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rough와 Via의 차이점: 통과와 경유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법
여행 계획을 세우거나 길을 설명할 때, ‘어디를 거쳐서’ 또는 ‘무엇을 통해서’ 가는지 표현해야 하는 경우가 많죠. 이때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Through”와 “Via”인데, 이 둘의 차이가 헷갈려서 잘못 사용하신 경험은 없으신가요? 걱정 마세요! 이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다양한 ‘통과’ 및 ‘경유’ 관련 영어 표현들을 쉽고 확실하게 알려드릴게요.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은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감 있게 경로를 설명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목차
- ‘통과’나 ‘경유’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물리적인 통과 (주로 Through 사용)
- 경유 및 수단 (주로 Via 사용)
- 과정 및 시간의 통과 (주로 Through 사용)
- 기타 관련 표현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하위 주제 1: Through, Via 외 유사 표현 (Across, Over, Past)
- 하위 주제 2: 경유 관련 상세 표현 (Connecting flight, Transfer, Layover/Stopover)
- 하위 주제 3: 비유적 표현에서의 Through/Via
-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요소 1: Through의 핵심 의미 – ‘관통’과 ‘과정’
- 요소 2: Via의 핵심 의미 – ‘경유’와 ‘수단’
- 요소 3: 문맥의 중요성 – 뉘앙스에 따른 선택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통과’나 ‘경유’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가장 기본적으로 ‘통과’의 의미를 전달할 때 떠올릴 수 있는 대표적인 단어는 바로 ‘Through’입니다. 이 단어 하나만 잘 이해해도 많은 상황에서 ‘통과’의 개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표현: Through
발음: 쓰루
뜻: ~을 통하여, ~을 지나서, ~을 관통하여
Through는 어떤 공간이나 물체의 내부를 관통하거나, 특정 장소 또는 기간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나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리적인 통과뿐만 아니라, 경험이나 과정을 겪는다는 추상적인 의미로도 폭넓게 사용되어 매우 중요한 전치사입니다. 예를 들어, 터널을 통과하거나 숲을 지나갈 때, 또는 어려운 시기를 겪어낼 때 모두 ‘Through’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Through’와 ‘Via’를 포함하여 통과와 경유를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들을 상황별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각 표현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고 적절한 상황에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리적인 통과 (주로 Through 사용)
어떤 장소나 공간의 내부를 지나가거나 관통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되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We drove through the tunnel.
발음: 위 드로우브 쓰루 더 터널.
뜻: 우리는 터널을 통과해서 운전했어요. -
표현: The train goes through several cities.
발음: 더 트레인 고우즈 쓰루 세브럴 시티즈.
뜻: 그 기차는 여러 도시를 통과합니다. -
표현: He walked through the crowd.
발음: 히 워<0xED><0x81><0xAC>트 쓰루 더 크라우드.
뜻: 그는 군중 속을 헤치며 걸어갔어요. -
표현: The sunlight came through the window.
발음: 더 선라이트 케임 쓰루 더 윈도우.
뜻: 햇빛이 창문을 통해 들어왔어요. -
표현: Let’s cut through the park to save time.
발음: 렛츠 컷 쓰루 더 파크 투 세이브 타임.
뜻: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공원을 가로질러 갑시다.
경유 및 수단 (주로 Via 사용)
특정 장소를 거쳐 가거나, 어떤 교통수단 또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We flew from Seoul to London via Dubai.
발음: 위 플루 프롬 서울 투 런던 바이아 두바이.
뜻: 우리는 두바이를 경유해서 서울에서 런던으로 비행했어요. -
표현: I sent the documents via email.
발음: 아이 센트 더 다큐먼츠 바이아 이메일.
뜻: 저는 이메일을 통해 서류를 보냈어요. -
표현: You can access the file via the shared drive.
발음: 유 캔 액세스 더 파일 바이아 더 쉐어드 드라이브.
뜻: 공유 드라이브를 통해 파일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표현: The package was delivered via courier.
발음: 더 패키지 워즈 딜리버드 바이아 커리어.
