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 That ~ But That: 영어로 진짜 이유 명확히 밝히는 법
혹시 자신의 진짜 의도나 이유를 설명하려 할 때, 오해를 살까 봐 망설였던 적 있으신가요? “그게 아니라, 사실은…”이라고 말하고 싶지만 영어로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막막했을 수 있습니다. 걱정 마세요! ‘Not that ~ but that ~’ 구문은 바로 이런 상황에서 여러분의 생각을 명확하고 정중하게 전달하도록 돕는 아주 유용한 표현이랍니다. 이 글을 통해 ‘Not that ~ but that ~’ 구문의 의미와 사용법을 익히고, 다양한 예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활용하는 방법을 쉽게 배울 수 있을 거예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영어로 속마음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목차
- ‘Not that ~ but that ~’ 구문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오해 바로잡기
- 결정의 진짜 이유 설명하기
- 감정이나 생각 명확히 하기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1. ‘It’s not because ~ but because ~’
- 2. ‘The reason is not X, but Y’ / ‘It’s not X, it’s Y’
- 3. 강조 및 뉘앙스 추가 표현
-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첫 번째 요소: 부정(Negation) – ‘Not that ~’
- 2. 두 번째 요소: 전환(Transition) – ‘but’
- 3. 세 번째 요소: 진짜 이유/사실(Affirmation) – ‘that ~’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Not that ~ but that ~’ 구문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이 구문은 어떤 사실이나 생각이 틀렸음을 먼저 밝힌 후, 진짜 이유나 사실을 덧붙여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오해를 바로잡거나 자신의 진의를 강조하고 싶을 때 아주 효과적이죠.
-
표현: Not that ~ but that ~
발음: [낫 댓 ~ 벗 댓 ~]
뜻: ~ 때문이 아니라, ~ 때문이다 / ~라는 것이 아니라, ~라는 것이다
이 표현은 대화에서 상대방이 가질 수 있는 오해를 미리 차단하고, 자신의 진짜 생각이나 상황의 핵심을 명확히 전달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단순히 부정하는 것을 넘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사소통의 명료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Not that ~ but that ~’ 구문은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오해를 바로잡거나, 자신의 결정에 대한 진짜 이유를 설명하거나, 혹은 어떤 일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명확히 하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죠. 아래에서는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이 구문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다양한 예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오해 바로잡기
상대방이 당신의 말이나 행동을 잘못 해석했을 때, 이 구문을 사용하여 진실을 밝힐 수 있습니다.
-
표현: Not that I dislike your idea, but that I think we need more time to prepare.
발음: [낫 댓 아이 디스라이크 유어 아이디어, 벗 댓 아이 띵크 위 니드 모어 타임 투 프리페어.]
뜻: 당신의 아이디어가 싫다는 것이 아니라, 준비할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
표현: It’s not that he is unfriendly, but that he is very shy around new people.
발음: [잇츠 낫 댓 히 이즈 언프렌들리, 벗 댓 히 이즈 베리 샤이 어라운드 뉴 피플.]
뜻: 그가 불친절해서가 아니라, 낯선 사람들 앞에서는 매우 수줍음을 많이 타기 때문입니다. -
표현: Not that I didn’t enjoy the party, but that I was feeling a bit unwell.
발음: [낫 댓 아이 디든트 인조이 더 파티, 벗 댓 아이 워즈 필링 어 빗 언웰.]
뜻: 파티가 즐겁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몸이 좀 안 좋았다는 것입니다. -
표현: Not that the report was bad, but that it lacked specific data to support the claims.
발음: [낫 댓 더 리포트 워즈 배드, 벗 댓 잇 랙트 스페시픽 데이타 투 서포트 더 클레임즈.]
뜻: 보고서가 나빴다는 것이 아니라, 주장을 뒷받침할 구체적인 데이터가 부족했다는 것입니다.
결정의 진짜 이유 설명하기
자신의 결정 뒤에 숨겨진 진짜 이유나 동기를 설명하여 상대방의 이해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
-
표현: I chose this university, not that the others were bad, but that this one has a renowned program in my major.
발음: [아이 초즈 디스 유니버시티, 낫 댓 디 아더스 워 배드, 벗 댓 디스 원 해즈 어 리나운드 프로그램 인 마이 메이저.]
