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 is not until ~ that 구문: ~가 되어서야 비로소를 강조하는 분열문 영어로
영어로 대화하다 보면 특정 시점이나 사건 이후에야 비로소 어떤 일이 일어났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을 때가 있죠. “그때가 되어서야 알았어”, “시험 전날이 되어서야 벼락치기를 시작했어” 처럼요. 이런 미묘한 시간적 강조,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막막하셨을 수 있습니다. 걱정 마세요! 바로 이럴 때 사용하는 아주 유용한 구문이 있습니다.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 영어 문법 속에서도, 특정 시점을 명확하게 강조하는 ‘It is not until ~ that ~’ 구문을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은 특정 사건이나 시점 이후에 발생한 일을 강조하는 세련된 영어 표현을 마스터하게 될 것입니다!
목차
- It is not until ~ that 구문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It is not until ~ that’ 영어 문장
- 깨달음과 발견의 순간
- 행동이나 사건의 시작 시점
- 조건 충족과 결과
- 경험과 변화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It is not until ~ that’ 활용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It is not until ~ that’ 구문 활용 대화 예시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관련 표현과 뉘앙스
- 1. ‘Not until…’ 도치 구문
- 2. ‘Only when/after…’ 구문
- 3. 흔히 저지르는 실수와 주의점
- ‘It is not until ~ that’ 구문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It is… that…’ 강조 구문 (Cleft Sentence)
- 2. ‘not until’의 의미와 기능
- 3. 시제와 조동사의 일치
- 결론: 자신감 있게 ‘It is not until ~ that’ 구문 활용하기
It is not until ~ that 구문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어떤 일이 특정 시점까지는 일어나지 않다가, 바로 그 시점이 되어서야 비로소 일어났다는 것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핵심 표현을 알아봅시다.
-
표현: It is not until [time/event] that [main clause]
발음: 잇 이즈 낫 언틸 [타임/이벤트] 댓 [메인 클로즈]
뜻: [시간/사건]이 되어서야 비로소 [주절]하다
이 구문은 ‘not until ~’ (~까지는 아니다) 부분을 문장 앞으로 가져와 ‘It is… that…’ 강조 구문(분열문)과 결합한 형태입니다. 이를 통해 ‘until’ 뒤에 오는 시간이나 사건의 중요성을 부각하며, 그 시점 이후에야 주절의 내용이 실현되었음을 명확히 전달합니다. 일상 대화나 글에서 특정 타이밍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을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It is not until ~ that’ 영어 문장
이제 ‘It is not until ~ that ~’ 구문이 다양한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구체적인 예문들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이 표현은 깨달음의 순간, 어떤 일의 시작 시점, 특정 조건 충족 등 다양한 맥락에서 시간적 강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깨달음과 발견의 순간
어떤 사실을 뒤늦게 깨닫거나 발견했을 때, 그 시점을 강조하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표현: It was not until I read the book that I understood the theory.
발음: 잇 워즈 낫 언틸 아이 레드 더 북 댓 아이 언더스투드 더 띠어리.
뜻: 그 책을 읽고 나서야 비로소 나는 그 이론을 이해했다. -
표현: It wasn’t until she explained it that I realized my mistake.
발음: 잇 워즌트 언틸 쉬 익스플레인드 잇 댓 아이 리얼라이즈드 마이 미스테이크.
뜻: 그녀가 설명해주고 나서야 비로소 나는 내 실수를 깨달았다. -
표현: It is not until you lose your health that you appreciate it.
발음: 잇 이즈 낫 언틸 유 루즈 유어 헬스 댓 유 어프리시에잇 잇.
뜻: 건강을 잃고 나서야 비로소 그것의 소중함을 알게 된다. -
표현: It was not until the final clue was revealed that the detective solved the case.
발음: 잇 워즈 낫 언틸 더 파이널 클루 워즈 리빌드 댓 더 디텍티브 솔브드 더 케이스.
뜻: 마지막 단서가 드러나고 나서야 비로소 그 탐정은 사건을 해결했다.
