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 is ~ that/who 구문 마스터하기: 영어 강조 표현 완벽 정복
대화 중에 특정 정보를 강조하고 싶은데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막막했던 경험, 있으신가요? 평범한 문장으로는 전달하기 어려운 강조의 뉘앙스 때문에 답답함을 느끼셨을 수도 있습니다. 걱정 마세요! 영어에는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문장 앞으로 끌어내어 명확하게 부각시키는 아주 유용한 구문이 있습니다. 바로 ‘It is ~ that/who’ 분열문인데요, 이 구조를 활용하면 여러분의 영어 표현력이 한층 더 풍부해지고 의사 전달도 훨씬 명확해질 거예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이 강력한 강조 구문을 쉽고 체계적으로 익혀봅시다!
목차
- It is ~ that/who 구문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주어 강조하기
- 목적어 강조하기
- 시간 부사(구) 강조하기
- 장소 부사(구) 강조하기
- 이유/방식 부사(구) 강조하기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1. Pseudo-Cleft Sentences (의사 분열문) – ‘What’ 사용
- 2. 강조의 ‘Do/Does/Did’
- 3. 부사(Adverbs)를 이용한 강조
-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It is/was’의 역할
- 2. 강조되는 요소 (The Focused Element)
- 3. ‘That/Who’ 관계사절 (The Relative Clause)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It is ~ that/who 구문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영어로 특정 정보를 강조하여 전달하고 싶을 때 가장 기본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구조가 바로 ‘It is ~ that/who’ 구문입니다. 이 구조는 문장의 특정 요소를 ‘It is/was’와 ‘that/who’ 사이에 넣어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
표현: It is [emphasized part] that/who [rest of the sentence]
발음: [잇 이즈 (강조 부분) 댓/후 (나머지 문장)]
뜻: ~한 것은 바로 [강조 부분]이다
이 ‘It is ~ that/who’ 구문은 영어에서 강조를 표현하는 가장 대표적이고 흔하게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주어, 목적어, 부사구(시간, 장소, 이유 등) 등 문장의 다양한 요소를 강조할 수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습니다. 이 구조를 익혀두면 자신의 생각이나 사실을 더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It is ~ that/who’ 구문은 강조하고 싶은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주어, 목적어, 시간, 장소 등 어떤 요소를 강조하느냐에 따라 문장의 느낌과 전달되는 정보의 초점이 달라집니다. 다양한 상황별 예문을 통해 이 구문의 쓰임새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주어 강조하기
문장의 행위 주체인 주어를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사람 주어일 경우 ‘who’를, 사물이나 동물 주어일 경우 ‘that’을 주로 사용합니다.
-
표현: It was John who broke the window.
발음: [잇 워즈 존 후 브로크 더 윈도우]
뜻: 창문을 깬 것은 바로 존이었다. -
표현: It is the marketing team that needs to present the results.
발음: [잇 이즈 더 마케팅 팀 댓 니즈 투 프리젠트 더 리절츠]
뜻: 결과를 발표해야 하는 것은 바로 마케팅 팀이다. -
표현: It is I who am responsible for this project.
발음: [잇 이즈 아이 후 엠 리스판서블 포 디스 프로젝트]
뜻: 이 프로젝트를 책임지고 있는 사람은 바로 나입니다. (격식체) -
표현: It was the sudden noise that startled the baby.
발음: [잇 워즈 더 서든 노이즈 댓 스타틀드 더 베이비]
뜻: 아기를 놀라게 한 것은 바로 그 갑작스러운 소음이었다.
목적어 강조하기
동사의 대상이 되는 목적어를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보통 ‘that’을 사용하며, 강조 대상이 사람이어도 구어체에서는 ‘that’을 흔히 씁니다. (격식체에서는 ‘whom’을 쓰기도 합니다.)
-
표현: It was the red dress that she chose in the end.
발음: [잇 워즈 더 레드 드레스 댓 쉬 초즈 인 디 엔드]
뜻: 그녀가 결국 고른 것은 바로 그 빨간 드레스였다. -
표현: It is this specific problem that we need to address first.
