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 That 구문 완벽 정복: 목적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영어 비법
영어 문장에서 ‘왜?’라는 질문에 답하거나 어떤 행동의 목적을 설명해야 할 때, 어떤 표현을 써야 할지 막막하게 느껴질 때가 있으셨나요? 문장을 더 논리적이고 명확하게 만들고 싶은데, 적절한 연결고리를 찾기 어려우셨을 수도 있습니다. 걱정 마세요! ‘so that’ 구문은 바로 이럴 때 여러분의 영어 실력을 한 단계 끌어올려 줄 마법 같은 도구랍니다. 이 글을 통해 ‘so that’ 구문의 의미와 다양한 쓰임새를 배우고, 실제 대화에서 자신감 있게 활용하는 방법을 쉽고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저와 함께 ‘so that’ 구문을 마스터하고, 여러분의 영어 표현력을 풍부하게 만들어 보아요!
목차
‘So that’ 구문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영어에서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문장을 연결할 때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표현이 있습니다. 바로 ‘so that’입니다. 이 구문을 사용하면 행동의 이유나 의도를 명확하게 전달하여 문장의 논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표현: so that
발음: [소우 댓]
뜻: ~하기 위해서, ~하도록 (목적); 그 결과 ~하다 (결과)
‘so that’은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며, 주로 앞선 행동이 뒤따르는 결과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임을 나타냅니다. 일상 대화부터 공식적인 글쓰기까지 폭넓게 사용되므로,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표현 하나만 잘 익혀두어도 영어 문장의 완성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So that’ 영어 문장
‘so that’ 구문은 다양한 상황에서 목적이나 결과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어떤 의도나 결과를 강조하고 싶은지에 따라 조동사(can, could, will, would, may, might)와 함께 쓰이거나, 때로는 조동사 없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상황별로 ‘so that’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구체적인 문장들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적 표현하기 (현재/미래)
어떤 행동을 하는 이유나 의도를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주로 ‘can’, ‘will’, ‘may’와 같은 조동사와 함께 쓰여 미래의 가능성이나 의지를 나타냅니다.
-
표현: I’m saving money so that I can buy a new car next year.
발음: [아임 세이빙 머니 소우 댓 아이 캔 바이 어 뉴 카 넥스트 이어]
뜻: 나는 내년에 새 차를 사기 위해서 돈을 모으고 있어요. -
표현: Please speak clearly so that everyone can understand you.
발음: [플리즈 스피크 클리얼리 소우 댓 에브리원 캔 언더스탠드 유]
뜻: 모든 사람이 당신을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말씀해 주세요. -
표현: We should leave early so that we will arrive on time.
발음: [위 슈드 리브 얼리 소우 댓 위 윌 어라이브 온 타임]
뜻: 우리는 정시에 도착하기 위해서 일찍 떠나야 해요. -
표현: He studies English every day so that he can study abroad.
발음: [히 스터디즈 잉글리시 에브리 데이 소우 댓 히 캔 스터디 어브로드]
뜻: 그는 해외 유학을 가기 위해서 매일 영어를 공부해요. -
표현: Turn down the music so that the baby can sleep.
발음: [턴 다운 더 뮤직 소우 댓 더 베이비 캔 슬립]
뜻: 아기가 잘 수 있도록 음악 소리를 줄여주세요.
목적 표현하기 (과거)
과거에 어떤 행동을 했던 목적을 설명할 때는 ‘could’, ‘would’, ‘might’와 같은 과거형 조동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
표현: She worked hard so that she could support her family.
발음: [쉬 웍트 하드 소우 댓 쉬 쿠드 서포트 허 패밀리]
뜻: 그녀는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서 열심히 일했어요. -
표현: He whispered so that nobody else could hear the secret.
발음: [히 위스퍼드 소우 댓 노바디 엘스 쿠드 히어 더 시크릿]
뜻: 그는 다른 아무도 그 비밀을 듣지 못하도록 속삭였어요. -
표현: They booked the tickets in advance so that they would get good seats.
발음: [데이 북트 더 티켓츠 인 어드밴스 소우 댓 데이 우드 겟 굿 시츠]
뜻: 그들은 좋은 자리를 얻기 위해서 미리 표를 예매했어요. -
표현: I gave him my phone number so that he could call me later.
