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hould have과 Ought to have: 후회 표현, 제대로 알고 쓰기
지나간 일에 대해 ‘아, 그때 ~했어야 했는데…’ 하고 후회해 본 적 있으신가요? 영어로 이런 아쉬움을 표현할 때 자주 등장하는 ‘Should have’와 ‘Ought to have’, 비슷해 보이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답니다. 오늘 이 두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 그리고 다양한 후회 관련 영어 표현들을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이제 과거의 아쉬움도 영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해 보세요!
목차
후회의 기본: Should have + 과거분사
- 표현: Should have + past participle
발음: [슈드 해브 + 과거분사]
뜻: ~했어야 했다 (과거에 하지 않은 일에 대한 후회나 유감)
Should have + 과거분사: 이렇게 사용해요
이 표현은 과거에 했어야 했지만 하지 않은 일에 대한 일반적인 후회나 유감을 나타낼 때 가장 흔하게 사용됩니다.
- 표현: I should have listened to your advice.
발음: [아이 슈드 해브 리슨드 투 유어 어드바이스]
뜻: 네 조언을 들었어야 했는데. - 표현: He should have saved more money when he was younger.
발음: [히 슈드 해브 세이브드 모어 머니 웬 히 워즈 영거]
뜻: 그는 젊었을 때 돈을 더 모았어야 했어. - 표현: We should have left earlier to avoid the traffic.
발음: [위 슈드 해브 레프트 얼리어 투 어보이드 더 트래픽]
뜻: 교통 체증을 피하려면 더 일찍 떠났어야 했어요. - 표현: You shouldn’t have said that to her.
발음: [유 슈든트 해브 세드 댓 투 허]
뜻: 그녀에게 그런 말을 하지 말았어야 했어. (부정형) - 표현: They should have checked the weather forecast before hiking.
발음: [데이 슈드 해브 첵트 더 웨더 포캐스트 비포 하이킹]
뜻: 그들은 등산 가기 전에 일기 예보를 확인했어야 했어. - 표현: I should have studied harder for the exam.
발음: [아이 슈드 해브 스터디드 하더 포 디 이그잼]
뜻: 시험공부를 더 열심히 했어야 했는데. - 표현: She should have called me back.
발음: [쉬 슈드 해브 콜드 미 백]
뜻: 그녀가 나에게 다시 전화했어야 했는데. - 표현: You should have told me you were coming.
발음: [유 슈드 해브 톨드 미 유 워 커밍]
뜻: 네가 온다고 나에게 말했어야지.
Ought to have + 과거분사: 조금 더 격식 있게
‘Ought to have + 과거분사’는 ‘Should have + 과거분사’와 의미는 비슷하지만, 조금 더 격식적인 느낌을 주거나 도덕적 의무나 책임감을 강조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빈도수는 ‘Should have’보다 낮습니다.
- 표현: You ought to have apologized for your mistake.
발음: [유 오투 해브 어폴로자이즈드 포 유어 미스테이크]
뜻: 너는 네 실수에 대해 사과했어야 했어. (도덕적 뉘앙스) - 표현: He ought to have known better than to do that.
발음: [히 오투 해브 노운 베러 댄 투 두 댓]
뜻: 그는 그런 짓을 하지 않을 만큼 더 분별력이 있었어야 했어. - 표현: We ought to have considered the consequences more carefully.
발음: [위 오투 해브 컨시더드 더 컨시퀀시스 모어 케어풀리]
뜻: 우리는 결과를 더 신중하게 고려했어야 했어요. - 표현: She ought to have been more careful with her words.
발음: [쉬 오투 해브 빈 모어 케어풀 위드 허 워즈]
뜻: 그녀는 말을 좀 더 조심했어야 했어. - 표현: They ought to have followed the rules.
발음: [데이 오투 해브 팔로우드 더 룰즈]
뜻: 그들은 규칙을 따랐어야 했어. (의무 강조) - 표현: I ought to have finished this report by yesterday.
발음: [아이 오투 해브 피니쉬트 디스 리포트 바이 예스터데이]
뜻: 나는 어제까지 이 보고서를 끝냈어야 했어. (책임감) - 표현: You ought not to have spent so much money. (oughtn’t to have)
발음: [유 오투 낫 투 해브 스펜트 쏘 머치 머니 (오튼트 투 해브)]
뜻: 너는 그렇게 많은 돈을 쓰지 말았어야 했어. (부정형) - 표현: The government ought to have acted sooner.
발음: [더 거번먼트 오투 해브 액티드 수너]
뜻: 정부는 더 빨리 조치를 취했어야 했어.
Should have vs Ought to have: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두 표현 모두 과거에 하지 않은 일에 대한 후회나 유감을 나타내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 Should have + p.p.: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개인적인 후회, 아쉬움, 과거 상황에 대한 조언 등 넓은 범위에서 쓰입니다.
- Ought to have + p.p.: ‘Should have’보다 사용 빈도가 낮고 다소 격식적인 느낌을 줍니다. 때로는 마땅히 했어야 할 도덕적 의무나 책임감을 다하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일상 대화에서는 ‘Should have’가 훨씬 자연스럽고 자주 쓰입니다. ‘Ought to have’는 조금 더 강조하거나 격식을 갖춰야 할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후회를 나타내는 다른 표현들
‘Should have’나 ‘Ought to have’ 외에도 후회를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들이 있습니다.