발음: [잇 이즈 디스 스페시픽 프라블럼 댓 위 니드 투 어드레스 퍼스트]
뜻: 우리가 먼저 해결해야 하는 것은 바로 이 특정 문제이다. -
표현: It was him that I saw at the park yesterday.
발음: [잇 워즈 힘 댓 아이 쏘 앳 더 파크 예스터데이]
뜻: 내가 어제 공원에서 본 사람은 바로 그였다. -
표현: It is English grammar that many students find challenging.
발음: [잇 이즈 잉글리시 그래머 댓 매니 스튜던츠 파인드 챌린징]
뜻: 많은 학생들이 어렵다고 느끼는 것은 바로 영어 문법이다.
시간 부사(구) 강조하기
어떤 일이 일어난 특정 시간을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that’ 또는 ‘when’을 사용할 수 있지만, ‘that’이 더 일반적입니다.
-
표현: It was yesterday that I finished the report.
발음: [잇 워즈 예스터데이 댓 아이 피니시드 더 리포트]
뜻: 내가 보고서를 끝낸 것은 바로 어제였다. -
표현: It is only during the holidays that we get to see our relatives.
발음: [잇 이즈 온리 듀링 더 할리데이즈 댓 위 겟 투 씨 아워 렐러티브즈]
뜻: 우리가 친척들을 만날 수 있는 것은 오직 휴일 동안뿐이다. -
표현: It was not until last night that I realized my mistake.
발음: [잇 워즈 낫 언틸 라스트 나잇 댓 아이 리얼라이즈드 마이 미스테이크]
뜻: 내가 내 실수를 깨달은 것은 바로 어젯밤이 되어서였다. (‘~해서야 비로소 ~하다’는 의미) -
표현: It is at 3 PM that the meeting is scheduled to start.
발음: [잇 이즈 앳 쓰리 피엠 댓 더 미팅 이즈 스케줄드 투 스타트]
뜻: 회의가 시작하기로 예정된 시간은 바로 오후 3시이다.
장소 부사(구) 강조하기
어떤 일이 일어난 장소를 강조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that’ 또는 ‘where’를 사용할 수 있지만, ‘that’이 더 일반적입니다.
-
표현: It was in this cafe that we first met.
발음: [잇 워즈 인 디스 카페 댓 위 퍼스트 멧]
뜻: 우리가 처음 만난 곳은 바로 이 카페였다. -
표현: It is on the top shelf that you will find the book.
발음: [잇 이즈 온 더 탑 쉘프 댓 유 윌 파인드 더 북]
뜻: 당신이 그 책을 찾을 수 있는 곳은 바로 맨 위 선반이다. -
표현: It was right here that the accident happened.
발음: [잇 워즈 라잇 히어 댓 디 액시던트 해픈드]
뜻: 사고가 일어난 곳은 바로 여기였다. -
표현: It is in London that the next conference will be held.
발음: [잇 이즈 인 런던 댓 더 넥스트 컨퍼런스 윌 비 헬드]
뜻: 다음 회의가 열릴 곳은 바로 런던이다.
이유/방식 부사(구) 강조하기
어떤 일이 일어난 이유나 방식을 강조할 때도 ‘It is ~ that’ 구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표현: It was because he was ill that he couldn’t come.
발음: [잇 워즈 비코즈 히 워즈 일 댓 히 쿠든트 컴]
뜻: 그가 올 수 없었던 것은 바로 아팠기 때문이었다. -
표현: It is by practicing regularly that you can improve your skills.
발음: [잇 이즈 바이 프랙티싱 레귤럴리 댓 유 캔 임프루브 유어 스킬즈]
뜻: 당신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바로 꾸준히 연습함으로써이다. -
표현: Is it for this reason that you decided to quit?
발음: [이즈 잇 포 디스 리즌 댓 유 디사이디드 투 큇?]
뜻: 당신이 그만두기로 결정한 것이 바로 이 이유 때문인가요? (의문문 형태) -
표현: It was with great difficulty that she managed to finish the task.