뜻: 그 소포는 택배를 통해 배달되었어요. -
표현: Can I pay via credit card?
발음: 캔 아이 페이 바이아 크레딧 카드?
뜻: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나요?
과정 및 시간의 통과 (주로 Through 사용)
어려움, 경험, 특정 기간 등을 처음부터 끝까지 겪거나 지나가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표현: She got through the difficult exam.
발음: 쉬 갓 쓰루 더 디피컬트 이그잼.
뜻: 그녀는 어려운 시험을 통과했어요. -
표현: We need to get through this tough time together.
발음: 위 니드 투 겟 쓰루 디스 터프 타임 투게더.
뜻: 우리는 이 힘든 시기를 함께 헤쳐나가야 합니다. -
표현: He worked through the night to finish the project.
발음: 히 워<0xED><0x81><0xAC>트 쓰루 더 나이트 투 피니쉬 더 프로젝트.
뜻: 그는 프로젝트를 끝내기 위해 밤새 일했어요. -
표현: I learned a lot through trial and error.
발음: 아이 런드 어 랏 쓰루 트라이얼 앤 에러.
뜻: 저는 시행착오를 통해 많은 것을 배웠어요.
기타 관련 표현
통과나 경유와 관련된 다른 유용한 표현들도 함께 알아두면 좋습니다.
-
표현: We need to pass through customs.
발음: 위 니드 투 패스 쓰루 커스텀즈.
뜻: 우리는 세관을 통과해야 합니다. -
표현: The bus will stop over in Busan for an hour.
발음: 더 버스 윌 스탑 오버 인 부산 포 언 아워.
뜻: 그 버스는 부산에서 한 시간 동안 잠시 정차할 것입니다. (stop over: 잠시 머무르다) -
표현: I have a long layover in Frankfurt.
발음: 아이 해브 어 롱 레이오버 인 프랑크푸르트.
뜻: 저는 프랑크푸르트에서 긴 환승 대기 시간이 있어요. (layover: 환승 대기 시간) -
표현: Just go past the post office, and you’ll see the bank.
발음: 저스트 고 패스트 더 포스트 오피스, 앤 유일 씨 더 뱅크.
뜻: 우체국을 그냥 지나가시면 은행이 보일 거예요. (go past: ~을 지나가다)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Through와 Via의 차이를 이해하고 다양한 표현을 익혔다면, 이제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몇 가지 핵심 포인트입니다.
-
포인트 1: 물리적 ‘관통’은 Through, ‘경유지/수단’은 Via!
가장 기본적인 구분법입니다. 터널, 숲, 문처럼 무언가의 안을 뚫고 지나가는 느낌은 Through를 사용하세요. 반면, 특정 도시를 ‘거쳐서’ 가거나 이메일, 전화 등 특정 ‘수단’을 이용할 때는 Via를 쓰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예: Walk through the park / Fly via Singapore) -
포인트 2: 과정이나 시간의 ‘겪음’도 Through!
물리적인 통과 외에도, 어려운 시기, 시험, 프로젝트 등 어떤 과정이나 기간을 처음부터 끝까지 경험하고 완료하는 뉘앙스는 Through를 사용합니다. (예: get through the exam / live through the war) -
포인트 3: Via는 정보 전달 경로에도 자주 사용!
물리적인 이동 경로뿐만 아니라, 정보나 메시지가 전달되는 경로를 나타낼 때 Via가 매우 흔하게 쓰입니다. 이메일(via email), 전화(via phone), 웹사이트(via the website) 등이 대표적입니다. -
포인트 4: 경유 시 ‘Stopover’와 ‘Layover’ 구분하기!
비행기 경유 시 잠시 머무는 것을 표현할 때, 보통 24시간 미만의 짧은 체류는 Layover, 24시간 이상의 긴 체류는 Stopover라고 구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상 대화에서는 혼용되기도 하므로 문맥 파악이 중요합니다. 항공권 규정을 확인할 때는 정확한 용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포인트 5: 구어체 vs. 문어체 사용 빈도!