발음: [아이 게이브 힘 마이 폰 넘버 소우 댓 히 쿠드 콜 미 레이터]
뜻: 나는 그가 나중에 나에게 전화할 수 있도록 내 전화번호를 주었어요. -
표현: We practiced every day so that we might win the competition.
발음: [위 프랙티스트 에브리 데이 소우 댓 위 마이트 윈 더 컴페티션]
뜻: 우리는 대회에서 우승할 수 있도록 매일 연습했어요. (might는 could보다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
결과 표현하기
때로는 ‘so that’이 목적보다는 결과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 경우, 앞선 행동이나 상황이 뒤따르는 결과의 원인이 됨을 보여줍니다. 조동사 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표현: It rained heavily last night, so that the streets were flooded this morning.
발음: [잇 레인드 헤빌리 라스트 나잇, 소우 댓 더 스트리츠 워 플러디드 디스 모닝]
뜻: 어젯밤에 비가 많이 와서, 그 결과 오늘 아침에 거리가 침수되었어요. -
표현: He didn’t study for the test, so that he failed it.
발음: [히 디든트 스터디 포 더 테스트, 소우 댓 히 페일드 잇]
뜻: 그는 시험공부를 하지 않아서, 그 결과 시험에 떨어졌어요. -
표현: The fog was thick, so that we couldn’t see the road ahead.
발음: [더 포그 워즈 씩, 소우 댓 위 쿠든트 씨 더 로드 어헤드]
뜻: 안개가 짙어서, 그 결과 우리는 앞길을 볼 수 없었어요. -
표현: She spoke very quickly, so that I couldn’t understand her well.
발음: [쉬 스포크 베리 퀵클리, 소우 댓 아이 쿠든트 언더스탠드 허 웰]
뜻: 그녀는 말을 매우 빨리 해서, 그 결과 나는 그녀의 말을 잘 이해할 수 없었어요. -
표현: The company invested heavily in new technology, so that its produ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발음: [더 컴퍼니 인베스티드 헤빌리 인 뉴 테크놀로지, 소우 댓 잇츠 프로덕티비티 인크리스드 시그니피컨틀리]
뜻: 그 회사는 신기술에 막대한 투자를 했고, 그 결과 생산성이 크게 증가했어요.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So that’ 구문 핵심 포인트
‘so that’ 구문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해 알아두면 좋은 몇 가지 핵심 포인트가 있습니다. 이 포인트들을 기억하면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목적과 결과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포인트 1: 목적 vs. 결과 구분하기
‘so that’은 주로 목적(~하기 위해서)을 나타내지만, 때로는 결과(그 결과 ~하다)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문맥을 통해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적을 나타낼 때는 ‘so that’ 뒤에 can, will, may 등 조동사가 자주 사용됩니다. 결과를 나타낼 때는 조동사 없이 사용되거나, 상황에 따라 ‘could’, ‘would’ 등이 쓰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I saved money so that I could buy a car.”는 목적이지만, “It rained heavily, so that the game was cancelled.”는 결과입니다.
* 포인트 2: 조동사 선택의 중요성
목적을 나타낼 때 ‘so that’ 뒤에 오는 조동사는 미묘한 의미 차이를 만듭니다. ‘can/could’는 능력이나 가능성, ‘will/would’는 의지나 예상, ‘may/might’는 허가나 약한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상황에 맞는 조동사를 선택해야 의도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Study hard so that you can pass.” (능력) vs. “Study hard so that you will pass.” (의지/예상).
* 포인트 3: ‘So that’과 ‘So…that’의 차이
‘so that’은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사 구문인 반면, ‘so + 형용사/부사 + that’은 정도나 원인-결과를 강조하는 구문입니다. “He spoke clearly so that we could hear.” (목적: 우리가 들을 수 있도록) vs. “He spoke so clearly that we could hear.” (정도/결과: 너무 명확하게 말해서 우리가 들을 수 있었다). 두 구문의 형태와 의미 차이를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 포인트 4: 콤마(,) 사용 규칙
일반적으로 목적을 나타내는 ‘so that’ 앞에는 콤마를 쓰지 않습니다. 하지만 결과를 나타내거나, 문장이 길어져 의미 구분이 필요할 때는 ‘so that’ 앞에 콤마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He saved money so that he could travel.” (목적, 콤마 없음) vs. “The storm was severe, so that all flights were cancelled.” (결과, 콤마 사용 가능).
