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n Condition That: ‘~라는 조건하에’ 영어로 완벽 마스터하기
계약서를 쓰거나 중요한 약속을 할 때, 특정 조건을 명확히 해야 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죠. “만약 ~한다면”이라는 단순한 가정을 넘어, “~라는 조건 하에서만”이라는 강력한 전제를 영어로 표현하고 싶은데 막막하셨나요? 걱정 마세요! ‘on condition that’ 구문은 바로 이런 상황에서 여러분의 의도를 정확하게 전달해 줄 핵심 열쇠입니다. 이 글을 통해 ‘on condition that’의 의미와 사용법을 확실히 배우고,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감 있게 조건을 제시하는 영어 실력을 갖추게 될 거예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조건부 표현의 세계로 들어가 볼까요?
목차
- ‘On condition that’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On Condition That’ 영어 문장
- 계약 및 협상 시 조건 제시
- 허락 및 동의 시 조건 설정
- 제안 및 약속 시 조건 명시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On Condition That’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On Condition That’ 사용 대화 예시
- 대화 속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조건 관련 표현들
- 1. ‘Provided that’ / ‘Providing that’ 상세 비교
- 2. ‘As long as’ / ‘So long as’의 활용
- 3. ‘If’ 와의 근본적인 차이
- 4. 문화적 고려사항: 직접성과 공손함
- ‘On Condition That’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문법적 구조: 종속 접속사로서의 역할
- 2. 의미적 핵심: 필수 불가결한 조건
- 3. 사용 맥락: 격식성과 법적 함의
- 4. 흔한 실수: 시제 및 ‘That’ 생략
- 결론: 자신감 있게 ‘On Condition That’ 영어로 표현하기
‘On condition that’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특정 조건이 충족되어야만 어떤 일이 발생하거나 허용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표현이 바로 ‘on condition that’입니다.
-
표현: on condition that
발음: 온 컨디션 댓
뜻: ~라는 조건하에
이 표현은 계약, 협상, 약속 등 공식적이거나 중요한 상황에서 조건을 명시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that’ 뒤에는 주어와 동사를 갖춘 완전한 절이 와서 구체적인 조건을 설명합니다. 이 구문을 사용하면 조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오해의 소지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On Condition That’ 영어 문장
‘on condition that’은 조건을 명확히 할 때 유용하지만,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른 뉘앙스의 표현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다양한 조건부 표현들을 익혀두면 더욱 풍부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이 가능해집니다. 여기서는 계약, 허락, 제안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조건 관련 영어 문장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계약 및 협상 시 조건 제시
비즈니스 상황이나 공식적인 합의에서 조건을 명확히 할 때 사용하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We agree to the terms on condition that the payment is made upfront.
발음: 위 어그리 투 더 텀즈 온 컨디션 댓 더 페이먼트 이즈 메이드 업프론트.
뜻: 선결제 조건 하에 그 조건에 동의합니다. -
표현: The contract will be signed on condition that all clauses are reviewed by our legal team.
발음: 더 컨트랙트 윌 비 사인드 온 컨디션 댓 올 클로지즈 아 리뷰드 바이 아워 리걸 팀.
뜻: 모든 조항이 저희 법무팀의 검토를 거친다는 조건 하에 계약서에 서명할 것입니다. -
표현: You can get a discount, provided that you purchase more than 100 units.
발음: 유 캔 겟 어 디스카운트, 프로바이디드 댓 유 퍼처스 모어 댄 원 헌드레드 유닛츠.
뜻: 100개 이상 구매하신다는 조건 하에 할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provided that: ~라는 조건이라면) -
표현: The offer is valid, providing that the deposit is received by Friday.
발음: 디 오퍼 이즈 밸리드, 프로바이딩 댓 더 디파짓 이즈 리시브드 바이 프라이데이.
뜻: 금요일까지 보증금이 입금된다는 조건 하에 제안은 유효합니다. (providing that: ~라는 조건이라면) -
표현: We can proceed with the project, as long as the budget is approved.
발음: 위 캔 프로시드 윗 더 프로젝트, 애즈 롱 애즈 더 버짓 이즈 어프루브드.