발음: [잇 워즈 위드 그레잇 디피컬티 댓 쉬 매니지드 투 피니시 더 태스크]
뜻: 그녀가 그 일을 간신히 끝낼 수 있었던 것은 엄청난 어려움 속에서였다.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It is ~ that/who’ 구문은 강력한 강조 도구이지만,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유의할 점이 있습니다. 다음은 이 구문을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하기 위한 핵심 포인트들입니다.
- 강조하고 싶은 정보 명확히 하기: 문장에서 가장 중요하게 전달하고 싶은 정보가 무엇인지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어, 목적어, 시간, 장소, 이유 등 강조할 대상을 명확히 해야 적절한 분열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John broke the window yesterday because he was angry.” 라는 문장에서 ‘John’을 강조하고 싶다면 “It was John who broke the window yesterday because he was angry.”가 되고, ‘yesterday’를 강조하고 싶다면 “It was yesterday that John broke the window because he was angry.”가 됩니다.
- 자연스러운 어조와 강세 사용: 분열문을 사용할 때는 강조되는 부분에 자연스럽게 강세를 두어 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t is/was’ 다음의 강조되는 단어나 구를 다른 부분보다 조금 더 강하고 높게 발음하면 강조의 효과가 살아납니다. 억지로 강조하려 하기보다는, 대화의 흐름 속에서 자연스럽게 강조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 과용하지 않기: 분열문은 강조 효과가 크기 때문에 너무 자주 사용하면 오히려 부자연스럽거나 지루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정말로 강조가 필요한 순간에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문장을 분열문으로 만들 필요는 없으며, 평서문과 적절히 섞어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영어 구사에 도움이 됩니다.
- ‘Who’와 ‘That’의 구분 (주어 강조 시): 사람 주어를 강조할 때는 ‘who’를 사용하는 것이 문법적으로 더 정확하지만, 현대 영어, 특히 구어체에서는 ‘that’도 흔히 사용됩니다. 격식 있는 글쓰기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who’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일상 대화에서는 ‘that’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사물이나 동물이 주어일 때는 ‘that’을 사용합니다.
- 부정문과 의문문 형태 익히기: 분열문은 부정문이나 의문문 형태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부정문은 ‘It is/was not ~ that/who…’ 형태로, 의문문은 ‘Is/Was it ~ that/who…?’ 형태로 만듭니다. “It was not me who said that.” (그 말을 한 것은 내가 아니었다.), “Was it last week that you met him?” (당신이 그를 만난 것이 지난주였나요?) 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는 연습을 해두면 좋습니다.
- 문맥에 맞는 시제 사용: ‘It is’를 사용할지 ‘It was’를 사용할지는 강조하려는 내용의 시점에 따라 결정됩니다. 현재 사실이나 일반적인 사실을 강조할 때는 ‘It is’, 과거의 특정 사건이나 사실을 강조할 때는 ‘It was’를 사용합니다. 원래 문장의 시제와 일치시키는 것이 기본이지만, 강조의 초점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니 문맥을 잘 파악해야 합니다.
- ‘That’ 절의 동사 수 일치 주의: ‘It is/was [주어] that/who + 동사…’ 형태로 주어를 강조할 때, ‘that/who’ 뒤에 오는 동사는 강조되는 주어의 수와 인칭에 맞춰야 합니다. “It is I who am responsible.” (내가 책임자이다.), “It is you who are mistaken.” (잘못 생각하는 것은 너다.), “It is the dog that barks loudly.” (시끄럽게 짖는 것은 그 개다.) 와 같이 수 일치에 주의해야 합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상황 설명: 친구 사이인 A와 B가 지난 주말 파티에서 있었던 일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누가 노래를 가장 잘 불렀는지, 누가 가장 늦게까지 남았는지 등 기억이 약간 엇갈리는 부분을 ‘It is ~ that/who’ 구문을 사용하여 서로 강조하며 이야기합니다.
-
표현: A: Hey, that was a fun party last Saturday, wasn’t it?
발음: [헤이, 댓 워즈 어 펀 파티 라스트 새터데이, 워즌트 잇?]