- 표현: I regret not studying abroad when I had the chance.
발음: [아이 리그렛 낫 스터딩 어브로드 웬 아이 해드 더 챈스]
뜻: 기회가 있었을 때 해외에서 공부하지 않은 것을 후회해요. - 표현: If only I had saved more money.
발음: [이프 온리 아이 해드 세이브드 모어 머니]
뜻: 돈을 더 모았더라면 좋았을 텐데. - 표현: I wish I hadn’t eaten so much cake.
발음: [아이 위시 아이 해든트 이튼 쏘 머치 케이크]
뜻: 케이크를 그렇게 많이 먹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텐데. - 표현: It’s a pity that we missed the train.
발음: [잇츠 어 피티 댓 위 미스드 더 트레인]
뜻: 우리가 기차를 놓친 것이 아쉽다. - 표현: What a shame you couldn’t come to the party.
발음: [왓 어 셰임 유 쿠든트 컴 투 더 파티]
뜻: 네가 파티에 오지 못해서 정말 아쉽다. - 표현: I rue the day I met him.
발음: [아이 루 더 데이 아이 멧 힘]
뜻: 그를 만난 날을 후회한다. (다소 문학적인 표현) - 표현: Looking back, I should have chosen a different major.
발음: [루킹 백, 아이 슈드 해브 초즌 어 디퍼런트 메이저]
뜻: 돌이켜보면, 다른 전공을 선택했어야 했어. - 표현: I blame myself for not being prepared.
발음: [아이 블레임 마이셀프 포 낫 비잉 프리페어드]
뜻: 준비되지 않았던 것에 대해 나 자신을 탓해요.
실제 대화 속 후회 표현
상황: 친구 B가 중요한 발표를 망친 후 친구 A와 대화하고 있습니다.
- 표현: A: How did the presentation go?
발음: [하우 디드 더 프레젠테이션 고우?]
뜻: 발표 어떻게 됐어? - 표현: B: Not well. I completely messed up.
발음: [낫 웰. 아이 컴플리틀리 메스드 업.]
뜻: 잘 못했어. 완전히 망쳤어. - 표현: A: What happened?
발음: [왓 해픈드?]
뜻: 무슨 일 있었어? - 표현: B: I forgot my notes and panicked. I should have prepared more thoroughly.
발음: [아이 포갓 마이 노츠 앤 패닉트. 아이 슈드 해브 프리페어드 모어 써로울리.]
뜻: 노트를 잊어버리고 당황했어. 더 철저하게 준비했어야 했는데. - 표현: A: Oh no. Maybe you should have practiced in front of someone first?
발음: [오 노우. 메이비 유 슈드 해브 프랙티스드 인 프런트 오브 썸원 퍼스트?]
뜻: 이런. 먼저 누군가 앞에서 연습했어야 했나? - 표현: B: Definitely. I really ought to have done that. I regret being so overconfident.
발음: [데피니틀리. 아이 리얼리 오투 해브 던 댓. 아이 리그렛 비잉 쏘 오버컨피던트.]
뜻: 맞아. 정말 그렇게 했어야 했어. 너무 자만했던 게 후회돼. - 표현: A: Don’t beat yourself up too much. Everyone makes mistakes.
발음: [돈트 비트 유어셀프 업 투 머치. 에브리원 메이크스 미스테이크스.]
뜻: 너무 자책하지 마. 누구나 실수는 하잖아. - 표현: B: I know, but I feel like I let the team down. I ought to have checked everything twice.
발음: [아이 노우, 벗 아이 필 라이크 아이 렛 더 팀 다운. 아이 오투 해브 첵트 에브리띵 트와이스.]
뜻: 알지만, 팀을 실망시킨 기분이야. 모든 걸 두 번 확인했어야 했는데. (의무감) - 표현: A: It happens. You’ll do better next time. You should get some rest now.
발음: [잇 해픈스. 유일 두 베러 넥스트 타임. 유 슈드 겟 썸 레스트 나우.]
뜻: 그럴 수 있지. 다음번엔 더 잘할 거야. 이제 좀 쉬는 게 좋겠어. - 표현: B: Yeah, maybe you’re right. I shouldn’t dwell on it too much.
발음: [예아, 메이비 유아 라이트. 아이 슈든트 드웰 온 잇 투 머치.]
뜻: 응, 네 말이 맞을지도 몰라. 너무 곱씹지 말아야겠어.
마치며
과거의 행동에 대한 아쉬움이나 후회를 영어로 표현하는 것은 생각보다 자주 필요한 일입니다. 오늘 배운 ‘Should have’와 ‘Ought to have’의 차이를 기억하고, 다양한 후회 표현들을 익혀두면 자신의 감정을 더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을 거예요. 실수로부터 배우는 것은 중요하지만, 너무 자책하기보다는 배운 표현들을 다음 대화에서 자신 있게 사용해 보세요. 작은 실수에 대한 아쉬움도 솔직하게 표현하며 영어 실력을 키워나가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