명사/동명사(-ing)’는 현재 어떤 것에 익숙해져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주어가 특정 환경, 상황, 또는 행동에 이미 적응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I am used to the noise.” (나는 소음에 익숙하다.) 또는 “She is used to waking up early.” (그녀는 일찍 일어나는 것에 익숙하다.) 처럼 사용됩니다. 여기서 ‘to’는 전치사이므로 뒤에 명사나 동명사가 와야 합니다. 반면, ‘Get used to + 명사/동명사(-ing)’는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익숙해지는 ‘과정’이나 ‘변화’를 나타냅니다. 처음에는 낯설거나 어려웠지만 점차 적응해 나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It took me a while to get used to the new software.” (나는 새로운 소프트웨어에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좀 걸렸다.) 또는 “You’ll soon get used to living in the city.” (너는 곧 도시에 사는 것에 익숙해질 것이다.) 처럼 사용됩니다. ‘Be used to’는 현재의 익숙한 상태를, ‘get used to’는 익숙해지는 과정을 나타낸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흔히 저지르는 실수와 주의점
‘Used to’를 사용할 때 몇 가지 흔한 실수가 있습니다. 첫째, 부정문과 의문문에서 ‘use’ 대신 ‘used’를 쓰는 오류입니다. “Did he used to…?” (X) -> “Did he use to…?” (O), “I didn’t used to…” (X) -> “I didn’t use to…” (O) 가 올바른 형태입니다. 조동사 ‘did’가 이미 과거 시제를 나타내므로 뒤에는 동사원형 ‘use’를 써야 합니다. 둘째, ‘used to + 동사원형’과 ‘be/get used to + 명사/동명사’를 혼동하는 경우입니다. 의미와 구조가 완전히 다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I used to waking up early.” (X) -> “I used to wake up early.” (O) 또는 “I am used to waking up early.” (O) 와 같이 문맥에 맞게 정확한 형태를 사용해야 합니다. 셋째, ‘used to’는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에만 사용되므로, 현재의 습관을 나타낼 때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현재의 습관은 단순 현재 시제 (“I usually wake up early.”) 로 표현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발음 시 [유즈드 투] 보다는 [유스 투]에 가깝게 발음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때가 많다는 점도 기억해두면 좋습니다.
Used to 구문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Used to’ 구문은 단순해 보이지만, 그 구조와 의미, 뉘앙스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부적인 요소들을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1. 문장 구조 (긍정문, 부정문, 의문문)
‘Used to’ 구문은 세 가지 기본 형태로 사용됩니다.
- 긍정문: 주어 + used to + 동사원형.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를 서술합니다. “He used to play guitar in a band.” (그는 예전에 밴드에서 기타를 치곤 했다.) 처럼 사용됩니다. 여기서 ‘used to’는 하나의 조동사처럼 기능하여 뒤에 동사원형이 옵니다.
- 부정문: 주어 + didn’t use to + 동사원형.
과거에 어떤 습관이 없었거나 어떤 상태가 아니었음을 나타냅니다. 조동사 ‘did’의 과거 부정형 ‘didn’t’를 사용하고, 그 뒤에는 ‘used’가 아닌 동사원형 ‘use’를 씁니다. “We didn’t use to have a car.” (우리는 예전에 차가 없었다.) 와 같이 사용됩니다. 구어체에서는 ‘used not to’ 형태도 간혹 쓰이지만 (‘She used not to like spicy food.’), ‘didn’t use to’가 훨씬 일반적이고 표준적인 형태입니다. ‘Never used to’를 사용하여 강조할 수도 있습니다: “I never used to eat vegetables.” (나는 예전에 채소를 전혀 먹지 않았었다.)
- 의문문: Did + 주어 + use to + 동사원형?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에 대해 질문할 때 사용합니다. 조동사 ‘Did’를 문장 맨 앞에 두고 주어 뒤에 동사원형 ‘use’를 씁니다. “Did you use to live in this neighborhood?” (예전에 이 동네에 살았었니?) 처럼 질문합니다. 의문사를 포함할 수도 있습니다: “What did you use to do on weekends?” (주말에 무엇을 하곤 했니?)
이 세 가지 구조를 정확히 익혀두면 다양한 상황에서 ‘used to’를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의미: 과거의 습관 vs. 과거의 상태
‘Used to’는 크게 두 가지 의미를 전달합니다: 과거의 반복적인 습관과 과거의 지속적인 상태.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과거의 습관 (Past Habit): 과거에 규칙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했던 행동을 나타냅니다. 지금은 더 이상 하지 않는다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예: “I used to walk to school every day.” (나는 매일 걸어서 학교에 가곤 했다. – 지금은 다른 방법으로 가거나 더 이상 학생이 아님)
예: “My brother used to collect stamps.” (내 남동생은 우표를 수집하곤 했다. – 지금은 그 취미를 그만둠)
이 경우, ‘would’로 대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I would walk to school every day.”)