뜻: 이봐, 지난 토요일 파티 정말 재밌었지, 그렇지 않아? -
표현: B: Absolutely! I really enjoyed the karaoke. But you know, I think it was Sarah who sang the best.
발음: [앱솔루틀리! 아이 리얼리 인조이드 더 캐리오키. 벗 유 노우, 아이 띵크 잇 워즈 새라 후 생 더 베스트.]
뜻: 물론이지! 난 노래방이 정말 즐거웠어. 근데 있잖아, 내 생각엔 노래를 가장 잘 부른 건 바로 사라였어. -
표현: A: Sarah? Really? I thought it was Mike who totally nailed that rock song. His voice was amazing!
발음: [새라? 리얼리? 아이 똣 잇 워즈 마이크 후 토털리 네일드 댓 락 송. 히즈 보이스 워즈 어메이징!]
뜻: 사라? 정말? 난 그 록 음악을 완전히 멋지게 부른 건 바로 마이크라고 생각했는데. 목소리가 굉장했어! -
표현: B: Oh, Mike was good too, but it was Sarah’s ballad that really moved everyone, I think. The emotion!
발음: [오, 마이크 워즈 굿 투, 벗 잇 워즈 새라즈 발라드 댓 리얼리 무브드 에브리원, 아이 띵크. 디 이모션!]
뜻: 아, 마이크도 잘했지만, 내 생각엔 모두를 정말 감동시킨 건 바로 사라의 발라드였어. 그 감정! -
표현: A: Hmm, maybe you’re right about the emotion. Okay, what about the food? It was the pizza that disappeared first, right?
발음: [음, 메이비 유어 라잇 어바웃 디 이모션. 오케이, 왓 어바웃 더 푸드? 잇 워즈 더 피자 댓 디서피어드 퍼스트, 라잇?]
뜻: 흠, 감정에 대해선 네 말이 맞을지도 몰라. 좋아, 음식은 어땠어? 가장 먼저 사라진 건 바로 피자였지, 맞아? -
표현: B: No, no. It was definitely the chicken wings that everyone grabbed first. I barely got any!
발음: [노, 노. 잇 워즈 데피니틀리 더 치킨 윙즈 댓 에브리원 그랩드 퍼스트. 아이 베얼리 갓 애니!]
뜻: 아니, 아니. 모두가 먼저 집어간 건 분명히 닭 날개였어. 난 거의 먹지도 못했다니까! -
표현: A: Chicken wings? Are you sure? I remember seeing a lot of empty pizza boxes. Maybe it was just near you that the wings ran out quickly?
발음: [치킨 윙즈? 아 유 슈어? 아이 리멤버 씨잉 어 랏 오브 엠티 피자 박시즈. 메이비 잇 워즈 저스트 니어 유 댓 더 윙즈 랜 아웃 퀴클리?]
뜻: 닭 날개? 확실해? 난 빈 피자 상자를 많이 봤던 걸로 기억하는데. 어쩌면 날개가 빨리 떨어진 곳이 바로 네 근처였던 건 아닐까? -
표현: B: Could be. Anyway, who stayed the latest? Was it you who left after 2 AM?
발음: [쿠드 비. 애니웨이, 후 스테이드 더 레이티스트? 워즈 잇 유 후 레프트 애프터 투 에이엠?]
뜻: 그럴 수도 있겠네. 아무튼, 누가 가장 늦게까지 있었지? 새벽 2시 넘어서 간 사람이 바로 너였어? -
표현: A: Me? No way! It was Tom and Lisa who were the last ones standing. I left around 1:30 AM.
발음: [미? 노 웨이! 잇 워즈 톰 앤 리사 후 워 더 라스트 원즈 스탠딩. 아이 레프트 어라운드 원떠리 에이엠.]
뜻: 나? 절대 아니지!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사람들은 바로 톰과 리사였어. 난 1시 반쯤 갔어. -
표현: B: Ah, okay. My memory is a bit fuzzy. But it was definitely a great night that we all enjoyed.