행동이나 사건의 시작 시점
어떤 행동이나 사건이 특정 시점 이후에야 시작되었음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
표현: It was not until midnight that the party really started.
발음: 잇 워즈 낫 언틸 미드나잇 댓 더 파티 리얼리 스타티드.
뜻: 자정이 되어서야 비로소 파티가 제대로 시작되었다. -
표현: It wasn’t until the rain stopped that we could go outside.
발음: 잇 워즌트 언틸 더 레인 스탑트 댓 위 쿠드 고 아웃사이드.
뜻: 비가 그치고 나서야 비로소 우리는 밖에 나갈 수 있었다. -
표현: It is not until the deadline approaches that many students start working seriously.
발음: 잇 이즈 낫 언틸 더 데드라인 어프로치즈 댓 매니 스튜던츠 스타트 워킹 시리어슬리.
뜻: 마감일이 다가와서야 비로소 많은 학생들이 진지하게 공부하기 시작한다. -
표현: It was not until the sun set that the temperature began to drop.
발음: 잇 워즈 낫 언틸 더 선 셋 댓 더 템퍼러처 비갠 투 드랍.
뜻: 해가 지고 나서야 비로소 기온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조건 충족과 결과
특정 조건이 충족된 이후에야 어떤 결과가 나타났음을 설명할 때 유용합니다.
-
표현: It was not until I got the confirmation email that I felt relieved.
발음: 잇 워즈 낫 언틸 아이 갓 더 컨퍼메이션 이메일 댓 아이 펠트 릴리브드.
뜻: 확인 이메일을 받고 나서야 비로소 나는 안심했다. -
표현: It is not until all the requirements are met that the application can be processed.
발음: 잇 이즈 낫 언틸 올 더 리콰이어먼츠 아 멧 댓 디 애플리케이션 캔 비 프로세스드.
뜻: 모든 요구 조건이 충족되고 나서야 비로소 지원서가 처리될 수 있다. -
표현: It wasn’t until he apologized that she forgave him.
발음: 잇 워즌트 언틸 히 어팔러자이즈드 댓 쉬 포게이브 힘.
뜻: 그가 사과하고 나서야 비로소 그녀는 그를 용서했다. -
표현: It is not until the final payment is made that the ownership is transferred.
발음: 잇 이즈 낫 언틸 더 파이널 페이먼트 이즈 메이드 댓 디 오너쉽 이즈 트랜스퍼드.
뜻: 최종 지불이 완료되고 나서야 비로소 소유권이 이전된다.
경험과 변화
어떤 경험을 하고 나서야 비로소 변화가 생겼거나 무언가를 할 수 있게 되었음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
표현: It was not until I lived abroad that I truly understood cultural differences.
발음: 잇 워즈 낫 언틸 아이 리브드 어브로드 댓 아이 트룰리 언더스투드 컬처럴 디퍼런시즈.
뜻: 해외에 살아보고 나서야 비로소 나는 문화적 차이를 진정으로 이해했다. -
표현: It wasn’t until I failed the exam that I decided to study harder.
발음: 잇 워즌트 언틸 아이 페일드 디 이그잼 댓 아이 디사이디드 투 스터디 하더.
뜻: 시험에 떨어지고 나서야 비로소 나는 더 열심히 공부하기로 결심했다. -
표현: It is not until people face a crisis that they show their true character.
발음: 잇 이즈 낫 언틸 피플 페이스 어 크라이시스 댓 데이 쇼우 데어 트루 캐릭터.
뜻: 사람들은 위기에 직면하고 나서야 비로소 본성을 드러낸다.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It is not until ~ that’ 활용 핵심 포인트
‘It is not until ~ that ~’ 구문은 강력한 강조 효과를 주지만,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이 구문을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입니다.