뜻: 예산이 승인되는 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as long as: ~하는 한)
허락 및 동의 시 조건 설정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허락하거나 동의할 때, 특정 조건을 붙여 말하는 경우입니다.
-
표현: You may borrow my car on condition that you return it with a full tank of gas.
발음: 유 메이 바로우 마이 카 온 컨디션 댓 유 리턴 잇 윗 어 풀 탱크 오브 개스.
뜻: 기름을 가득 채워 반납한다는 조건 하에 내 차를 빌려 가도 좋습니다. -
표현: I’ll lend you the money, on the condition that you pay me back next month.
발음: 아일 렌드 유 더 머니, 온 더 컨디션 댓 유 페이 미 백 넥스트 먼쓰.
뜻: 다음 달에 갚는다는 조건으로 돈을 빌려줄게. (‘on the condition that’도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
표현: Children are allowed entry, provided that they are accompanied by an adult.
발음: 칠드런 아 얼라우드 엔트리, 프로바이디드 댓 데이 아 어컴퍼니드 바이 언 어덜트.
뜻: 성인을 동반하는 조건 하에 어린이들의 입장이 허용됩니다. -
표현: You can join the club, as long as you follow the rules.
발음: 유 캔 조인 더 클럽, 애즈 롱 애즈 유 팔로우 더 룰즈.
뜻: 규칙을 지키는 한 클럽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
표현: He agreed to help, with the stipulation that his name wouldn’t be mentioned.
발음: 히 어그리드 투 헬프, 윗 더 스티퓰레이션 댓 히즈 네임 우든트 비 멘션드.
뜻: 그는 자신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돕기로 동의했습니다. (with the stipulation that: ~라는 규정/조건 하에)
제안 및 약속 시 조건 명시
어떤 제안을 하거나 약속을 할 때, 그 제안이나 약속이 성립되기 위한 조건을 말하는 경우입니다.
-
표현: I will accept the job offer on condition that the salary meets my expectations.
발음: 아이 윌 억셉트 더 잡 오퍼 온 컨디션 댓 더 샐러리 미츠 마이 익스펙테이션즈.
뜻: 급여가 제 기대에 부합한다는 조건 하에 그 직업 제안을 수락하겠습니다. -
표현: We can finalize the deal, providing that you agree to the delivery schedule.
발음: 위 캔 파이널라이즈 더 딜, 프로바이딩 댓 유 어그리 투 더 딜리버리 스케줄.
뜻: 배송 일정에 동의하신다는 조건 하에 거래를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
표현: I’ll come to the party, as long as I can leave early.
발음: 아일 컴 투 더 파티, 애즈 롱 애즈 아이 캔 리브 얼리.
뜻: 일찍 떠날 수 있다면 파티에 갈게요. -
표현: She promised to invest, on the understanding that she would get a share of the profits.
발음: 쉬 프라미스드 투 인베스트, 온 디 언더스탠딩 댓 쉬 우드 겟 어 셰어 오브 더 프라핏츠.
뜻: 그녀는 수익의 일부를 받는다는 조건(이해) 하에 투자하기로 약속했습니다. (on the understanding that: ~라는 이해/조건 하에) -
표현: The loan was approved, subject to a final credit check.
발음: 더 로운 워즈 어프루브드, 서브젝트 투 어 파이널 크레딧 첵.
뜻: 최종 신용 조사를 조건으로 대출이 승인되었습니다. (subject to: ~을 조건으로 하여, ~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On Condition That’ 핵심 포인트
‘On condition that’과 관련 표현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아두면 실전에서 더욱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다음 팁들을 기억하고 활용해 보세요.
- 1. 조건의 명확성 강조: ‘On condition that’은 조건이 매우 중요하며, 반드시 충족되어야 함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단순한 ‘if’보다 훨씬 강한 어조를 가지므로, 조건의 이행 여부가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I’ll hire you if you have experience.” (경험이 있다면 고용할게요) 보다는 “I’ll hire you on condition that you complete the training program.” (훈련 프로그램을 이수한다는 조건 하에 고용할게요) 가 훨씬 더 구체적이고 강력한 조건 제시입니다.