Through는 구어체와 문어체 모두에서 매우 빈번하게 사용됩니다. Via는 구어체에서도 쓰이지만, 여행 일정, 공식 안내, 비즈니스 문서 등 좀 더 격식 있는 상황이나 문어체에서 더 자주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포인트 6: 지도/경로 설명 시 명확하게!
길을 안내하거나 여행 경로를 설명할 때는 Through와 Via를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해야 오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Go through the building” (건물 내부 통과)과 “Go via the main road” (주요 도로 이용)는 완전히 다른 의미가 됩니다. -
포인트 7: Through vs. Across 혼동 주의!
Through가 3차원적인 공간의 ‘내부’를 통과하는 느낌이라면, Across는 주로 2차원적인 표면을 ‘가로질러’ 건너는 느낌입니다. (예: swim across the river / walk through the forest). 이 차이를 인지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상황: 친구 사이인 A와 B가 함께 떠날 유럽 여행 계획을 짜고 있습니다. 항공편 경유와 도시 내 이동 경로에 대해 이야기하는 상황입니다.
역할:
- A: 여행 계획을 주도적으로 제안하는 친구
- B: 세부 사항을 확인하고 질문하는 친구
-
표현: A: Okay, I found some flight options for our trip to Paris. The cheapest one flies via Doha.
발음: 오케이, 아이 파운드 썸 플라이트 옵션즈 포 아워 트립 투 패리스. 더 치피스트 원 플라이즈 바이아 도하.
뜻: 좋아, 파리 여행 항공편 몇 개 찾아봤어. 가장 저렴한 건 도하를 경유해서 가네. -
표현: B: Via Doha? How long is the layover there? I hope it’s not too long.
발음: 바이아 도하? 하우 롱 이즈 더 레이오버 데어? 아이 호프 잇츠 낫 투 롱.
뜻: 도하 경유? 거기서 환승 대기 시간이 얼마나 돼? 너무 길지 않았으면 좋겠는데. -
표현: A: Let me check… It says we have a 4-hour layover. We’ll have to go through security again during the transfer.
발음: 렛 미 첵… 잇 세즈 위 해브 어 포-아워 레이오버. 윌 해브 투 고 쓰루 시큐리티 어게인 듀어링 더 트랜스퍼.
뜻: 확인해볼게… 4시간 대기라고 나와 있네. 환승하는 동안 보안 검색대를 다시 통과해야 할 거야. -
표현: B: 4 hours isn’t too bad. And once we’re in Paris, how are we getting from the airport to the hotel?
발음: 포 아워즈 이즌트 투 배드. 앤 원스 위아 인 패리스, 하우 아 위 게팅 프롬 디 에어포트 투 더 호텔?
뜻: 4시간이면 그리 나쁘진 않네. 그럼 파리에 도착하면 공항에서 호텔까지는 어떻게 가? -
표현: A: We can take the RER train which goes directly through the city center. Or we could get a taxi via a ride-sharing app.
발음: 위 캔 테이크 디 알이알 트레인 위치 고우즈 디렉틀리 쓰루 더 시티 센터. 오어 위 쿠드 겟 어 택시 바이아 어 라이드-쉐어링 앱.
뜻: 시내 중심부를 바로 통과하는 RER 기차를 탈 수 있어. 아니면 차량 공유 앱을 통해서 택시를 잡을 수도 있고. -
표현: B: Taking the train through the city sounds efficient. Is the station far from our hotel?
발음: 테이킹 더 트레인 쓰루 더 시티 사운즈 이피션트. 이즈 더 스테이션 파 프롬 아워 호텔?
뜻: 도시를 통과하는 기차를 타는 게 효율적이겠다. 역이 우리 호텔에서 멀어? -
표현: A: No, it’s just a short walk. We just need to walk through a small park near the station.
발음: 노, 잇츠 저스트 어 쇼트 워크. 위 저스트 니드 투 워크 쓰루 어 스몰 파크 니어 더 스테이션.