-
포인트 1: 시제 일치 확인하기
‘It is/was not until ~’ 부분의 시제와 ‘that’ 절의 시제를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거의 사건을 이야기할 때는 ‘It was not until ~ that [과거 동사]…’ 형태로 사용하고, 일반적인 사실이나 현재의 상황을 말할 때는 ‘It is not until ~ that [현재 동사]…’ 형태로 사용합니다. 예: It *was* not until yesterday that I *received* the package. (어제가 되어서야 소포를 받았다 – 과거) / It *is* not until winter comes that we *appreciate* the warmth. (겨울이 와서야 따뜻함을 소중히 여긴다 – 일반적 사실) -
포인트 2: ‘Until’ 뒤의 내용 명확히 하기
‘Until’ 뒤에는 강조하고 싶은 특정 시점(시간, 날짜, 요일 등)이나 사건, 조건을 명확하게 명시해야 합니다. 모호한 표현보다는 구체적인 시점을 제시하는 것이 구문의 강조 효과를 높입니다. 예: ‘until later’ 보다는 ‘until 10 PM’, ‘until the meeting ended’ 처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
포인트 3: ‘That’ 절은 완전한 문장으로
‘That’ 뒤에는 주어와 동사를 갖춘 완전한 문장이 와야 합니다. 이 문장은 ‘until’로 명시된 시점 이후에 비로소 발생한 주된 사건이나 상태를 설명합니다. ‘That’을 생략하거나 뒤에 불완전한 절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포인트 4: 구어체에서의 축약형 사용
일상 대화에서는 ‘It is not’을 ‘It’s not’으로, ‘It was not’을 ‘It wasn’t’으로 축약하여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글쓰기에서는 문맥과 격식에 따라 축약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
포인트 5: ‘Not until…’ 문장 시작 형태 알기 (도치 구문)
‘Not until ~’ 구문이 문장 맨 앞에 올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주절에서 주어와 조동사(do/does/did 또는 be동사, 조동사)의 위치가 바뀌는 도치가 일어납니다. 예: Not until I saw it with my own eyes did I believe it. (내 눈으로 직접 보고 나서야 비로소 나는 그것을 믿었다.) 이 형태는 ‘It is not until ~ that ~’ 보다 조금 더 문어적이거나 강조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
포인트 6: 강조의 뉘앙스 이해하기
이 구문은 단순히 시간 순서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그 시점이 되어서야’라는 강조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간적 지연이나 특정 시점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모든 시간 관련 문장에 이 구문을 남용하면 오히려 어색해질 수 있습니다. -
포인트 7: 긍정문과의 차이 인지하기
‘It is not until A that B’는 ‘A가 되기 전까지는 B가 아니다’라는 의미를 내포하며 A 시점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반면, ‘B happened after A’는 단순히 시간 순서만을 나타냅니다. 강조의 필요성에 따라 적절한 표현을 선택해야 합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It is not until ~ that’ 구문 활용 대화 예시
이번에는 두 친구가 최근에 깨달은 점에 대해 이야기하는 상황을 통해 ‘It is not until ~ that ~’ 구문이 실제 대화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친구 사이인 A와 B가 카페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A는 최근 이직 준비를 하면서 중요한 것을 깨달았다고 말합니다.
역할:
A: 이직을 준비하며 새로운 사실을 깨달은 사람
B: A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친구
-
표현: A: Hey, how have you been? It feels like ages since we last met.
발음: 헤이, 하우 해브 유 빈? 잇 필즈 라이크 에이지즈 신스 위 라스트 멧.
뜻: 안녕, 어떻게 지냈어? 우리 마지막으로 만난 지 정말 오래된 것 같아. -
표현: B: I know, right? I’ve been good, just busy with work. What about you? You mentioned something about job hunting?
발음: 아이 노우, 라잇? 아이브 빈 굿, 저스트 비지 윗 워크. 왓 어바웃 유? 유 멘션드 썸띵 어바웃 잡 헌팅?
뜻: 내 말이. 난 잘 지냈어, 그냥 일 때문에 바빴지. 너는 어때? 구직 활동 관련해서 뭐 있다고 하지 않았어? -
표현: A: Yeah, I’m seriously looking for a new job now. And you know what? It wasn’t until I started updating my resume that I realized how much I’ve actually accomplished in my current role.
