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ust와 Have to, 언제 어떻게 다를까요? 외부적 의무 표현 완벽 정리
“Must”와 “have to” 둘 다 “~해야 한다”는 뜻인데, 언제 어떤 걸 써야 할지 헷갈리셨죠? 특히 규칙이나 법규처럼 외부적인 요인 때문에 무언가를 해야 할 때, 어떤 표현이 더 자연스러울까요? 오늘 이 두 표현의 미묘한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고, 외부적 의무를 나타내는 상황에서 자신 있게 영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이제 더 이상 헷갈리지 마세요!
목차
외부적 의무의 대표 표현
- 표현: have to
발음: [해브 투]
뜻: (외부적 요인에 의한) ~해야 한다
Must: 주관적 의무와 강한 필요성
“Must”는 주로 말하는 사람의 주관적인 판단이나 강한 의지, 또는 내부적인 필요성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강한 권고나 당연히 지켜야 할 도덕적 의무를 말할 때도 자주 쓰이죠.
- 표현: I must finish this report by tomorrow.
발음: [아이 머스트 피니쉬 디스 리포트 바이 투모로우]
뜻: 나는 내일까지 이 보고서를 끝내야만 해. (스스로 강하게 느끼는 의무) - 표현: You must see this movie! It’s amazing.
발음: [유 머스트 씨 디스 무비! 잇츠 어메이징]
뜻: 너 이 영화 꼭 봐야 해! 정말 멋져. (강한 권유) - 표현: We must be quiet in the library.
발음: [위 머스트 비 콰이엇 인 더 라이브러리]
뜻: 우리는 도서관에서 조용히 해야 합니다. (규칙이지만 화자의 강한 인식 포함) - 표현: He must be tired after the long journey.
발음: [히 머스트 비 타이어드 애프터 더 롱 저니]
뜻: 그는 긴 여행 후에 피곤함에 틀림없어. (강한 추측) - 표현: I must remember to call my mom.
발음: [아이 머스트 리멤버 투 콜 마이 맘]
뜻: 엄마에게 전화하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해. (개인적인 다짐) - 표현: You must wear a helmet when riding a bike.
발음: [유 머스트 웨어 어 헬멧 웬 라이딩 어 바이크]
뜻: 자전거를 탈 때는 헬멧을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규칙을 강하게 강조) - 표현: She must study harder to pass the exam.
발음: [쉬 머스트 스터디 하더 투 패스 디 이그잼]
뜻: 그녀는 시험에 합격하려면 더 열심히 공부해야만 해. (화자의 주관적 판단) - 표현: They must leave now to catch the train.
발음: [데이 머스트 리브 나우 투 캐치 더 트레인]
뜻: 그들은 기차를 타려면 지금 떠나야만 해. (상황에 따른 필요성 – 화자 판단) - 표현: We must protect the environment.
발음: [위 머스트 프로텍트 디 인바이런먼트]
뜻: 우리는 환경을 보호해야 합니다. (도덕적 의무감) - 표현: I must apologize for my mistake.
발음: [아이 머스트 어폴로자이즈 포 마이 미스테이크]
뜻: 제 실수에 대해 사과해야만 합니다. (개인적 책임감)
Have to: 외부적 의무와 일반적 필요성
“Have to”는 규칙, 법규, 지시, 약속 등 외부적인 요인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의무나 필요성을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됩니다. “Must”보다 좀 더 객관적인 상황을 전달하는 느낌이죠.
- 표현: I have to wear a uniform at work.
발음: [아이 해브 투 웨어 어 유니폼 앳 워크]
뜻: 나는 직장에서 유니폼을 입어야 해. (회사 규정) - 표현: Students have to submit their assignments by Friday.
발음: [스튜던츠 해브 투 서브밋 데어 어사인먼츠 바이 프라이데이]
뜻: 학생들은 금요일까지 과제를 제출해야 합니다. (학교 규칙) - 표현: You have to get a visa to enter that country.
발음: [유 해브 투 겟 어 비자 투 엔터 댓 컨트리]
뜻: 그 나라에 입국하려면 비자를 받아야 합니다. (법/규정) - 표현: He has to take this medicine three times a day.