뜻: 아니, 그냥 조금만 걸으면 돼. 역 근처에 있는 작은 공원을 통과해서 걸어가기만 하면 돼. -
표현: B: Perfect. So, flight via Doha, then train through the city center, and walk through the park. Got it!
발음: 퍼펙트. 쏘, 플라이트 바이아 도하, 덴 트레인 쓰루 더 시티 센터, 앤 워크 쓰루 더 파크. 갓 잇!
뜻: 완벽해. 그럼, 도하 경유 항공편, 시내 중심 통과 기차, 그리고 공원 통과해서 걷기. 알겠어! -
표현: A: Exactly! And I’ll send you the detailed itinerary via email later today.
발음: 이그잭틀리! 앤 아일 센드 유 더 디테일드 아이티너러리 바이아 이메일 레이터 투데이.
뜻: 정확해! 그리고 자세한 일정은 오늘 중으로 이메일을 통해 보내줄게. -
표현: B: Sounds great! Thanks for figuring everything out. I’m getting excited!
발음: 사운즈 그레잇! 땡스 포 피겨링 에브리띵 아웃. 아임 게팅 익사이티드!
뜻: 아주 좋아! 모든 걸 알아봐 줘서 고마워. 기대되기 시작했어!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Via + 경유지/수단: 대화에서 “flies via Doha” (도하 경유 비행), “taxi via a ride-sharing app” (차량 공유 앱을 통한 택시), “send via email” (이메일을 통해 보내다)처럼 경유지나 수단을 나타낼 때 Via가 자연스럽게 사용되었습니다.
- Through + 통과: “go through security” (보안 검색대 통과), “goes directly through the city center” (시내 중심부 직행 통과), “walk through a small park” (작은 공원 통과) 등 물리적인 공간을 지나가는 의미로 Through가 사용되었습니다.
- Layover: 비행기 환승 시 중간 대기 시간을 의미하는 ‘Layover’는 여행 관련 대화에서 필수적인 단어입니다. “How long is the layover?”는 경유 시간을 묻는 매우 흔한 질문입니다.
- Figure out: “Thanks for figuring everything out.”에서 ‘figure out’은 ‘알아내다’, ‘이해하다’, ‘해결하다’ 등의 의미로, 무언가를 조사하거나 생각해서 답을 찾아내는 과정을 나타내는 유용한 구동사입니다.
- Itinerary: “detailed itinerary”에서 ‘itinerary’는 ‘여행 일정표’를 의미합니다. 여행 계획에 대해 이야기할 때 자주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Through와 Via 외에도 이동, 통과, 경유와 관련된 다양한 표현들이 있습니다. 이들의 미묘한 차이를 알아두면 더욱 풍부하고 정확한 영어 구사가 가능합니다.
하위 주제 1: Through, Via 외 유사 표현 (Across, Over, Past)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다른 전치사들과 Through/Via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단어는 고유한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 Across: 주로 평면적인 공간이나 표면을 ‘가로질러’ 건너는 것을 의미합니다. 강, 도로, 들판 등을 건널 때 자주 사용됩니다. Through가 3차원적인 ‘내부 통과’라면, Across는 2차원적인 ‘표면 횡단’에 가깝습니다.
- 예: We swam across the river. (우리는 강을 가로질러 수영했다.)
- 예: She walked across the field. (그녀는 들판을 가로질러 걸었다.)
- Over: 어떤 것의 ‘위로’ 넘어가거나 덮는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장애물(담, 울타리)을 넘거나, 다리 위를 건널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지점이나 지역 전체를 포괄하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 예: The plane flew over the mountains. (비행기가 산 위로 날아갔다.)
- 예: He jumped over the fence. (그는 울타리를 뛰어넘었다.)
- Past: 특정 지점이나 사물을 ‘지나쳐’ 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지점에 멈추거나 들어가지 않고 옆으로 통과하는 뉘앙스입니다.
- 예: Walk past the library and turn left. (도서관을 지나서 왼쪽으로 도세요.)
- 예: The car drove right past me. (차가 바로 내 옆을 지나갔다.)