발음: 예아, 아임 시리어슬리 루킹 포 어 뉴 잡 나우. 앤 유 노우 왓? 잇 워즌트 언틸 아이 스타티드 업데이트팅 마이 레쥬메 댓 아이 리얼라이즈드 하우 머치 아이브 액추얼리 어컴플리쉬드 인 마이 커런트 롤.
뜻: 응, 지금 진지하게 새 직장을 찾고 있어. 그리고 그거 알아? 이력서를 업데이트하기 시작하고 나서야 비로소 내가 현재 직무에서 얼마나 많은 것을 성취했는지 깨달았어. -
표현: B: Oh, really? That’s interesting. Sometimes we don’t appreciate our own achievements until we step back and look at them.
발음: 오, 리얼리? 댓츠 인터레스팅. 썸타임즈 위 돈트 어프리시에잇 아워 오운 어치브먼츠 언틸 위 스텝 백 앤 룩 앳 뎀.
뜻: 오, 정말? 흥미롭네. 가끔은 한 발 물러서서 보기 전까지는 우리 자신의 성과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는 것 같아. -
표현: A: Exactly! I was just focused on the daily grind. It wasn’t until I listed all the projects I led that I felt a sense of pride.
발음: 이그잭틀리! 아이 워즈 저스트 포커스드 온 더 데일리 그라인드. 잇 워즌트 언틸 아이 리스티드 올 더 프로젝트 아이 레드 댓 아이 펠트 어 센스 오브 프라이드.
뜻: 맞아! 그냥 매일 반복되는 일에만 집중했었거든. 내가 이끌었던 모든 프로젝트를 나열하고 나서야 비로소 자부심을 느꼈어. -
표현: B: That’s great! It gives you more confidence for the interviews, doesn’t it?
발음: 댓츠 그레잇! 잇 기브즈 유 모어 컨피던스 포 디 인터뷰즈, 더즌트 잇?
뜻: 잘됐다! 면접 볼 때 더 자신감을 주겠네, 그렇지? -
표현: A: Definitely. Also, it wasn’t until I started researching other companies that I understood what kind of work environment I truly want.
발음: 데피니틀리. 올소, 잇 워즌트 언틸 아이 스타티드 리서칭 아더 컴퍼니즈 댓 아이 언더스투드 왓 카인드 오브 워크 인바이런먼트 아이 트룰리 원트.
뜻: 그럼. 그리고 다른 회사들을 조사하기 시작하고 나서야 비로소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근무 환경이 어떤 것인지 알게 됐어. -
표현: B: That’s a crucial realization. So, what kind of environment are you looking for?
발음: 댓츠 어 크루셜 리얼라이제이션. 쏘, 왓 카인드 오브 인바이런먼트 아 유 루킹 포?
뜻: 그건 정말 중요한 깨달음이다. 그래서, 어떤 종류의 환경을 찾고 있는데? -
표현: A: Something more collaborative and less hierarchical. It wasn’t until I talked to a friend working at a startup that I realized such places actually exist.
발음: 썸띵 모어 컬래버러티브 앤 레스 하이어라키컬. 잇 워즌트 언틸 아이 톡트 투 어 프렌드 워킹 앳 어 스타트업 댓 아이 리얼라이즈드 서치 플레이시즈 액추얼리 이그지스트.
뜻: 좀 더 협력적이고 덜 위계적인 곳.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친구와 이야기하고 나서야 비로소 그런 곳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걸 알았어. -
표현: B: Well, it sounds like this job search process is helping you learn a lot about yourself too. Good luck with everything!
발음: 웰, 잇 사운즈 라이크 디스 잡 서치 프로세스 이즈 헬핑 유 런 어 랏 어바웃 유어셀프 투. 굿 럭 윗 에브리띵!