발음: [히 해즈 투 테이크 디스 메디슨 쓰리 타임즈 어 데이]
뜻: 그는 이 약을 하루에 세 번 복용해야 합니다. (지시 사항) - 표현: We have to pay taxes.
발음: [위 해브 투 페이 택시즈]
뜻: 우리는 세금을 내야 합니다. (법적 의무) - 표현: She has to go to the dentist appointment.
발음: [쉬 해즈 투 고 투 더 덴티스트 어포인트먼트]
뜻: 그녀는 치과 예약에 가야 합니다. (정해진 약속) - 표현: I have to wake up early for my flight tomorrow.
발음: [아이 해브 투 웨이크 업 얼리 포 마이 플라이트 투모로우]
뜻: 나는 내일 비행기 때문에 일찍 일어나야 해. (상황적 필요) - 표현: They have to follow the traffic rules.
발음: [데이 해브 투 팔로우 더 트래픽 룰즈]
뜻: 그들은 교통 규칙을 따라야 합니다. (법규) - 표현: You have to show your ID to enter the building.
발음: [유 해브 투 쇼 유어 아이디 투 엔터 더 빌딩]
뜻: 건물에 들어가려면 신분증을 보여줘야 합니다. (규칙) - 표현: We had to cancel the picnic because of the rain.
발음: [위 해드 투 캔슬 더 피크닉 비커즈 오브 더 레인]
뜻: 우리는 비 때문에 소풍을 취소해야 했어. (과거의 외부 상황)
부정문에서의 차이: Mustn’t vs. Don’t have to
긍정문에서는 의미가 비슷할 때도 있지만, 부정문에서는 “mustn’t”와 “don’t have to”의 의미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Mustn’t”는 강한 금지(~해서는 안 된다)를, “Don’t have to”는 불필요(~할 필요가 없다)를 의미합니다.
- 표현: You mustn’t smoke here.
발음: [유 머슨트 스모크 히어]
뜻: 여기서 담배를 피워서는 안 됩니다. (금지) - 표현: You don’t have to come if you’re busy.
발음: [유 돈 해브 투 컴 이프 유어 비지]
뜻: 바쁘면 올 필요 없어요. (불필요) - 표현: Students mustn’t cheat on the exam.
발음: [스튜던츠 머슨트 치트 온 디 이그잼]
뜻: 학생들은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해서는 안 됩니다. (금지) - 표현: You don’t have to wear a tie.
발음: [유 돈 해브 투 웨어 어 타이]
뜻: 넥타이를 맬 필요는 없어요. (불필요) - 표현: We mustn’t be late for the meeting.
발음: [위 머슨트 비 레이트 포 더 미팅]
뜻: 우리는 회의에 늦어서는 안 됩니다. (금지) - 표현: She doesn’t have to work on weekends.
발음: [쉬 더즌 해브 투 워크 온 위켄즈]
뜻: 그녀는 주말에 일할 필요가 없어요. (불필요) - 표현: He mustn’t tell anyone the secret.
발음: [히 머슨트 텔 애니원 더 시크릿]
뜻: 그는 누구에게도 그 비밀을 말해서는 안 됩니다. (금지) - 표현: I don’t have to finish it today.
발음: [아이 돈 해브 투 피니쉬 잇 투데이]
뜻: 나는 오늘 그것을 끝낼 필요는 없어. (불필요) - 표현: You mustn’t touch the artwork.
발음: [유 머슨트 터치 디 아트워크]
뜻: 작품을 만져서는 안 됩니다. (금지) - 표현: We don’t have to pay for the entrance fee.
발음: [위 돈 해브 투 페이 포 디 엔트런스 피]
뜻: 우리는 입장료를 낼 필요가 없어요. (불필요)
실제 대화: 회사 규정 이야기
상황: 신입사원(A)이 회사 복장 및 업무 규정에 대해 선배 사원(B)에게 질문하는 상황입니다.
- 표현: A: Excuse me, I have a question about the dress code. Do I have to wear a suit every day?
발음: [익스큐즈 미, 아이 해브 어 퀘스천 어바웃 더 드레스 코드. 두 아이 해브 투 웨어 어 숫 에브리 데이?]