뜻: 다른 대학들이 나빴던 것이 아니라, 이 대학이 제 전공 분야에서 유명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어서 이 대학을 선택했습니다. -
표현: We decided to move, not that we didn’t like our old neighborhood, but that we needed more space for our growing family.
발음: [위 디사이디드 투 무브, 낫 댓 위 디든트 라이크 아워 올드 네이버후드, 벗 댓 위 니디드 모어 스페이스 포 아워 그로잉 패밀리.]
뜻: 예전 동네가 싫어서 이사하기로 결정한 것이 아니라, 늘어나는 가족을 위해 더 넓은 공간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
표현: He resigned, not that he found a better job, but that he wanted to take a break and travel.
발음: [히 리자인드, 낫 댓 히 파운드 어 베터 잡, 벗 댓 히 원티드 투 테이크 어 브레이크 앤 트래블.]
뜻: 그가 더 좋은 직장을 찾아서 사임한 것이 아니라, 잠시 휴식을 취하며 여행을 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
표현: I declined the offer, not that the salary was low, but that the company culture didn’t seem like a good fit for me.
발음: [아이 디클라인드 디 오퍼, 낫 댓 더 샐러리 워즈 로우, 벗 댓 더 컴퍼니 컬처 디든트 심 라이크 어 굿 핏 포 미.]
뜻: 연봉이 낮아서 그 제안을 거절한 것이 아니라, 회사 문화가 저와 잘 맞지 않는 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감정이나 생각 명확히 하기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의 미묘한 부분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
표현: Not that I’m angry, but that I’m a little disappointed with the result.
발음: [낫 댓 아임 앵그리, 벗 댓 아임 어 리틀 디서포인티드 위드 더 리절트.]
뜻: 화가 난 것이 아니라, 결과에 조금 실망했다는 것입니다. -
표현: It’s not that I don’t trust you, but that I need to verify the information myself.
발음: [잇츠 낫 댓 아이 돈트 트러스트 유, 벗 댓 아이 니드 투 베리파이 디 인포메이션 마이셀프.]
뜻: 당신을 믿지 못해서가 아니라, 제가 직접 그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표현: Not that your performance was poor, but that there’s always room for improvement.
발음: [낫 댓 유어 퍼포먼스 워즈 푸어, 벗 댓 데어즈 올웨이즈 룸 포 임프루브먼트.]
뜻: 당신의 성과가 나빴다는 것이 아니라, 항상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
표현: Not that I doubt your abilities, but that this task requires a specific expertise.
발음: [낫 댓 아이 다우트 유어 어빌리티즈, 벗 댓 디스 태스크 리콰이어즈 어 스페시픽 엑스퍼티즈.]
뜻: 당신의 능력을 의심하는 것이 아니라, 이 업무는 특정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
표현: It’s not that I find the subject boring, but that I struggle with the complex theories.
발음: [잇츠 낫 댓 아이 파인드 더 서브젝트 보링, 벗 댓 아이 스트러글 위드 더 컴플렉스 띠어리즈.]
뜻: 그 주제가 지루해서가 아니라, 복잡한 이론들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입니다.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Not that ~ but that ~’ 구문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아두면 좋습니다. 이 포인트들을 기억하면 실제 대화에서 더 효과적으로 자신의 의도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포인트 1: 정중함 유지하기
이 구문은 상대방의 의견이나 상황을 직접적으로 부정하는 것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할 때 부드러운 어조와 정중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Not that I disagree, but…” 와 같이 시작하면 상대방의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의견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
포인트 2: 명확한 ‘진짜 이유’ 제시
‘but that’ 다음에는 오해를 풀거나 상황을 명확히 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는 이유를 제시해야 합니다. 모호하거나 불분명한 설명은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ot that I don’t want to go, but that I have a prior commitment I cannot break.” 처럼 명확한 이유를 밝히는 것이 좋습니다.