이 단어들은 때때로 의미가 겹치거나 혼용될 수도 있지만, 기본적인 공간 개념의 차이를 이해하면 더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리를 건널 때 ‘walk across the bridge’ (다리 표면을 가로질러) 또는 ‘walk over the bridge’ (강 위를 건너) 모두 가능하지만, ‘walk through the bridge’는 다리 구조물 내부를 통과한다는 의미가 되어 일반적으로 어색합니다 (다리 아래 통로가 있다면 가능).
하위 주제 2: 경유 관련 상세 표현 (Connecting flight, Transfer, Layover/Stopover)
항공 여행 시 경유와 관련된 용어들을 정확히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혼동하기 쉬운 용어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Connecting flight: 최종 목적지까지 가기 위해 중간 공항에서 갈아타야 하는 ‘연결 항공편’ 자체를 의미합니다. “I have a connecting flight in Amsterdam.” (암스테르담에서 연결 항공편이 있어요.)
- Transfer: 동사로는 비행기를 ‘갈아타는 행위’를 의미하고, 명사로는 ‘환승’ 자체를 의미합니다. 공항 표지판에서 ‘Transfer Desk’ (환승 안내 데스크)나 ‘Flight Transfers’ (항공편 환승) 같은 문구를 볼 수 있습니다. “I need to transfer to flight KE907.” (KE907편으로 갈아타야 해요.)
- Layover / Stopover: 앞서 언급했듯이, 비행기를 갈아타기 위해 중간 공항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Layover는 24시간 미만, Stopover는 24시간 이상을 의미하는 경향이 있지만, 항공사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항공권 예약 시 또는 공항 직원에게 확인할 때 이 용어들을 사용하면 명확한 의사소통이 가능합니다. “My layover in Dubai is 3 hours long.” (두바이에서의 제 환승 대기 시간은 3시간입니다.) “We decided to have a two-day stopover in Singapore.” (우리는 싱가포르에서 이틀간 스탑오버하기로 결정했어요.)
이 용어들은 특히 공항에서 직원과 소통하거나 항공편 정보를 확인할 때 필수적이므로,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을 숙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수하물이 최종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연결되는지(checked through) 아니면 중간 경유지에서 찾아 다시 부쳐야 하는지(re-check baggage) 등을 확인할 때 이 용어들이 사용됩니다.
하위 주제 3: 비유적 표현에서의 Through/Via
Through와 Via는 물리적인 이동뿐만 아니라 추상적이고 비유적인 의미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이러한 용법을 이해하면 영어 표현의 폭을 넓힐 수 있습니다.
- Through (경험, 수단, 이유):
- 경험/과정: 어려움, 학습, 변화 등을 겪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예: learn through experience – 경험을 통해 배우다 / go through a hard time – 힘든 시기를 겪다)
- 수단/매개체: 어떤 것을 이루거나 알게 된 수단을 나타냅니다. Via와 유사하게 쓰일 때도 있지만, 좀 더 직접적인 연결이나 과정을 강조하는 뉘앙스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 I heard about the job through a friend. – 친구를 통해 그 일자리에 대해 들었다. / achieve success through hard work – 노력을 통해 성공을 이루다)
- 이유/원인: 어떤 결과가 발생한 원인이나 동기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 He lost his job through his own fault. – 그는 자신의 잘못으로 직장을 잃었다.)
- Via (수단, 매개체):
- 정보/통신 수단: 이메일, 전화, 인터넷 등 정보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를 나타낼 때 가장 흔하게 사용됩니다. (예: contact me via email –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 get information via the internet –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얻다)
- 사람/조직 매개: 어떤 사람이나 조직을 거쳐 정보나 요청이 전달될 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예: Please submit your application via the HR department. – 인사부를 통해 지원서를 제출해주세요.)