발음: [아, 오케이. 마이 메모리 이즈 어 빗 퍼지. 벗 잇 워즈 데피니틀리 어 그레잇 나잇 댓 위 올 인조이드.]
뜻: 아, 알았어. 내 기억이 좀 희미하네. 하지만 우리 모두가 즐겼던 건 분명히 멋진 밤이었어.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의견 차이 표현: 친구와의 대화에서처럼, 서로 다른 기억이나 의견을 가지고 있을 때 ‘It is/was ~ that/who’ 구문은 자신의 주장을 부드러우면서도 명확하게 강조하는 데 유용합니다. “I think it was Sarah who…”나 “I thought it was Mike who…”처럼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며 강조할 수 있습니다.
- ‘Definitely’와 함께 사용: B가 “It was definitely the chicken wings that…”라고 말한 것처럼, ‘definitely’, ‘certainly’, ‘really’ 등의 부사와 함께 사용하면 강조의 의미를 더욱 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의문문 활용: A가 “Was it you who left after 2 AM?”라고 묻는 것처럼, 상대방의 기억이나 정보를 확인할 때도 분열문 의문형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복잡한 표현 분석 1 – “nailed that rock song”: ‘Nail’은 구어체에서 무언가를 ‘완벽하게 해내다’, ‘성공적으로 마치다’라는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여기서는 마이크가 록 음악을 아주 잘 불렀다는 뜻입니다. “She totally nailed her presentation.” (그녀는 발표를 완벽하게 해냈다.) 와 같이 활용됩니다.
- 복잡한 표현 분석 2 – “the last ones standing”: 직역하면 ‘마지막으로 서 있는 사람들’이지만, 파티나 모임 등에서 ‘가장 늦게까지 남아 있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관용적인 표현입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It is ~ that/who’ 구문 외에도 강조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법과 관련 표현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들을 함께 알아두면 더욱 풍부하고 섬세한 영어 표현이 가능해집니다.
1. Pseudo-Cleft Sentences (의사 분열문) – ‘What’ 사용
‘It is ~ that/who’ 구문과 유사하게 강조의 기능을 하지만 구조가 약간 다릅니다. 주로 ‘What’으로 시작하며, 강조하고 싶은 내용을 문장의 뒷부분에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정보의 흐름을 조절하며 청자의 기대감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표현: What I need is a cup of coffee. ( = It is a cup of coffee that I need.)
발음: [왓 아이 니드 이즈 어 컵 오브 커피]
뜻: 내가 필요한 것은 바로 커피 한 잔이다. -
표현: What surprised me was his sudden resignation. ( = It was his sudden resignation that surprised me.)
발음: [왓 서프라이즈드 미 워즈 히즈 서든 레지그네이션]
뜻: 나를 놀라게 한 것은 바로 그의 갑작스러운 사직이었다. -
표현: What she bought at the mall was a new handbag. ( = It was a new handbag that she bought at the mall.)
발음: [왓 쉬 보트 앳 더 몰 워즈 어 뉴 핸드백]
뜻: 그녀가 쇼핑몰에서 산 것은 바로 새 핸드백이었다.
‘What’ 절이 문장의 주어 역할을 하며, be 동사 뒤에 강조되는 내용이 오는 구조입니다. ‘It is ~ that’ 구문보다 덜 직접적이지만 자연스러운 강조 효과를 줍니다.
2. 강조의 ‘Do/Does/Did’
평서문에서 동사 앞에 ‘do’, ‘does’, ‘did’를 사용하여 동사의 의미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어떤 사실을 확인하거나, 반박하거나, 강한 감정을 표현할 때 유용합니다.
-
표현: I do understand your situation.
발음: [아이 두 언더스탠드 유어 시츄에이션]
뜻: 저는 당신의 상황을 정말로 이해합니다. (상대방이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할까 봐 강조) -
표현: She does work hard, even if it doesn’t always show.
발음: [쉬 더즈 워크 하드, 이븐 이프 잇 더즌트 올웨이즈 쇼우]
뜻: 그녀는 비록 항상 티가 나지는 않더라도 정말 열심히 일합니다. -
표현: We did finish the project on time!