-
포인트 3: 문맥에 맞는 활용
이 구문은 다소 격식 있는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주 친한 친구와의 편안한 대화보다는 비즈니스 미팅이나 공식적인 자리, 또는 오해를 풀 필요가 있는 진지한 대화에서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상황과 상대방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포인트 4: ‘Not because ~ but because ~’ 와의 차이점 인지
‘Not that ~ but that ~’는 주로 어떤 ‘사실’이나 ‘생각’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Not because ~ but because ~’는 어떤 ‘행동’이나 ‘결과’의 ‘이유’를 설명하는 데 더 자주 쓰입니다. 미묘한 차이지만, 문맥에 맞게 구별하여 사용하면 더욱 정확한 의사 전달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He failed, not because he didn’t study, but because the test was extremely difficult.” 와 같이 이유를 강조할 때 ‘because’ 구문을 사용합니다.
-
포인트 5: 간결하게 사용하기
구문 자체가 다소 길어질 수 있으므로, ‘Not that’ 절과 ‘but that’ 절의 내용을 너무 길고 복잡하게 만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핵심 내용을 간결하게 전달해야 듣는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너무 많은 부연 설명은 오히려 요점을 흐릴 수 있습니다.
-
포인트 6: 긍정적인 의도 강조
부정적인 부분을 먼저 언급하기 때문에, 자칫 비판적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but that’ 이후에 긍정적이거나 건설적인 대안, 또는 이해를 돕는 설명을 덧붙이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Not that your presentation was bad, but that adding more visuals could make it even more engaging.” 처럼 개선점을 제안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포인트 7: 반복 연습으로 익숙해지기
어떤 표현이든 자주 사용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Not that ~ but that ~’ 구문도 마찬가지입니다. 다양한 예문을 접하고, 직접 문장을 만들어보는 연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입에 붙도록 하는 것이 실전에서 유용하게 활용하는 비결입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상황: 팀 프로젝트 회의 중, A가 제안한 아이디어에 대해 B가 조심스럽게 다른 의견을 제시하며 오해를 풀고 자신의 진짜 의도를 설명하려고 합니다.
역할:
- A: 프로젝트 아이디어를 제안한 팀원
- B: A의 아이디어에 대해 다른 관점을 제시하는 팀원
-
표현: A: So, I think launching the new marketing campaign next month is the best timing. We should strike while the iron is hot.
발음: [소, 아이 띵크 런치잉 더 뉴 마케팅 캠페인 넥스트 먼쓰 이즈 더 베스트 타이밍. 위 슈드 스트라이크 와일 디 아이언 이즈 핫.]
뜻: 그래서, 저는 다음 달에 새로운 마케팅 캠페인을 시작하는 것이 최적의 시기라고 생각해요. 쇠뿔도 단김에 빼야죠. -
표현: B: Hmm, I understand the urgency, Alex. It’s a good point.
발음: [음, 아이 언더스탠드 디 어전시, 알렉스. 잇츠 어 굿 포인트.]
뜻: 음, 급한 마음은 이해해요, 알렉스. 좋은 지적이에요. -
표현: A: Right? We need to capture the market’s attention quickly.
발음: [라잇? 위 니드 투 캡처 더 마켓츠 어텐션 퀴클리.]
뜻: 그렇죠? 시장의 주목을 빨리 끌어야 해요. -
표현: B: Well, not that I think launching soon is a bad idea in itself, but that I’m concerned about our current resource allocation.
발음: [웰, 낫 댓 아이 띵크 런치잉 순 이즈 어 배드 아이디어 인 잇셀프, 벗 댓 아임 컨선드 어바웃 아워 커런트 리소스 앨로케이션.]
뜻: 음, 빨리 시작하는 것 자체가 나쁜 생각이라는 것이 아니라, 현재 우리의 자원 배분에 대해 걱정이 된다는 거예요. -
표현: A: Resource allocation? Do you think we don’t have enough budget or manpower?
발음: [리소스 앨로케이션? 두 유 띵크 위 돈트 해브 이너프 버짓 오어 맨파워?]
뜻: 자원 배분이요? 예산이나 인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세요? -
표현: B: It’s not that we lack the budget entirely, but that launching next month would stretch our design team too thin. They are already working on the website renewal project.
발음: [잇츠 낫 댓 위 랙 더 버짓 인타이얼리, 벗 댓 런치잉 넥스트 먼쓰 우드 스트레치 아워 디자인 팀 투 띤. 데이 아 올레디 워킹 온 더 웹사이트 리뉴얼 프로젝트.]
