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y have vs Might have: 과거 추측,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과거에 일어난 일에 대해 ‘어쩌면 ~했을지도 몰라’라고 추측할 때가 많죠? 이때 영어로 ‘May have p.p.’와 ‘Might have p.p.’를 사용하는데, 둘 사이의 미묘한 차이 때문에 헷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두 표현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과거 상황에 대한 추측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제 과거 추측 표현에 자신감을 더해보세요.
목차
핵심 표현: 과거에 대한 추측
이 섹션에서는 과거의 가능성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조동사 구문 중 하나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May have + 과거분사’는 과거에 어떤 일이 일어났을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 표현: May have + p.p. (past participle)
발음: [메이 해브 + 과거분사]
뜻: ~했을지도 모른다 (과거 사실에 대한 추측, might have보다 가능성이 약간 더 높거나 조금 더 격식적인 느낌을 줄 수 있음)
May have + p.p.: ~했을지도 모른다 (가능성 추측)
‘May have + 과거분사’는 과거에 어떤 일이 실제로 일어났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할 때 사용합니다. 확신은 없지만 그럴 법한 이유가 있을 때 자주 쓰입니다.
- 표현: She may have forgotten about our meeting.
발음: [쉬 메이 해브 포가튼 어바웃 아워 미팅]
뜻: 그녀가 우리 약속을 잊어버렸을지도 몰라. - 표현: He may have taken the wrong bus.
발음: [히 메이 해브 테이큰 더 롱 버스]
뜻: 그가 버스를 잘못 탔을지도 몰라. - 표현: They may have already left for the airport.
발음: [데이 메이 해브 올레디 레프트 포 디 에어포트]
뜻: 그들은 이미 공항으로 떠났을지도 몰라. - 표현: I may have left my keys on the table.
발음: [아이 메이 해브 레프트 마이 키즈 온 더 테이블]
뜻: 내가 열쇠를 테이블 위에 두고 왔을지도 몰라. - 표현: The store may have closed early today.
발음: [더 스토어 메이 해브 클로즈드 얼리 투데이]
뜻: 그 가게가 오늘 일찍 문을 닫았을지도 몰라. - 표현: You may have misunderstood what I said.
발음: [유 메이 해브 미스언더스투드 왓 아이 세드]
뜻: 당신이 제가 말한 것을 오해했을지도 몰라요. - 표현: It may have rained while we were inside.
발음: [잇 메이 해브 레인드 와일 위 워 인사이드]
뜻: 우리가 안에 있는 동안 비가 왔을지도 몰라. - 표현: He may have changed his mind about coming.
발음: [히 메이 해브 체인지드 히즈 마인드 어바웃 커밍]
뜻: 그가 오기로 한 결정을 바꿨을지도 몰라.
Might have + p.p.: ~했을지도 모른다 (더 약한 추측)
‘Might have + 과거분사’ 역시 과거에 대한 추측을 나타내지만, ‘May have + p.p.’보다 가능성이 더 낮거나 더 조심스러운 추측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두 표현이 거의 구분 없이 쓰이기도 합니다.
- 표현: He might have missed his flight.
발음: [히 마이트 해브 미스드 히즈 플라이트]
뜻: 그가 비행기를 놓쳤을지도 몰라. (may have보다 가능성을 낮게 봄) - 표현: I might have dialed the wrong number.
발음: [아이 마이트 해브 다이얼드 더 롱 넘버]
뜻: 내가 전화번호를 잘못 눌렀을지도 몰라. - 표현: She might have gone to the library instead.
발음: [쉬 마이트 해브 곤 투 더 라이브러리 인스테드]
뜻: 그녀는 대신 도서관에 갔을지도 몰라. - 표현: They might have decided not to come after all.
발음: [데이 마이트 해브 디사이디드 낫 투 컴 애프터 올]
뜻: 그들은 결국 오지 않기로 결정했을지도 몰라. - 표현: We might have passed the turn already.
발음: [위 마이트 해브 패스드 더 턴 올레디]
뜻: 우리가 이미 돌아야 할 길을 지나쳤을지도 몰라. - 표현: It might have been a mistake to trust him.