비유적인 의미에서는 Through가 좀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과정, 경험, 원인 등 다양한 뉘앙스를 포함하는 반면, Via는 주로 정보 전달이나 특정 경로/매개체를 명확히 지칭할 때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문맥 속에서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Through와 Via의 정확한 사용을 위해서는 각 단어의 핵심 의미와 사용되는 맥락을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 가지 핵심 요소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요소 1: Through의 핵심 의미 – ‘관통’과 ‘과정’
Through의 가장 근본적인 이미지는 3차원 공간의 ‘내부’를 통과하는 것입니다. 이는 물리적인 공간뿐 아니라 시간, 경험, 상태 등 추상적인 영역으로 확장됩니다.
- 물리적 관통: 터널, 숲, 문, 창문, 군중 등 명확한 경계가 있는 공간이나 집단의 안쪽을 시작부터 끝까지 지나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 The bullet went straight through the wall. – 총알이 벽을 똑바로 관통했다. / We hiked through the national park. – 우리는 국립공원을 통과하여 하이킹했다.)
- 시간의 경과: 특정 기간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경험하거나 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 sleep through the night – 밤새 자다 / work through the weekend – 주말 내내 일하다 / live through the 90s – 90년대를 겪으며 살다)
- 과정 및 경험의 완료: 시험, 어려움, 작업, 학습 등 어떤 시작과 끝이 있는 활동이나 경험을 완수하거나 겪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완료하거나 성공적으로 마쳤다는 뉘앙스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 read through the report – 보고서를 처음부터 끝까지 읽다 / talk through the problem – 문제에 대해 충분히 이야기하다 / get through the interview – 면접을 통과하다)
- 수단 및 매개 (원인 포함): 어떤 결과가 나타나게 된 수단, 방법, 또는 원인을 나타냅니다. Via와 겹치기도 하지만, 종종 더 직접적인 연결이나 인과관계를 암시합니다. (예: succeed through determination – 결단력을 통해 성공하다 / know someone through work – 일을 통해 누군가를 알다)
이처럼 Through는 ‘안으로 들어가서 끝까지 나오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상황에 적용됩니다. 실생활에서는 “Are you through with the newspaper?” (신문 다 보셨어요?) 처럼 ‘끝마쳤다’는 의미로도 자주 쓰입니다.
요소 2: Via의 핵심 의미 – ‘경유’와 ‘수단’
Via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본래 ‘길(way)’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따라서 핵심 의미는 어떤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가는 ‘경로’ 또는 사용하는 ‘수단/방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 경유지: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이동할 때 중간에 거치는 특정 장소를 명시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교통 경로, 특히 항공이나 기차 노선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 The flight to Rome is via Frankfurt. – 로마행 비행기는 프랑크푸르트를 경유합니다. / We drove to the coast via the scenic route. – 우리는 경치 좋은 길을 통해 해안가로 운전했다.)
- 수단/매개체: 정보 전달, 통신, 결제, 운송 등 어떤 행위를 하는 데 사용되는 구체적인 방법이나 도구를 나타냅니다. 기술 발달과 함께 이메일, 인터넷, 앱 등 디지털 매체를 지칭할 때 사용 빈도가 높아졌습니다. (예: pay via bank transfer – 계좌 이체를 통해 지불하다 / book tickets via the website – 웹사이트를 통해 표를 예매하다 / receive updates via SMS – SMS를 통해 업데이트를 받다)
- 매개 인물/조직: 어떤 요청이나 정보가 특정 사람이나 부서를 거쳐 전달될 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예: Send the report to the manager via his secretary. – 그의 비서를 통해 매니저에게 보고서를 보내세요.)
Via는 Through보다 의미 범위가 좁고 명확한 편입니다. 주로 ‘A를 거쳐서 B로’ 또는 ‘A라는 수단을 이용해서’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Through처럼 과정 전체를 겪는다는 뉘앙스보다는 중간 지점이나 사용된 도구를 명확히 밝히는 데 초점을 둡니다.
요소 3: 문맥의 중요성 – 뉘앙스에 따른 선택
대부분의 경우 Through와 Via는 명확히 구분되지만, 때로는 어떤 단어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전달되는 뉘앙스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문맥을 파악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에 더 적합한 단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예시 1: 정보 습득 경로
- “I learned about the event through a friend.” (친구를 통해 그 행사에 대해 알게 되었다.) – 친구와의 대화나 관계라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게 되었다는 뉘앙스를 줄 수 있습니다.