뜻: 예산이 전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 아니라, 다음 달에 시작하면 우리 디자인 팀이 너무 무리하게 된다는 거죠. 그들은 이미 웹사이트 리뉴얼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잖아요. -
표현: A: Ah, I see your point. I didn’t consider the design team’s current workload.
발음: [아, 아이 씨 유어 포인트. 아이 디든트 컨시더 더 디자인 팀즈 커런트 워크로드.]
뜻: 아, 무슨 말씀이신지 알겠어요. 디자인 팀의 현재 업무량을 고려하지 못했네요. -
표현: B: Exactly. Not that I want to delay the campaign unnecessarily, but that ensuring quality and team well-being seems more crucial right now. Perhaps we could aim for the month after next?
발음: [이그잭틀리. 낫 댓 아이 원트 투 딜레이 더 캠페인 언네세서릴리, 벗 댓 인슈어링 퀄리티 앤 팀 웰빙 심즈 모어 크루셜 라잇 나우. 퍼햅스 위 쿠드 에임 포 더 먼쓰 애프터 넥스트?]
뜻: 맞아요. 불필요하게 캠페인을 미루고 싶다는 것이 아니라, 품질 확보와 팀원들의 안녕을 보장하는 것이 지금으로서는 더 중요해 보인다는 거예요. 혹시 다다음 달을 목표로 하는 건 어떨까요? -
표현: A: That sounds reasonable. Let’s discuss the timeline again considering the design team’s schedule. Thanks for bringing that up, Ben.
발음: [댓 사운즈 리즈너블. 렛츠 디스커스 더 타임라인 어게인 컨시더링 더 디자인 팀즈 스케줄. 땡스 포 브링잉 댓 업, 벤.]
뜻: 합리적인 것 같네요. 디자인 팀의 일정을 고려해서 타임라인을 다시 논의해 보죠. 그 점을 지적해줘서 고마워요, 벤. -
표현: B: No problem. I just wanted to make sure we are setting ourselves up for success without burning out our team.
발음: [노 프라블럼. 아이 저스트 원티드 투 메이크 슈어 위 아 세팅 아워셀브즈 업 포 석세스 위드아웃 버닝 아웃 아워 팀.]
뜻: 천만에요. 단지 우리 팀을 지치게 하지 않으면서 성공을 위한 준비를 확실히 하고 싶었을 뿐이에요.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정중한 반론 제기: B는 A의 의견에 동의하는 부분을 먼저 언급(“I understand the urgency”, “It’s a good point”)한 후, ‘Not that ~ but that ~’ 구문을 사용하여 조심스럽게 다른 관점을 제시합니다. 이는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자신의 우려를 표현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구체적인 이유 설명: B는 단순히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but that’ 뒤에 ‘concerned about our current resource allocation’, ‘launching next month would stretch our design team too thin’과 같이 구체적인 이유를 제시하여 자신의 주장에 설득력을 더합니다.
- 오해 방지 및 진의 강조: “Not that I want to delay the campaign unnecessarily, but that ensuring quality and team well-being seems more crucial” 부분은 캠페인 자체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품질, 팀원 복지)를 위해 시기 조절이 필요하다는 진의를 명확히 전달합니다.
- “Strike while the iron is hot”: A가 사용한 이 표현은 “기회가 왔을 때 잡아라”, “쇠뿔도 단김에 빼라”는 의미의 관용구입니다. 시기적절함과 신속한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 “Stretch (someone/something) too thin”: B가 사용한 이 표현은 인력이나 자원 등을 너무 무리하게 사용하거나 분산시켜 한계에 이르게 한다는 의미입니다. 디자인 팀이 과부하 상태에 놓일 것을 우려하며 사용했습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Not that ~ but that ~’ 구문 외에도 비슷한 의미를 전달하거나 관련된 뉘앙스를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른 표현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들을 함께 알아두면 상황에 따라 더욱 적절하고 풍부한 영어 구사가 가능해집니다.
1. ‘It’s not because ~ but because ~’
이 구문은 ‘Not that ~ but that ~’와 매우 유사하지만, 주로 어떤 행동이나 사건의 ‘이유(reason)’를 강조하여 설명할 때 더 자주 사용됩니다. ‘that’ 절 대신 ‘because’ 절을 사용하여 원인을 명확히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
표현: I didn’t call you, not because I forgot, but because I lost my phone.