뜻: 실례합니다, 복장 규정에 대해 질문이 있어요. 매일 정장을 입어야 하나요? - 표현: B: Well, according to the company policy, we have to maintain a business casual look. You don’t have to wear a full suit unless you have a client meeting.
발음: [웰, 어코딩 투 더 컴퍼니 팔러시, 위 해브 투 메인테인 어 비즈니스 캐주얼 룩. 유 돈 해브 투 웨어 어 풀 숫 언레스 유 해브 어 클라이언트 미팅.]
뜻: 음, 회사 규정에 따르면, 우리는 비즈니스 캐주얼 복장을 유지해야 해요. 고객 미팅이 있지 않은 이상 완전한 정장을 입을 필요는 없어요. - 표현: A: Oh, I see. So, jeans are not allowed then?
발음: [오, 아이 씨. 쏘, 진즈 아 낫 얼라우드 덴?]
뜻: 아, 그렇군요. 그럼 청바지는 안 되는 건가요? - 표현: B: Right. You mustn’t wear jeans or T-shirts during work hours. That’s a strict rule here.
발음: [라잇. 유 머슨트 웨어 진즈 오어 티셔츠 듀어링 워크 아워즈. 댓츠 어 스트릭트 룰 히어.]
뜻: 맞아요. 근무 시간에는 청바지나 티셔츠를 입으면 안 돼요. 여기서는 엄격한 규칙이에요. - 표현: A: Got it. And what about Fridays? Do we still have to dress formally?
발음: [갓 잇. 앤 왓 어바웃 프라이데이즈? 두 위 스틸 해브 투 드레스 포멀리?]
뜻: 알겠습니다. 그럼 금요일은요? 여전히 격식을 갖춰 입어야 하나요? - 표현: B: Actually, Fridays are casual days. So, you don’t have to worry too much about formal wear then. But you must still look neat and professional.
발음: [액추얼리, 프라이데이즈 아 캐주얼 데이즈. 쏘, 유 돈 해브 투 워리 투 머치 어바웃 포멀 웨어 덴. 벗 유 머스트 스틸 룩 닛 앤 프로페셔널.]
뜻: 사실, 금요일은 캐주얼 데이에요. 그래서 그때는 격식 있는 옷에 대해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어요. 하지만 여전히 단정하고 전문가답게 보여야 해요. - 표현: A: That’s good to know. Thanks! Also, I heard we have to submit a weekly report. Is that correct?
발음: [댓츠 굿 투 노우. 땡스! 올소, 아이 허드 위 해브 투 서브밋 어 위클리 리포트. 이즈 댓 코렉트?]
뜻: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주간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고 들었는데, 맞나요? - 표현: B: Yes, everyone has to submit their report by Friday afternoon. It’s mandatory. You must remember to do that.
발음: [예스, 에브리원 해즈 투 서브밋 데어 리포트 바이 프라이데이 애프터눈. 잇츠 맨더토리. 유 머스트 리멤버 투 두 댓.]
뜻: 네, 모든 사람이 금요일 오후까지 보고서를 제출해야 해요. 의무 사항이에요. 꼭 기억해서 해야 해요. - 표현: A: Okay, I must keep that in mind. Thanks for your help!
발음: [오케이, 아이 머스트 킵 댓 인 마인드. 땡스 포 유어 헬프!]
뜻: 네, 명심해야겠네요.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 표현: B: No problem. Let me know if you have any other questions. You must feel free to ask anytime.
발음: [노 프라블럼. 렛 미 노우 이프 유 해브 애니 아더 퀘스천즈. 유 머스트 필 프리 투 애스크 애니타임.]
뜻: 문제없어요. 다른 질문 있으면 알려주세요. 언제든지 편하게 물어보세요.
마치며
이제 “Must”와 “Have to”의 차이가 조금 더 명확해지셨나요? “Must”는 주로 내 안에서 우러나오는 강한 필요나 의지를, “Have to”는 외부의 규칙이나 상황 때문에 해야 하는 일을 나타낸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특히 부정문에서는 “Mustn’t”(금지)와 “Don’t have to”(불필요)의 의미 차이가 크니 주의해야 합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어떤 표현이 더 자연스러울지 생각해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실제 대화에서 자신 있게 사용하다 보면 어느새 두 표현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겁니다. 영어로 자신의 의무나 필요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 여러분도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