- “I received the information via a friend.” (친구를 통해 그 정보를 받았다.) – 친구가 정보 전달의 ‘매개체’ 역할을 했다는 점을 더 강조할 수 있습니다. Via가 좀 더 공식적이거나 정보 전달 경로를 명확히 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예시 2: 길 안내
- “You can get to the station by going through the shopping mall.” (쇼핑몰을 통과해서 역으로 갈 수 있습니다.) – 쇼핑몰 ‘내부’를 가로질러 가야 한다는 의미를 명확히 전달합니다.
- “The fastest way is via the highway.” (가장 빠른 길은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 고속도로라는 ‘경로/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고속도로 ‘위’를 달리는 것이지, 고속도로를 ‘관통’하는 것은 아니므로 Through는 어색합니다.
- 예시 3: 문제 해결
- “We talked through our issues.” (우리는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충분히 이야기했다.) – 문제의 처음부터 끝까지 깊이 있게 논의하고 해결하려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 “We resolved the issue via negotiation.” (우리는 협상을 통해 그 문제를 해결했다.) – 협상이라는 ‘수단’을 사용했음을 명확히 합니다.
이처럼 문맥 속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이 ‘과정’이나 ‘관통’인지, 아니면 ‘경유지’나 ‘수단’인지에 따라 적절한 단어를 선택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애매하다고 느껴질 때는 더 명확한 다른 단어(예: using, by means of, passing through 등)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자, 이제 ‘Through’와 ‘Via’의 차이점이 명확하게 느껴지시나요? 처음에는 비슷해 보여서 헷갈릴 수 있지만, 오늘 배운 내용을 떠올려보면 생각보다 구분하기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셨을 거예요!
Through는 무언가의 내부를 ‘관통’하거나 시간, 경험 등의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겪는 느낌을 기억해주세요. 터널을 지나고, 어려운 시기를 헤쳐나가고, 보고서를 꼼꼼히 읽는 모든 과정에 Through가 함께합니다.
반면 Via는 특정 장소를 ‘경유’하거나 이메일, 특정 도로 같은 ‘수단’이나 ‘경로’를 이용하는 상황을 떠올리면 됩니다. 비행기 표에 적힌 경유지나, “이메일로 보내주세요”라고 말할 때 자연스럽게 Via를 사용할 수 있죠.
물론, 언어 학습에는 연습이 필수입니다! 오늘 배운 표현들을 실생활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해보는 것이 중요해요. 예를 들어, 다음 여행 계획을 세울 때 일부러 Through와 Via를 사용해서 경로를 설명해보거나, 영어 뉴스를 읽거나 영화를 보면서 이 단어들이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지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친구와 영어로 대화할 기회가 있다면, 길을 묻거나 설명할 때 배운 표현을 활용해보세요!
혹시 실수하더라도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실수는 당연하며, 오히려 성장의 밑거름이 된답니다. 중요한 것은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배우고 사용하려는 노력이에요.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는 ‘통과’와 ‘경유’를 영어로 표현해야 할 때 훨씬 더 자신감 있는 여러분이 되어 있을 거예요!
다음 단계 제안: Through와 Via에 익숙해졌다면, Across, Over, Past 등 다른 공간/이동 관련 전치사들의 미묘한 차이를 더 깊이 공부해 보세요. 또한, ‘get through’, ‘go through’, ‘pass through’ 등 관련 구동사들을 익히면 더욱 풍부한 표현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실천 계획 제안:
- 이번 주 안에 영어로 된 지도나 길 안내 설명을 찾아 Through와 Via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확인해보세요.
- 자신의 일상적인 이동 경로(출퇴근길, 등하굣길 등)를 영어로 설명하면서 Through와 Via를 사용해보는 짧은 글을 써보세요.
- 다음 영어 대화 기회에 의식적으로 Through 또는 Via를 사용한 문장을 최소 한 번 이상 말해보세요!
여러분의 영어 학습 여정을 항상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