발음: [아이 디든트 콜 유, 낫 비커즈 아이 포갓, 벗 비커즈 아이 로스트 마이 폰.]
뜻: 제가 당신에게 전화하지 않은 것은 잊어버려서가 아니라, 휴대폰을 잃어버렸기 때문입니다. (행동의 이유 강조) -
표현: She looks sad, not because she failed the exam, but because she feels she didn’t try her best.
발음: [쉬 룩스 새드, 낫 비커즈 쉬 페일드 디 이그잼, 벗 비커즈 쉬 필즈 쉬 디든트 트라이 허 베스트.]
뜻: 그녀가 슬퍼 보이는 것은 시험에 떨어져서가 아니라, 최선을 다하지 않았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감정의 이유 강조)
‘Not that ~ but that ~’는 주로 ‘사실’이나 ‘생각’의 오해를 바로잡는 데 쓰이는 반면, ‘Not because ~ but because ~’는 ‘행동’이나 ‘결과’의 직접적인 ‘원인’을 설명하는 데 더 적합할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두 표현이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많으므로 문맥 속에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The reason is not X, but Y’ / ‘It’s not X, it’s Y’
더 간결하게 이유나 사실을 대조하여 설명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Not that/because’ 구문보다 직설적이고 명료하게 핵심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
표현: The reason I’m late is not the traffic, but that my alarm didn’t go off.
발음: [더 리즌 아임 레이트 이즈 낫 더 트래픽, 벗 댓 마이 알람 디든트 고 오프.]
뜻: 제가 늦은 이유는 교통 체증 때문이 아니라, 알람이 울리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표현: It’s not his lack of skill, it’s his lack of confidence that’s holding him back.
발음: [잇츠 낫 히즈 랙 오브 스킬, 잇츠 히즈 랙 오브 컨피던스 댓츠 홀딩 힘 백.]
뜻: 그를 가로막는 것은 그의 기술 부족이 아니라, 그의 자신감 부족입니다.
이 표현들은 ‘Not that ~ but that ~’ 보다 구조가 단순하여 이해하기 쉽고, 강조하고자 하는 진짜 이유(Y)를 명확하게 부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3. 강조 및 뉘앙스 추가 표현
‘Not that ~ but that ~’ 구문을 사용할 때, 부사나 다른 표현을 추가하여 뉘앙스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의도를 더욱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Honestly / Frankly: 솔직함을 강조하며 오해를 풀고 싶을 때.
예: “Honestly, it’s not that I don’t appreciate your help, but that I prefer to handle this task myself.” (솔직히, 당신의 도움이 고맙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이 일은 제가 직접 처리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입니다.)
- Simply / Just: 이유가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다는 점을 강조할 때.
예: “It’s not that the book is poorly written, but simply that the genre isn’t my cup of tea.” (그 책이 형편없이 쓰였다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 장르가 제 취향이 아닐 뿐입니다.)
- Rather: ‘but that’ 대신 ‘but rather that’ 형태로 사용하여 대조를 더 명확히 할 때.
예: “Not that he is incapable, but rather that he lacks the necessary experience for this specific project.” (그가 무능하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 특정 프로젝트에 필요한 경험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추가 표현들은 문장에 섬세함을 더하고, 듣는 사람이 말하는 사람의 의도와 감정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상황과 전달하고자 하는 미묘한 느낌에 맞춰 적절히 활용해 보세요.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Not that ~ but that ~’ 구문은 단순히 두 개의 절을 연결하는 것을 넘어,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몇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됩니다. 이 요소들을 이해하면 구문을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첫 번째 요소: 부정(Negation) – ‘Not that ~’
이 구문의 시작인 ‘Not that ~’ 부분은 상대방이 가지고 있을 법한 오해나 잘못된 추측을 먼저 언급하고 부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것은 대화의 서두에서 잠재적인 갈등 요소를 미리 제거하거나, 상대방의 생각을 인정하면서 부드럽게 대화를 이끌어가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Not that I dislike your suggestion…”이라고 시작하면, 상대방은 자신의 제안이 완전히 거부당한 것이 아니라는 느낌을 받게 되어 이후의 설명에 더 귀 기울이게 됩니다. 이 부정 부분은 단순히 ‘아니다’라고 말하는 것을 넘어, ‘당신이 생각하는 그런 이유는 아니다’라는 점을 명확히 함으로써 대화의 초점을 진짜 이유로 옮겨가는 준비 단계입니다.