발음: [위 디드 피니시 더 프로젝트 온 타임!]
뜻: 우리는 프로젝트를 제시간에 정말 끝냈어요! (의심이나 반박에 대해 강조)
이 강조의 ‘do/does/did’는 동사 원형과 함께 쓰이며, 말할 때는 이 조동사에 강세를 두어 발음합니다. 분열문과는 다른 방식으로 문장에 강조를 더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3. 부사(Adverbs)를 이용한 강조
다양한 부사를 사용하여 문장의 특정 부분이나 전체적인 의미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really’, ‘very’, ‘extremely’, ‘absolutely’, ‘definitely’, ‘certainly’ 등이 흔히 사용됩니다.
-
표현: This is absolutely fantastic!
발음: [디스 이즈 앱솔루틀리 팬태스틱!]
뜻: 이것은 정말로 환상적이다! -
표현: He was extremely tired after the long journey.
발음: [히 워즈 익스트림리 타이어드 애프터 더 롱 저니]
뜻: 그는 긴 여정 후에 극도로 피곤했다. -
표현: I definitely need your help with this.
발음: [아이 데피니틀리 니드 유어 헬프 위드 디스]
뜻: 나는 이것에 당신의 도움이 분명히 필요하다.
이러한 부사들은 형용사, 다른 부사, 또는 문장 전체를 수식하며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분열문과 함께 사용되기도 하며 (예: It was definitely him that I saw.), 단독으로도 강조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It is ~ that/who’ 분열문 구조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구성 요소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그 기능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구조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It is/was’, 강조되는 요소, 그리고 ‘that/who’ 관계사절입니다.
1. ‘It is/was’의 역할
분열문의 시작을 알리는 ‘It is’ 또는 ‘It was’는 문법적으로는 ‘허사(expletive) It’으로 불리며, 특별한 의미를 가지지 않고 구조를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청자에게 ‘이제부터 중요한 정보, 즉 강조되는 내용이 나올 것’이라는 신호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 시제 선택: ‘is’를 쓸지 ‘was’를 쓸지는 강조하려는 내용이 속한 원래 문장의 시제나, 말하는 시점에서의 강조 초점에 따라 결정됩니다.
- 현재/일반적 사실 강조: It is John who always arrives first. (항상 제일 먼저 도착하는 사람은 존이다.)
- 과거 사실 강조: It was John who arrived first yesterday. (어제 제일 먼저 도착한 사람은 존이었다.)
- 기능적 중요성: 비록 의미는 없지만, 이 ‘It is/was’가 있기에 뒤따르는 명사구, 부사구 등을 문장의 주어처럼 기능하게 만들어 강조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평범한 문장 구조에서 벗어나 특정 요소를 부각시키는 틀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It is/was’는 분열문의 문을 여는 열쇠와 같아서, 이 부분이 있어야만 뒤따르는 강조 요소와 나머지 절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습니다. 발음할 때도 ‘It’은 약하게, ‘is/was’는 뒤따르는 강조어와 연결하여 자연스럽게 발음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2. 강조되는 요소 (The Focused Element)
‘It is/was’와 ‘that/who’ 사이에 위치하는 이 부분이 바로 분열문의 핵심, 즉 강조하고자 하는 정보입니다. 문장의 거의 모든 요소가 이 자리에 올 수 있습니다.
- 강조 대상의 다양성:
- 주어: It was the dog that barked all night. (밤새 짖은 것은 바로 그 개였다.)
- 목적어: It is this book that I recommend. (내가 권하는 것은 바로 이 책이다.)
- 보어: It was a doctor that she became. (그녀가 된 것은 바로 의사였다.) – (덜 흔하지만 가능)
- 시간 부사(구): It was last year that they got married. (그들이 결혼한 것은 바로 작년이었다.)
- 장소 부사(구): It is in Paris that he lives. (그가 사는 곳은 바로 파리이다.)
- 이유 부사절: It was because she was busy that she couldn’t join us. (그녀가 우리와 함께할 수 없었던 것은 바로 바빴기 때문이었다.)