발음: [잇 마이트 해브 빈 어 미스테이크 투 트러스트 힘]
뜻: 그를 믿었던 것이 실수였을지도 몰라. - 표현: Someone might have seen what happened.
발음: [썸원 마이트 해브 씬 왓 해픈드]
뜻: 누군가 무슨 일이 있었는지 봤을지도 몰라. - 표현: You might have left your wallet at the restaurant.
발음: [유 마이트 해브 레프트 유어 월렛 앳 더 레스토랑]
뜻: 네가 지갑을 식당에 두고 왔을지도 몰라.
실제 대화 예시: May have / Might have 활용
상황: 친구 A와 B가 약속 장소에서 아직 도착하지 않은 친구 C를 기다리며 대화하고 있습니다.
- 표현: A: Chris is really late. Do you think something happened?
발음: [크리스 이즈 리얼리 레이트. 두 유 띵크 썸띵 해픈드?]
뜻: 크리스가 정말 늦네. 무슨 일 생긴 걸까? - 표현: B: I’m not sure. He may have gotten stuck in traffic. There was an accident reported on the news earlier.
발음: [아임 낫 슈어. 히 메이 해브 가튼 스턱 인 트래픽. 데어 워즈 언 액시던트 리포티드 온 더 뉴스 얼리어.]
뜻: 잘 모르겠어. 교통 체증에 걸렸을지도 몰라. 아까 뉴스에서 사고 소식이 있었거든. - 표현: A: That’s possible. Or he might have forgotten about our plan altogether. He’s been quite forgetful lately.
발음: [댓츠 파서블. 오어 히 마이트 해브 포가튼 어바웃 아워 플랜 올투게더. 히즈 빈 콰이트 포겟풀 레이틀리.]
뜻: 그럴 수도 있겠다. 아니면 약속 자체를 완전히 잊어버렸을지도 몰라. 요즘 좀 잘 잊어버리잖아. - 표현: B: Hmm, I don’t think he’d forget this. He seemed really excited about it. He may have just overslept. He mentioned he was tired yesterday.
발음: [음, 아이 돈트 띵크 히드 포겟 디스. 히 심드 리얼리 익사이티드 어바웃 잇. 히 메이 해브 저스트 오버슬렙트. 히 멘션드 히 워즈 타이어드 예스터데이.]
뜻: 흠, 이걸 잊어버릴 것 같진 않은데. 엄청 기대하는 것 같았어. 그냥 늦잠을 잤을 수도 있어. 어제 피곤하다고 했었거든. - 표현: A: Overslept? It’s already afternoon! Well, maybe his phone died. He might have tried to call us but couldn’t.
발음: [오버슬렙트? 잇츠 올레디 애프터눈! 웰, 메이비 히즈 폰 다이드. 히 마이트 해브 트라이드 투 콜 어스 벗 쿠든트.]
뜻: 늦잠이라고? 벌써 오후인데! 음, 어쩌면 휴대폰 배터리가 나갔을 수도 있겠다. 우리한테 전화하려고 했는데 못 했을지도 몰라. - 표현: B: That might be it. Should we try calling him again?
발음: [댓 마이트 비 잇. 슈드 위 트라이 콜링 힘 어게인?]
뜻: 그럴 수도 있겠다. 다시 전화해 볼까? - 표현: A: Yeah, let’s try one more time. He may have had an urgent issue come up at the last minute.
발음: [예아, 렛츠 트라이 원 모어 타임. 히 메이 해브 해드 언 어전트 이슈 컴 업 앳 더 라스트 미닛.]
뜻: 응, 한 번 더 해보자. 막판에 급한 일이 생겼을 수도 있으니까.
마치며
‘May have p.p.’와 ‘Might have p.p.’는 과거의 불확실한 일에 대해 추측할 때 아주 유용한 표현입니다. 두 표현 사이에 가능성의 정도나 격식성의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많은 경우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과거분사(p.p.) 형태를 정확히 사용하는 것입니다. 오늘 배운 표현들을 실제 대화에서 사용해보면서 과거 상황에 대한 추측을 영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연습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꾸준한 연습을 통해 영어 표현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나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