2. 두 번째 요소: 전환(Transition) – ‘but’
‘but’은 이 구문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 역할을 합니다. 앞선 부정(‘Not that ~’)에서 진짜 이유나 사실(‘that ~’)로 논리적인 흐름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죠. ‘but’은 단순한 접속사를 넘어, ‘앞서 말한 것이 아니라, 이제 진짜 중요한 내용을 말하겠다’는 신호를 보냅니다. 이 전환을 통해 듣는 사람은 앞선 내용이 핵심이 아니며, 뒤따라오는 내용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하게 됩니다. ‘but’의 존재는 문장의 대조적인 구조를 명확하게 만들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강조하는 데 기여합니다.
3. 세 번째 요소: 진짜 이유/사실(Affirmation) – ‘that ~’
‘but that ~’ 부분은 이 구문의 핵심으로, 말하는 사람이 전달하고자 하는 진짜 이유, 사실, 또는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앞서 부정한 내용 대신 제시되는 이 긍정적인 설명은 오해를 바로잡고 상황을 명확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부분의 내용은 구체적이고 명료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Not that the price is too high, but that the delivery date doesn’t meet our deadline.” 에서 ‘but that’ 이하의 내용은 가격 문제가 아니라 납기일이 문제라는 실제 이유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이처럼 ‘that’ 절은 대화의 혼란을 제거하고, 말하는 사람의 진정한 입장이나 상황의 본질을 밝혀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결론적으로 ‘Not that ~ but that ~’ 구문은 부정, 전환, 긍정(진짜 이유 제시)이라는 세 가지 핵심 요소를 통해, 오해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자신의 진의를 정중하면서도 명확하게 전달하는 강력한 의사소통 도구입니다. 각 요소의 기능을 이해하고 활용하면 영어로 자신의 생각을 더욱 설득력 있게 표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자, 이제 ‘Not that ~ but that ~’ 구문에 대해 확실히 알게 되셨나요?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 표현은 영어로 여러분의 생각이나 이유를 오해 없이, 그리고 정중하게 전달하는 데 정말 큰 도움이 된답니다! 상대방이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을 먼저 짚어주고(“그게 아니고요~”), 진짜 이유나 사실을 명확히 밝혀주니(“사실은 이렇습니다!”) 의사소통이 훨씬 원활해질 거예요.
혹시 “내가 이걸 제대로 쓸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드시나요? 괜찮아요! 처음부터 완벽할 필요는 없어요. 오늘 배운 내용을 떠올리면서 실제 대화에서 한 번, 두 번 사용해보는 것이 중요해요. 예를 들어 친구에게 약속 시간을 변경해야 할 때, “Not that I don’t want to meet you, but that something urgent came up.” (너를 만나기 싫은 게 아니라, 급한 일이 생겼어.) 처럼 가볍게 시작해보세요. 작은 시도들이 모여 자연스러운 영어 실력으로 이어질 거랍니다!
이 구문을 더 깊이 공부하고 싶다면, 비슷한 의미를 가진 ‘It’s not because ~ but because ~’ 나 ‘The reason is not X, but Y’ 같은 표현들도 함께 익혀보세요. 다양한 표현을 알면 상황에 맞게 더 풍부하고 정확하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게 될 거예요. 미드나 영화를 볼 때 등장인물들이 언제 이런 표현을 쓰는지 주의 깊게 들어보는 것도 좋은 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답니다.
오늘 배운 ‘Not that ~ but that ~’ 구문을 여러분의 영어 무기고에 꼭 추가하세요! 앞으로 영어로 대화할 때, 자신의 의도를 명확하게 밝히고 싶거나 오해를 풀고 싶을 때 자신감 있게 이 표현을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꾸준히 연습하면 분명 여러분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이 한 단계 더 발전할 거예요.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