- 2. 공식적인 맥락에서 주로 사용: 이 표현은 계약서, 법률 문서, 공식적인 합의 등 격식 있는 상황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일상적인 대화보다는 비즈니스 협상이나 중요한 약속을 할 때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친구에게 “네가 설거지한다는 조건으로 영화 보여줄게”라고 말할 때는 ‘if you do the dishes’나 ‘as long as you do the dishes’가 더 어울릴 수 있습니다.
- 3. ‘That’ 절의 시제 주의: ‘On condition that’ 뒤에 오는 절(that절)의 내용은 미래에 발생할 조건이라도 현재 시제나 현재 완료 시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조건이 현재 시점에서 설정되고 그 충족 여부가 미래의 결과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You can go out on condition that you finish your homework.” (숙제를 끝낸다는 조건 하에 외출해도 좋다 – 미래의 완료지만 현재 시제 사용) 처럼 사용됩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 미래 시제(will)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현재 시제가 일반적입니다.
- 4. 유사 표현과의 뉘앙스 차이 이해: ‘Provided that’, ‘providing that’, ‘as long as’ 등 유사한 표현들이 있지만 약간의 뉘앙스 차이가 있습니다. ‘Provided/Providing that’은 ‘on condition that’과 매우 유사하며 격식 있는 상황에서 자주 쓰입니다. ‘As long as’는 조금 더 구어체적이며, 조건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결과가 유효하다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예를 들어, “You can stay here as long as you keep quiet.” (조용히 하는 한 여기 있어도 돼.) 처럼 사용됩니다. 상황에 맞는 표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On the condition that’ 사용: ‘On condition that’ 앞에 정관사 ‘the’를 붙여 ‘on the condition that’ 형태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의미상 큰 차이는 없으며, 둘 다 동일하게 ‘~라는 조건 하에’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어떤 형태를 사용하든 문법적으로 올바르며, 개인적인 선호나 문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6. 조건의 협상 가능성: ‘On condition that’을 사용하여 조건을 제시하는 것은 때때로 협상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상대방이 제시된 조건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대안 조건을 제시하거나 조율하는 과정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표현을 사용할 때는 상대방의 반응에 대비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7. 법적 효력 고려: 계약서 등 법적 구속력이 있는 문서에서 ‘on condition that’ 구문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명시된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계약 전체가 무효화되거나 특정 조항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법률 관련 상황에서는 신중하게 사용하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검토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On Condition That’ 사용 대화 예시
프리랜서 디자이너(A)와 클라이언트(B)가 프로젝트 계약 조건을 협상하는 상황을 가정해 봅시다. ‘on condition that’과 관련 표현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세요.
-
표현: A: Thank you for offering me the website design project. I’ve reviewed the scope, and I’m interested in taking it on.
발음: 땡큐 포 오퍼링 미 더 웹사이트 디자인 프로젝트. 아이브 리뷰드 더 스코프, 앤 아임 인터레스티드 인 테이킹 잇 온.
뜻: 웹사이트 디자인 프로젝트를 제안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작업 범위를 검토했고, 맡고 싶습니다. -
표현: B: That’s great news! We were very impressed with your portfolio. We’d like to proceed, but we have a strict deadline.
발음: 댓츠 그레잇 뉴스! 위 워 베리 임프레스드 윗 유어 포트폴리오. 위드 라이크 투 프로시드, 벗 위 해브 어 스트릭트 데드라인.
뜻: 좋은 소식이네요! 저희는 당신의 포트폴리오에 매우 감명받았습니다. 진행하고 싶지만, 마감 기한이 매우 촉박합니다. -
표현: A: I understand. I can meet the deadline, on condition that I receive all the necessary content and feedback promptly.
발음: 아이 언더스탠드. 아이 캔 미트 더 데드라인, 온 컨디션 댓 아이 리시브 올 더 네세서리 컨텐츠 앤 피드백 프롬프틀리.