- 전치사구: It was with great enthusiasm that he accepted the offer. (그가 그 제안을 수락한 것은 바로 큰 열정을 가지고서였다.)
- 정보의 중심: 이 부분에 오는 내용은 대화나 글의 맥락에서 새롭거나, 중요하거나, 혹은 예상과 다른 정보일 경우가 많습니다. 청자나 독자의 주의를 집중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어떤 요소를 강조하느냐에 따라 문장의 전체적인 의미와 뉘앙스가 크게 달라지므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핵심을 정확히 파악하여 이 자리에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법적으로는 명사구, 대명사, 부사(구/절), 전치사구 등이 올 수 있습니다.
3. ‘That/Who’ 관계사절 (The Relative Clause)
강조되는 요소 뒤에 오는 ‘that’ 또는 ‘who’는 관계대명사 또는 관계부사처럼 기능하며, 나머지 문장 부분을 이끌어 강조된 요소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절은 강조된 요소를 제외한 원래 문장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합니다.
- ‘Who’ vs. ‘That’:
- 사람 주어 강조 시: ‘who’가 문법적으로 선호되나, 구어체에서는 ‘that’도 널리 쓰입니다. (It was Mary who/that called.)
- 사물/동물 주어 강조 시: ‘that’을 사용합니다. (It was the email that caused the problem.)
- 목적어 강조 시: 주로 ‘that’을 사용합니다. 사람 목적어라도 구어체에서는 ‘that’이 일반적입니다. (It was Tom that I met.)
- 시간/장소/이유 등 부사(구/절) 강조 시: ‘that’을 사용합니다. (It was yesterday that I saw her. / It was in the park that we talked.)
- 절의 기능: 이 관계사절은 강조된 요소가 문장의 나머지 부분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It was John who broke the window“에서 ‘who broke the window’는 ‘John’이 창문을 깬 행위자임을 설명합니다. “It was the window that John broke“에서는 ‘that John broke’가 ‘the window’가 깨진 대상임을 설명합니다.
- 동사 수 일치 (주어 강조 시): 주어를 강조하는 경우, ‘that/who’ 뒤의 동사는 강조된 주어에 맞춰 수 일치를 해야 합니다. (It is I who am wrong. / It is the students who are responsible.)
이 관계사절은 문장의 나머지 정보를 담고 있으며, 강조된 요소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완전한 문장을 이룹니다. ‘that’은 거의 모든 경우에 사용할 수 있어 가장 보편적이지만, 사람 주어를 강조할 때는 ‘who’를 쓰는 것이 더 명확하고 격식 있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자, 이제 ‘It is ~ that/who’ 분열문에 대해 확실히 알게 되셨죠!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 구문이 가진 강조의 힘을 생각하면 꼭 익혀둘 만한 가치가 있답니다. 평범한 문장으로는 전달하기 어려운 미묘한 뉘앙스나 중요한 정보를 콕 집어 강조하고 싶을 때, 이 분열문은 정말 유용한 도구가 되어줄 거예요!
단순히 문법 규칙으로만 외우기보다는, 오늘 배운 다양한 예문들을 소리 내어 읽어보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요소를 강조하고 싶은지 스스로 질문하며 연습해보세요. 처음에는 어색하더라도 자꾸 사용하다 보면 입에 착 붙게 될 거예요. 친구와의 대화에서, 혹은 영어 일기를 쓸 때 의식적으로 한두 번씩 사용해보는 건 어떨까요?
더 나아가, ‘What’을 사용한 의사 분열문이나 강조의 ‘do/does/did’ 같은 다른 강조 표현들도 함께 익혀두면 여러분의 영어 표현력이 훨씬 더 풍부해질 수 있습니다! 다양한 강조 방법을 자유자재로 구사하게 되면, 여러분의 생각과 감정을 더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영어로 소통하는 즐거움이 더욱 커질 거예요. 자신감을 가지고 꾸준히 연습하는 것, 잊지 마세요! 여러분의 영어 성장을 항상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