* 포인트 5: 격식 수준에 따른 표현 선택
‘so that’은 비교적 일반적인 표현입니다. 더 격식 있는 상황에서는 ‘in order tha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의미는 ‘so that’과 거의 동일하지만, 문어체나 공식적인 연설 등에서 선호됩니다. “We require attendees to register in advance in order that we can prepare adequately.” (적절히 준비하기 위해서 참석자들의 사전 등록을 요구합니다.)
* 포인트 6: 부정 목적 표현하기
‘~하지 않기 위해서’라는 부정적인 목적을 나타낼 때는 ‘so that … not’ 또는 ‘so that … won’t/can’t/couldn’t’ 등의 형태로 사용합니다. “Whisper so that the baby won’t wake up.” (아기가 깨지 않도록 속삭여라.) 또는 더 격식 있게 “Lest”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드뭅니다.
* 포인트 7: 주절과 종속절의 시제 일치
주절의 시제가 현재이면 ‘so that’ 절에는 현재형 조동사(can, will, may)를, 주절의 시제가 과거이면 과거형 조동사(could, would, might)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물론, 의미에 따라 예외는 있을 수 있습니다. “I study hard so that I can succeed.” (현재-현재) vs. “I studied hard so that I could succeed.” (과거-과거).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So that’을 활용한 목적 설명 대화
**상황:** 친구 사이인 A와 B가 주말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A는 일찍 만나자고 제안하고, B는 그 이유를 묻습니다. A는 ‘so that’ 구문을 사용하여 자신의 계획과 목적을 설명합니다.
**역할:**
* A: 주말 계획을 제안하는 사람
* B: 이유를 묻고 계획에 대해 이야기하는 사람
-
표현: A: Hey B, are you free this Saturday? I was thinking we could go hiking.
발음: [헤이 비, 아 유 프리 디스 새터데이? 아이 워즈 띵킹 위 쿠드 고 하이킹.]
뜻: 안녕 B, 이번 주 토요일에 시간 있어? 우리 하이킹 갈까 생각 중이었어. -
표현: B: Hiking sounds great! What time were you thinking of starting?
발음: [하이킹 사운즈 그레잇! 왓 타임 워 유 띵킹 오브 스타팅?]
뜻: 하이킹 좋다! 몇 시쯤 시작할 생각이야? -
표현: A: How about we meet early, say 7 AM? I want to start early so that we can avoid the afternoon heat.
발음: [하우 어바웃 위 밋 얼리, 세이 세븐 에이엠? 아이 원트 투 스타트 얼리 소우 댓 위 캔 어보이드 디 애프터눈 히트.]
뜻: 아침 7시처럼 일찍 만나는 건 어때? 오후 더위를 피할 수 있도록 일찍 시작하고 싶어. -
표현: B: 7 AM? That’s quite early. Is the heat the only reason?
발음: [세븐 에이엠? 대츠 콰잇 얼리. 이즈 더 히트 디 온리 리즌?]
뜻: 오전 7시? 꽤 이르네. 더위가 유일한 이유야? -
표현: A: Well, also, I checked the trail information. We need to finish before 3 PM so that we don’t get caught in the park after closing time. They close the main gate then.
발음: [웰, 올소, 아이 첵트 더 트레일 인포메이션. 위 니드 투 피니시 비포 쓰리 피엠 소우 댓 위 돈트 겟 코트 인 더 파크 애프터 클로징 타임. 데이 클로즈 더 메인 게이트 덴.]
뜻: 음, 그리고 등산로 정보도 확인해봤어. 폐장 시간 이후에 공원에 갇히지 않으려면 오후 3시 전에 끝내야 해. 그때 정문을 닫는대. -
표현: B: Ah, I see. That makes sense. Did you prepare anything special for the hike?
발음: [아, 아이 씨. 댓 메익스 센스. 디쥬 프리페어 애니띵 스페셜 포 더 하이크?]
뜻: 아, 그렇구나. 일리 있네. 하이킹을 위해 뭐 특별히 준비한 거 있어? -
표현: A: Yes, I packed extra water and some energy bars so that we stay hydrated and energized throughout the hike. I also brought a first-aid kit, just in case.