뜻: 이해합니다. 필요한 모든 콘텐츠와 피드백을 신속하게 받는다는 조건 하에 마감 기한을 맞출 수 있습니다. -
표현: B: Absolutely. We’ll provide everything you need. We can agree to your terms, provided that the final design is approved by our marketing director.
발음: 앱솔루틀리. 윌 프로바이드 에브리띵 유 니드. 위 캔 어그리 투 유어 텀즈, 프로바이디드 댓 더 파이널 디자인 이즈 어프루브드 바이 아워 마케팅 디렉터.
뜻: 물론입니다.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해 드릴게요. 최종 디자인이 저희 마케팅 디렉터의 승인을 받는다는 조건 하에 당신의 조건에 동의할 수 있습니다. -
표현: A: That sounds reasonable. Also, regarding the payment terms, I require a 50% upfront deposit. I can start the project on the condition that the deposit is paid first.
발음: 댓 사운즈 리즈너블. 올소, 리가딩 더 페이먼트 텀즈, 아이 리콰이어 어 피프티 퍼센트 업프론트 디파짓. 아이 캔 스타트 더 프로젝트 온 더 컨디션 댓 더 디파짓 이즈 페이드 퍼스트.
뜻: 합리적이네요. 그리고 결제 조건에 관해서는, 50% 선금이 필요합니다. 선금이 먼저 지불된다는 조건 하에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
표현: B: Okay, a 50% deposit seems fair. We can process that immediately, as long as you send us the invoice today.
발음: 오케이, 어 피프티 퍼센트 디파짓 심즈 페어. 위 캔 프로세스 댓 이미디어틀리, 애즈 롱 애즈 유 센드 어스 디 인보이스 투데이.
뜻: 알겠습니다, 50% 선금은 공평해 보입니다. 오늘 인보이스를 보내주시는 한 즉시 처리해 드릴 수 있습니다. -
표현: A: I’ll send the invoice right away. One more thing, I agree to two rounds of revisions on the understanding that any further revisions will incur additional charges.
발음: 아일 센드 디 인보이스 라잇 어웨이. 원 모어 띵, 아이 어그리 투 투 라운즈 오브 리비전즈 온 디 언더스탠딩 댓 애니 퍼더 리비전즈 윌 인커 어디셔널 차지즈.
뜻: 바로 인보이스 보내드리겠습니다. 한 가지 더, 추가 수정에는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는 조건(이해) 하에 두 번의 수정 작업에 동의합니다. -
표현: B: That’s standard practice. We accept that condition. So, to summarize, we proceed on condition that you meet the deadline, the final design gets approval, and we pay the deposit first. You start work provided that the deposit is paid, and handle two revision rounds as long as further ones are charged. Correct?
발음: 댓츠 스탠다드 프랙티스. 위 억셉트 댓 컨디션. 쏘, 투 서머라이즈, 위 프로시드 온 컨디션 댓 유 미트 더 데드라인, 더 파이널 디자인 겟츠 어프루벌, 앤 위 페이 더 디파짓 퍼스트. 유 스타트 워크 프로바이디드 댓 더 디파짓 이즈 페이드, 앤 핸들 투 리비전 라운즈 애즈 롱 애즈 퍼더 원즈 아 차지드. 코렉트?
뜻: 일반적인 관행이죠. 그 조건 받아들입니다. 그럼 요약하자면, 당신이 마감 기한을 맞추고, 최종 디자인이 승인되며, 저희가 선금을 먼저 지불한다는 조건 하에 진행하는 거죠. 당신은 선금이 지불된다는 조건 하에 작업을 시작하고, 추가 수정에 비용이 청구되는 한 두 번의 수정 작업을 처리하고요. 맞습니까? -
표현: A: Yes, that accurately summarizes our agreement. I look forward to working with you.
발음: 예스, 댓 애큐리틀리 서머라이지즈 아워 어그리먼트. 아이 룩 포워드 투 워킹 윗 유.
뜻: 네, 저희 합의 내용을 정확하게 요약하셨습니다. 함께 일하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
표현: B: Likewise. Let’s get this project started.
발음: 라이크와이즈. 렛츠 겟 디스 프로젝트 스타티드.