- 과거의 상태 (Past State): 과거에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상태나 사실을 나타냅니다. 이 상태 역시 현재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상태 동사(be, have, live, like, believe, know 등)와 함께 자주 쓰입니다.
예: “She used to be a teacher.” (그녀는 예전에 선생님이었다. – 지금은 다른 직업을 가졌거나 은퇴함)
예: “There used to be a park here.” (여기에는 예전에 공원이 있었다. – 지금은 공원이 없음)
예: “I used to believe in Santa Claus.” (나는 예전에 산타클로스를 믿었었다. – 지금은 믿지 않음)
과거의 상태를 나타낼 때는 ‘would’를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used to’를 사용해야 합니다.
문맥을 통해 ‘used to’가 습관을 나타내는지 상태를 나타내는지 파악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3. 뉘앙스: 현재와의 단절
‘Used to’ 구문의 가장 핵심적인 뉘앙스는 바로 ‘과거에는 그랬지만, 현재는 더 이상 그렇지 않다’는 점입니다. 즉,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지지 않고 중간에 끝났거나 변화했음을 명확하게 전달합니다. 이 ‘현재와의 단절’이라는 함축적 의미 때문에 ‘used to’는 과거와 현재를 대조하거나 변화를 설명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단순히 “I lived in London.” (나는 런던에 살았다.) 라고 말하면, 과거의 사실을 전달할 뿐 현재도 런던에 사는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I used to live in London.” (나는 예전에 런던에 살았었다.) 라고 말하면, 과거에는 런던에 살았지만 지금은 더 이상 런던에 살지 않는다는 의미가 분명해집니다.
마찬가지로, “He smoked.” (그는 담배를 피웠다.) 는 과거의 특정 시점이나 기간 동안 담배를 피웠다는 사실을 말하지만, 현재의 상태는 알 수 없습니다. 반면, “He used to smoke.” (그는 예전에 담배를 피웠었다.) 는 과거에는 흡연 습관이 있었지만 지금은 끊었다는 의미를 강하게 내포합니다.
따라서 과거의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현재 상황과의 차이점을 부각하고 싶을 때 ‘used to’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 뉘앙스를 이해하면 ‘used to’와 단순 과거 시제를 상황에 맞게 더 정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Used to로 과거를 표현하기
자, 이제 ‘used to’ 구문에 대해 확실히 알게 되셨을 거예요! “예전엔 ~하곤 했지”, “~였었지” 하고 과거를 떠올릴 때, 더 이상 영어로 어떻게 말해야 할지 망설일 필요가 없답니다. ‘Used to’는 과거의 습관이나 지금은 변해버린 상태를 명확하고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정말 유용한 도구예요. 오늘 배운 내용을 떠올리면서 과거의 내 모습, 예전의 추억들을 영어로 한번 표현해보는 건 어떨까요?
물론, 처음에는 부정문이나 의문문 형태가 조금 헷갈릴 수도 있고, ‘be used to’나 ‘get used to’와 혼동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괜찮아요! 언어 학습은 원래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느는 거니까요. 중요한 건 실수하더라도 계속 사용해보려는 용기랍니다! 친구와 과거 이야기를 나눌 때, 영어 일기를 쓸 때, 혹은 혼자서라도 “I used to…” 문장을 만들어보세요. 자꾸 사용하다 보면 어느새 입에 착 붙어서 자연스럽게 나올 거예요!
다음 단계 학습 제안:
- ‘Used to’와 ‘Would’의 차이점을 더 깊이 비교하며 예문을 많이 만들어 보세요.
- ‘Be used to’와 ‘Get used to’ 용법을 복습하고, ‘used to’와의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 과거 시제와 관련된 다른 표현들(단순 과거, 과거 진행 등)과 ‘used to’를 언제 구분해서 써야 하는지 비교하며 학습해 보세요.
실천 계획 제안:
- 매일 1문장 만들기: 오늘 하루 동안 ‘used to’를 사용한 문장을 최소 1개 이상 만들어 보세요. (예: “I used to hate broccoli, but now I like it.”)
- 과거 회상 글쓰기: 어린 시절의 추억이나 예전의 습관에 대해 짧은 글을 써보세요. ‘Used to’를 3번 이상 사용해 보세요.
- 대화 연습: 친구나 스터디 파트너와 과거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며 ‘Did you use to…?’ 질문을 하고 ‘I used to…’ 답변을 연습해 보세요.
‘Used to’를 자유자재로 사용하게 되면 여러분의 영어 표현력이 한층 더 풍부해질 거예요. 과거를 자신감 있게 이야기하고 현재의 변화를 설명하는 여러분의 모습을 기대할게요. 꾸준히 연습하는 것, 잊지 마세요!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