발음: [예스, 아이 팩트 엑스트라 워터 앤 썸 에너지 바즈 소우 댓 위 스테이 하이드레이티드 앤 에너자이즈드 쓰루아웃 더 하이크. 아이 올소 브롯 어 퍼스트-에이드 킷, 저스트 인 케이스.]
뜻: 응, 하이킹 내내 수분과 에너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물이랑 에너지 바를 여분으로 챙겼어. 혹시 몰라서 구급상자도 가져왔고. -
표현: B: Wow, you’re well-prepared! Okay, 7 AM it is. I’ll set my alarm so that I don’t oversleep.
발음: [와우, 유아 웰-프리페어드! 오케이, 세븐 에이엠 잇 이즈. 아일 셋 마이 알람 소우 댓 아이 돈트 오버슬립.]
뜻: 와, 준비 철저하네! 좋아, 오전 7시로 하자. 늦잠 자지 않도록 알람 맞춰 놓을게. -
표현: A: Perfect! I also downloaded the trail map onto my phone so that we won’t get lost even if we lose signal.
발음: [퍼펙트! 아이 올소 다운로디드 더 트레일 맵 온투 마이 폰 소우 댓 위 원트 겟 로스트 이븐 이프 위 루즈 시그널.]
뜻: 완벽해! 신호가 끊겨도 길을 잃지 않도록 등산로 지도를 내 폰에 다운로드 받아놨어. -
표현: B: You’ve thought of everything! I’m really looking forward to it now. I’ll bring some fruit so that we have something refreshing at the summit.
발음: [유브 쏫 오브 에브리띵! 아임 리얼리 루킹 포워드 투 잇 나우. 아일 브링 썸 프룻 소우 댓 위 해브 썸띵 리프레싱 앳 더 서밋.]
뜻: 모든 걸 다 생각했구나! 이제 정말 기대된다. 정상에서 상큼하게 먹을 게 있도록 내가 과일 좀 가져갈게.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1. **목적의 명확화:** A는 ‘so that’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일찍 출발하는 이유(더위 피하기, 폐장 시간 전에 마치기), 준비물(수분/에너지 유지, 길 잃지 않기) 등 자신의 행동과 계획 뒤에 있는 목적을 명확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는 B가 상황을 이해하고 계획에 동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조동사 활용:** 목적을 나타내기 위해 ‘can’ (so that we can avoid), ‘don’t’ (so that we don’t get caught – 현재 시제 부정), ‘stay’ (so that we stay hydrated – 조동사 생략 가능, 현재 시제), ‘don’t’ (so that I don’t oversleep), ‘won’t’ (so that we won’t get lost – 미래 부정), ‘have’ (so that we have something – 조동사 생략 가능, 현재 시제)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so that’ 뒤에 오는 절이 목적을 나타낼 때 다양한 시제와 조동사, 또는 조동사 없이도 쓰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3. **’So that … not’ 활용:** “so that we don’t get caught” 와 “so that I don’t oversleep”는 ‘~하지 않기 위해서’라는 부정적인 목적을 효과적으로 표현합니다. 이는 긍정적인 목적만큼이나 자주 사용되는 형태입니다.
4. **구체적인 이유 제시:** 단순히 “일찍 가자”고 하는 대신, “so that we can avoid the afternoon heat” 와 같이 구체적인 이유를 ‘so that’으로 연결하여 설득력을 높였습니다. 상대방에게 계획이나 제안의 타당성을 설명할 때 유용합니다.
5. **표현 분석: “so that we stay hydrated and energized”**
* 여기서는 조동사 ‘can’이나 ‘will’이 생략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so that we *can* stay…). 구어체에서는 목적을 나타낼 때 이렇게 조동사를 생략하고 현재 시제 동사를 쓰기도 합니다. 의미는 “우리가 수분과 에너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입니다.
6. **표현 분석: “so that we won’t get lost even if we lose signal”**
* ‘won’t’ (will not)를 사용하여 미래에 길을 잃지 않을 것이라는 목적/예방 조치를 나타냅니다. ‘even if’ (~하더라도) 구문과 함께 쓰여, 특정 조건(신호가 끊기는 상황)에서도 목적(길을 잃지 않음)이 달성될 것임을 강조합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So that’과 관련된 유용한 표현들
‘so that’ 구문을 이해하는 것 외에도, 목적이나 결과를 표현하는 다른 방법들과 ‘so that’의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아는 것은 영어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몇 가지 추가 정보를 통해 ‘so that’ 활용 능력을 더욱 높여보겠습니다.