뜻: 저희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프로젝트를 시작합시다.
대화 속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조건부 표현의 혼용: 대화에서 볼 수 있듯이, ‘on condition that’, ‘provided that’, ‘as long as’, ‘on the understanding that’ 등 다양한 조건부 표현이 상황에 맞게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대화를 더 자연스럽고 풍부하게 만듭니다.
- 협상 과정의 명확화: 양측은 각자의 요구사항(마감 준수, 콘텐츠 제공, 선금 지불, 수정 횟수 등)을 조건으로 제시하며 합의점을 찾아갑니다. 조건부 표현은 이러한 협상 과정을 명확하게 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요약 및 확인: 대화 마지막에 B는 합의된 모든 조건을 다시 한번 요약하며 확인합니다. 중요한 계약이나 합의에서는 이렇게 내용을 명확히 정리하고 넘어가는 것이 오해를 방지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 ‘on condition that’ (A의 첫 조건 제시): A는 마감 기한 준수라는 B의 요구에 대해, 필요한 자료를 제때 받는다는 ‘필수 조건’을 제시하며 ‘on condition that’을 사용했습니다. 이는 조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provided that’ (B의 조건 수락 및 추가 조건): B는 A의 조건에 동의하면서, 최종 디자인 승인이라는 ‘자신들의 조건’을 덧붙일 때 ‘provided that’을 사용했습니다. ‘on condition that’과 거의 동일한 의미로 쓰였습니다.
- ‘as long as’ (B의 지불 조건): B는 선금 지불에 동의하며 인보이스를 ‘오늘 받는 한’ 즉시 처리하겠다고 말할 때 ‘as long as’를 사용했습니다. 이는 조건이 충족되는 동안 약속이 유효함을 나타냅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조건 관련 표현들
‘On condition that’ 외에도 조건을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들이 있습니다. 이 표현들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면 영어 실력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유사 표현들과 그 사용법, 그리고 문화적 맥락에 대해 더 깊이 알아보겠습니다.
1. ‘Provided that’ / ‘Providing that’ 상세 비교
‘Provided that’과 ‘Providing that’은 ‘on condition that’과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주로 격식 있는 글이나 말에서 발견됩니다. 둘 다 ‘~라는 조건이라면’, ‘~인 경우에 한하여’라는 뜻을 가집니다. ‘Provided that’이 조금 더 흔하게 사용되지만, ‘Providing that’ 역시 널리 쓰이며 의미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이 표현들은 ‘on condition that’처럼 조건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때로는 약간 더 부드러운 어조로 들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법률 문서나 매우 공식적인 계약에서는 ‘on condition that’이 선호될 수 있는 반면, 일반적인 비즈니스 합의나 공식적인 안내문 등에서는 ‘provided that’이나 ‘providing that’도 자주 사용됩니다. 중요한 점은 이들 뒤에도 주어와 동사를 갖춘 완전한 절이 와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시: Access to the VIP lounge is permitted, provided that you present a valid membership card. (유효한 회원 카드를 제시하는 경우에 한해 VIP 라운지 입장이 허용됩니다.)
예시: We can offer free shipping, providing that your order exceeds $100. (주문 금액이 100달러를 초과하는 조건이라면 무료 배송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표현들은 조건을 명시하면서도, 그것이 충족될 경우 긍정적인 결과가 뒤따를 것임을 암시하는 뉘앙스를 풍기기도 합니다.
2. ‘As long as’ / ‘So long as’의 활용
‘As long as’와 ‘So long as’는 의미상 동일하며, ‘~하는 한’, ‘~하기만 하면’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 표현들은 ‘on condition that’이나 ‘provided that’보다 덜 격식적이며, 일상 대화에서도 자주 쓰입니다. 주로 어떤 조건이 유지되는 ‘기간’ 또는 ‘상황’ 동안에는 주절의 내용이 유효함을 나타냅니다. 조건이 지속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You can play outside as long as you stay in the yard.” (마당 안에 머무는 한 밖에서 놀아도 된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마당을 벗어나지 않는 조건이 유지되는 동안에만 허락이 유효하다는 의미입니다. ‘On condition that’이 특정 행위나 사건의 발생을 조건으로 거는 경우가 많은 반면, ‘as long as’는 상태나 행위의 지속을 조건으로 거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 Feel free to use my computer as long as you don’t change any settings. (설정을 변경하지 않는 한 내 컴퓨터를 마음껏 사용해도 돼.)