* **하위 주제 1: ‘So that’ vs. ‘In order that’**
‘so that’과 ‘in order that’은 거의 동일한 의미(~하기 위해서)로 사용되며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끕니다. 하지만 격식 수준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so that’은 일상 대화나 비격식적인 글쓰기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반면, ‘in order that’은 주로 격식적인 문어체나 공식적인 연설에서 선호됩니다. 예를 들어, 학술 논문이나 공식 보고서에서는 ‘in order that’이 더 적합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So that:* “Please provide your details so that we can contact you.” (연락드릴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주세요.) – 일반적
* *In order that:* “Participants are requested to register by Friday in order that seating arrangements can be finalized.” (좌석 배정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참가자들은 금요일까지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 격식적
의미상 큰 차이는 없으므로, 상황과 대상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구어체에서는 ‘so that’이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 **하위 주제 2: 목적을 나타내는 부정사 구문 (to, in order to, so as to)**
‘so that’ 절 대신 부정사 구문(to-infinitive)을 사용하여 목적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이는 문장을 더 간결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in order to’와 ‘so as to’는 단순 ‘to’ 부정사보다 목적의 의미를 더 명확하게 강조하며, ‘so that’보다 약간 더 격식 있는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주절과 목적을 나타내는 구문의 주어가 같을 때 주로 부정사 구문을 사용합니다.
* *So that:* “He saved money so that he could buy a house.”
* *To:* “He saved money to buy a house.” (집을 사기 위해 돈을 모았다.)
* *In order to:* “He saved money in order to buy a house.” (집을 사기 위해 돈을 모았다. – 목적 강조)
* *So as to:* “He saved money so as to buy a house.” (집을 사기 위해 돈을 모았다. – 목적 강조, in order to보다 덜 흔함)
부정적인 목적(~하지 않기 위해)을 나타낼 때는 ‘in order not to’ 또는 ‘so as not to’를 사용합니다. “He whispered in order not to wake the baby.” (아기를 깨우지 않기 위해 속삭였다.)
* **하위 주제 3: ‘Lest’ – 부정 목적의 격식 표현**
‘~하지 않도록’, ‘~할까 봐’라는 부정적인 목적을 나타내는 매우 격식 있는 표현으로 ‘lest’가 있습니다. ‘lest’ 뒤에는 보통 조동사 ‘should’가 오거나, 현대 영어에서는 동사 원형(가정법 현재)이 오기도 합니다. 하지만 ‘lest’는 현대 일상 영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주로 문학 작품이나 매우 격식적인 문맥에서 발견됩니다. 일상 대화에서는 ‘so that … not’ 이나 ‘in case’ (~할 경우에 대비해서)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 *Lest:* “She checked her notes carefully lest she should forget any important points.” (중요한 점을 잊지 않도록 노트를 꼼꼼히 확인했다.) – 매우 격식
* *So that…not:* “She checked her notes carefully so that she wouldn’t forget any important points.” – 일반적
* *In case:* “She checked her notes carefully in case she forgot any important points.” – ~할 경우에 대비해서
* **하위 주제 4: 결과의 ‘So that’과 콤마**
앞서 언급했듯이, ‘so that’이 결과를 나타낼 때는 앞에 콤마(,)를 찍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목적을 나타내는 ‘so that’과의 혼동을 피하고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결과를 나타내는 ‘so that’은 ‘and as a result’ 또는 ‘and therefore’와 비슷한 의미를 가집니다.
* “The flight was delayed for hours, so that we missed our connecting flight.” (비행기가 몇 시간 지연되어서, 그 결과 우리는 연결 항공편을 놓쳤다.)
이 경우 ‘so that’은 두 개의 독립된 절(비행기 지연, 연결편 놓침) 사이의 인과 관계를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So that’ 구문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so that’ 구문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구조와 구성 요소를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구문을 이루는 핵심 요소들을 세부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 **핵심 요소 1: 접속사로서의 기능**
‘so that’은 두 개의 절(주절과 종속절)을 연결하는 접속사 역할을 합니다. 주절은 주된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고, ‘so that’이 이끄는 종속절은 그 행동의 목적이나 결과를 설명합니다. ‘so that’은 종속절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이며, 문장 내에서 논리적인 흐름을 만들어 줍니다.
* [주절: We exercise regularly] + [접속사: so that] + [종속절: we can stay healthy]. (우리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규칙적으로 운동한다.)
이 구조는 ‘왜’ 그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답을 명확하게 제공합니다.
* **핵심 요소 2: 조동사(Modal Verbs)의 역할과 선택**
목적을 나타내는 ‘so that’ 절에서는 조동사가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어떤 조동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목적의 뉘앙스가 달라집니다.
* **Can/Could:** 능력, 가능성 (“Study hard so that you *can* pass.” – 통과할 능력을 갖추기 위해)
* **Will/Would:** 의지, 의도, 예상 (“I’ll leave now so that I *will* be there on time.” – 정시에 도착할 의도로)
* **May/Might:** 허가, 약한 가능성, 희망 (“Leave the door open so that he *may* find his way out.” – 그가 길을 찾을 수도 있도록)
주절의 시제에 맞춰 조동사의 시제(현재형/과거형)를 일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He *studies*… so that he *can*… / He *studied*… so that he *could*…)
* **핵심 요소 3: 주어의 일치 여부**
‘so that’ 구문에서는 주절의 주어와 종속절의 주어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습니다.
* **주어 일치:** “I saved money so that *I* could buy a car.” (내가 돈을 모았고, 내가 차를 사기 위해)
* **주어 불일치:** “I spoke slowly so that *they* could understand.” (내가 천천히 말했고, 그들이 이해하기 위해)
주어가 다른 경우, 목적을 나타내는 부정사 구문(‘to’, ‘in order to’, ‘so as to’)으로 대체하기 어렵습니다. 주절과 종속절의 주어가 다를 때는 ‘so that’ 구문을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 **핵심 요소 4: 구어체에서의 ‘That’ 생략**
비격식적인 구어체에서는 ‘so that’에서 ‘that’이 생략되고 ‘so’만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때의 ‘so’는 목적보다는 결과를 나타내는 등위접속사 ‘so'(그래서)와 혼동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하지만 문맥상 목적의 의미가 명확하다면 ‘that’ 생략이 가능합니다.
* “Come closer so (that) I can see you.” (내가 널 볼 수 있게 더 가까이 와.)
* “I need to finish this work early so (that) I can go to the party.” (파티에 갈 수 있도록 이 일을 일찍 끝내야 해.)
글쓰기나 좀 더 명확한 의사 전달이 필요할 때는 ‘that’을 생략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며: ‘So that’으로 목적을 자신감 있게 표현하기!
‘so that’ 구문, 이제 좀 더 친숙하게 느껴지시나요?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보일 수 있지만, 오늘 배운 내용들을 차근차근 살펴보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셨을 거예요. ‘so that’은 단순히 문법 규칙을 넘어, 여러분의 생각과 의도, 즉 어떤 행동을 하는 ‘이유’를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전달하는 아주 유용한 도구랍니다!
이제 여러분은 영어로 대화하거나 글을 쓸 때, “~하기 위해서” 또는 “~하도록” 이라는 목적을 표현하고 싶을 때 자신감 있게 ‘so that’을 활용할 수 있을 거예요. “I’m studying English hard so that I can communicate better.” 처럼 여러분의 목표를 영어로 직접 말해보는 연습부터 시작해보세요!
여기서 멈추지 마시고, ‘so that’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in order to’, ‘so as to’ 같은 부정사 구문이나, 격식 있는 표현인 ‘in order that’도 함께 비교하며 익혀두면 더욱 풍부한 영어 표현이 가능해질 거예요. 영화나 미드를 보거나 영어 기사를 읽을 때 ‘so that’이 어떻게 쓰이는지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도 좋은 학습 방법이랍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작은 목표부터 세워보는 건 어떨까요?
1단계: 오늘 하루 동안 ‘so that’을 사용한 영어 문장 3개 만들어보기 (예: “I will finish my homework early so that I can watch a movie.”)
2단계: 영어 일기를 쓸 때 의식적으로 ‘so that’을 사용하여 나의 계획이나 행동의 목적 설명해보기
3단계: 영어 회화 스터디나 친구와의 대화에서 자연스럽게 ‘so that’ 사용해보기
꾸준한 연습만이 실력 향상의 지름길이라는 점, 잊지 마세요! ‘so that’ 구문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며 여러분의 영어 실력이 한 단계 더 성장하기를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