예시: So long as the rain holds off, the picnic will go ahead. (비가 오지 않는 한 소풍은 진행될 것입니다.)
이 표현들은 조건을 제시하면서도 상대방에게 어느 정도의 자유나 재량을 허용하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3. ‘If’ 와의 근본적인 차이
가장 기본적인 조건 표현인 ‘if’는 단순한 가정이나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If it rains, we will cancel the picnic.” (비가 오면 소풍을 취소할 것이다.)처럼, 비가 올 수도 있고 안 올 수도 있는 일반적인 조건을 말합니다. 반면, ‘on condition that’은 훨씬 더 강력하고 구속력 있는 조건을 명시합니다. 조건의 충족이 필수적이며, 그것이 전제되지 않으면 주절의 내용은 성립되지 않음을 분명히 합니다. “We will proceed with the investment on condition that the market research shows positive results.” (시장 조사가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준다는 조건 하에 투자를 진행할 것이다.) 이 문장은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투자는 절대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강한 의지를 내포합니다. 따라서, 조건의 중요도와 구속력의 정도에 따라 ‘if’와 ‘on condition that’ (및 유사 표현들)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 가정은 ‘if’, 필수적인 전제 조건은 ‘on condition that’ 계열의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문화적 고려사항: 직접성과 공손함
영미권 문화에서는 계약이나 합의 시 조건을 명확하게 명시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On condition that’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불분명함을 피하고 양측의 권리와 의무를 확실히 하려는 의도로 받아들여집니다. 따라서 비즈니스나 공식적인 상황에서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무례하게 여겨지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조건을 애매하게 표현하는 것이 나중에 오해나 분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관계나 덜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너무 직접적인 조건 제시가 딱딱하거나 계산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as long as’나 ‘if’를 사용하거나, 조건을 제시하기 전에 “Would it be possible to…?” 또는 “I was wondering if…” 와 같은 완충 표현을 사용하여 좀 더 부드럽게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황과 상대방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표현과 어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On Condition That’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On condition that’ 구문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구조와 특징, 그리고 사용 시 주의할 점들을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구문의 핵심 요소들을 세부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문법적 구조: 종속 접속사로서의 역할
‘On condition that’은 두 개의 절(주절과 조건절)을 연결하는 종속 접속사구 역할을 합니다. ‘that’ 뒤에는 반드시 주어(subject)와 동사(verb)를 포함한 완전한 문장 형태의 조건절이 와야 합니다. 주절은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발생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on condition that’이 이끄는 조건절은 그 결과가 발생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제 조건을 명시합니다.
구조: [주절(결과)] + on condition that + [조건절(주어 + 동사 …)]
예시: The company will hire more staff (주절) on condition that profits increase next quarter (조건절).
(회사는 다음 분기에 수익이 증가한다는 조건 하에 직원을 더 고용할 것이다.)
조건절을 문장 앞에 위치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조건절 뒤에 콤마(,)를 사용합니다.
구조: On condition that + [조건절(주어 + 동사 …)], + [주절(결과)]
예시: On condition that you sign a confidentiality agreement, we can share the detailed information.
(기밀 유지 협약서에 서명한다는 조건 하에, 저희가 상세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이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만드는 기본입니다.
2. 의미적 핵심: 필수 불가결한 조건
‘On condition that’의 가장 중요한 의미적 특징은 제시된 조건이 필수 불가결(essential and non-negotiable)하다는 점입니다. 즉,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주절의 내용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거나 효력을 잃게 됩니다. 이는 단순한 가능성이나 바람을 나타내는 ‘if’와는 명확히 구분되는 지점입니다. 계약서에서 “The lease agreement is valid on condition that the rent is paid by the 1st of each month.” (임대차 계약은 매월 1일까지 월세가 지불된다는 조건 하에 유효하다.)라고 명시되어 있다면, 월세 지불이라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계약 자체가 무효화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표현은 조건의 중요성을 최대한 강조하고 싶을 때, 그리고 그 조건이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가벼운 제안이나 협상 여지가 많은 조건에는 어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사용 맥락: 격식성과 법적 함의
‘On condition that’은 주로 격식 있는(formal)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비즈니스 계약, 법률 문서, 공식적인 합의, 학술적인 글 등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일상적인 친구와의 대화나 편안한 자리에서는 다소 딱딱하게 들릴 수 있어 ‘if’나 ‘as long as’가 더 자연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또한, 이 표현은 법적인 함의를 가질 수 있습니다. 계약서 등에 사용될 경우, 명시된 조건은 법적 구속력을 가지며 이를 위반했을 경우 계약 파기나 손해배상 청구 등의 법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문서에 이 표현을 사용하거나 접할 때는 그 의미와 결과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고용 계약서에 “Employment is offered on condition that the candidate passes the background check.” (후보자가 신원 조회를 통과한다는 조건 하에 고용이 제안됩니다.) 라는 조항이 있다면, 신원 조회 통과는 고용의 필수 전제 조건이 되는 것입니다.
4. 흔한 실수: 시제 및 ‘That’ 생략
사용자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 중 하나는 ‘on condition that’ 뒤 조건절의 시제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미래의 조건이라도 현재 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I will lend you my book on condition that you will return it next week.” 대신 “I will lend you my book on condition that you return it next week.” (다음 주에 돌려준다는 조건으로 내 책을 빌려줄게.) 라고 쓰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또 다른 실수는 ‘that’을 생략하는 것입니다. 관계대명사 ‘that’ 등은 종종 생략 가능하지만, ‘on condition that’ 구문에서는 ‘that’을 생략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On condition you finish…’ 와 같이 ‘that’ 없이 사용하는 것은 비표준적인 사용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항상 ‘on condition that’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On Condition That’ 영어로 표현하기
이제 ‘on condition that’이라는 표현이 더 이상 낯설거나 어렵게 느껴지지 않으실 거예요! 계약이나 중요한 약속 앞에서 “~라는 조건 하에”라고 말해야 할 때, 이 표현을 사용하면 여러분의 의도를 명확하고 강력하게 전달할 수 있답니다. 물론 ‘provided that’, ‘as long as’ 같은 유사 표현들도 함께 익혀두면 상황에 맞게 더욱 세련된 영어를 구사할 수 있겠죠?
핵심은 조건의 중요성과 필수성을 강조하고 싶을 때 ‘on condition that’을 떠올리는 거예요. 처음에는 조금 어색할 수 있지만, 오늘 배운 내용들을 실제 대화나 글쓰기에 적용해보는 연습이 중요해요. 예를 들어, 스터디 그룹 규칙을 정할 때 “We can use the study room on condition that we keep it clean.” 처럼 가볍게 연습해 볼 수도 있고요, 업무 이메일에서 “I can complete the report by Friday on condition that I receive the data by tomorrow.” 와 같이 활용해 볼 수도 있답니다.
여기서 멈추지 마세요! 조건문을 만드는 다양한 방법들, 예를 들어 ‘unless'(~하지 않는 한), ‘in case'(~의 경우에 대비하여) 등 다른 접속사들도 함께 공부해보면 영어 표현의 폭이 훨씬 넓어질 거예요.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작은 목표부터 세워 꾸준히 연습해보세요. 예를 들면:
- 이번 주 안에 ‘on condition that’을 사용한 영어 문장 3개 만들어보기.
- 다음 영어 스터디 모임에서 ‘provided that’이나 ‘as long as’를 사용해 조건 말해보기.
- 업무 관련 이메일이나 문서에서 조건 제시가 필요할 때 배운 표현 활용해보기.
이렇게 작은 실천들이 모여 여러분의 영어 실력을 눈에 띄게 향상시킬 거예요. 자신감을 가지고, 배운 표현들을 적극적으로 사용해보세요! 여러분의 성공적인 영어 학습을 항상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