뜻: 음, 이번 구직 과정이 너 자신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우는 데도 도움이 되는 것 같네. 모든 일이 잘 되길 바라!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It wasn’t until ~ that ~’의 반복 사용: A는 자신의 깨달음이 특정 행동(이력서 업데이트, 프로젝트 나열, 회사 조사, 친구와의 대화) 이후에 왔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이 구문을 여러 번 자연스럽게 사용합니다. 이는 대화에서 특정 시점의 중요성을 부각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공감 표현 (‘Exactly!’, ‘That’s interesting’): B는 A의 말에 공감하고 흥미를 표현하며 대화를 원활하게 이어갑니다. ‘Exactly!’는 상대방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할 때, ‘That’s interesting’은 흥미로운 사실이나 관점에 대해 반응할 때 사용됩니다.
- ‘Step back and look at them’: 이 표현은 ‘한 발 물러서서 (객관적으로) 보다’라는 의미입니다. B는 이 표현을 사용해 자신의 성과를 제대로 평가하려면 거리를 두고 볼 필요가 있다는 일반적인 사실을 언급합니다.
- ‘Daily grind’: ‘매일 반복되는 힘들고 단조로운 일’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A는 이 표현을 사용해 이전에는 일상 업무에만 매몰되어 자신의 성과를 돌아보지 못했음을 나타냅니다.
- ‘Crucial realization’: ‘매우 중요한 깨달음’이라는 뜻입니다. B는 A가 원하는 근무 환경을 알게 된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이 표현을 사용합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관련 표현과 뉘앙스
‘It is not until ~ that ~’ 구문 외에도 시간적 순서나 강조와 관련된 다양한 표현들이 있습니다. 이 표현들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면 더욱 풍부하고 정확한 영어 구사가 가능해집니다.
1. ‘Not until…’ 도치 구문
‘It is not until ~ that ~’과 의미는 같지만, 문장 구조가 다릅니다. ‘Not until’ 부분이 문장 맨 앞으로 오면서 주절의 주어와 조동사(또는 be동사)가 도치됩니다. 이는 좀 더 격식적이거나 문어적인 느낌을 줄 수 있으며, 강조의 효과가 더 강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일반 동사의 경우 ‘do/does/did’를 사용합니다.
-
표현: Not until I finished the report did I go home.
발음: 낫 언틸 아이 피니쉬드 더 리포트 디드 아이 고 홈.
뜻: 보고서를 끝내고 나서야 비로소 나는 집에 갔다. ( = It was not until I finished the report that I went home.) -
표현: Not until the next morning was the missing child found.
발음: 낫 언틸 더 넥스트 모닝 워즈 더 미씽 차일드 파운드.
뜻: 다음 날 아침이 되어서야 비로소 실종된 아이가 발견되었다. ( = It was not until the next morning that the missing child was found.) -
표현: Not until you experience it yourself can you truly understand.
발음: 낫 언틸 유 익스피리언스 잇 유어셀프 캔 유 트룰리 언더스탠드.
뜻: 당신이 직접 경험해보고 나서야 비로소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 = It is not until you experience it yourself that you can truly understand.)
이 도치 구문은 작문이나 공식적인 연설에서 강조를 위해 종종 사용됩니다. 일상 대화에서는 ‘It is not until ~ that ~’ 형태가 더 흔하게 쓰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도치 구문을 사용할 때는 조동사(do/does/did, can, will, be동사 등)를 주어 앞으로 옮기는 규칙을 정확히 지켜야 합니다.
2. ‘Only when/after…’ 구문
‘Only when’이나 ‘Only after’를 사용하여 특정 조건이나 시간 이후에야 어떤 일이 발생함을 강조할 수도 있습니다. 이 표현들도 문장 앞에 올 경우 주절에서 주어-조동사 도치가 일어납니다. ‘Not until’과 유사한 강조 효과를 가지지만, ‘오직 ~할 때만/~한 후에만’이라는 제한적인 조건을 더 부각하는 뉘앙스가 있습니다.
-
표현: Only when the investigation was complete did the truth come out.
발음: 온리 웬 디 인베스티게이션 워즈 컴플리트 디드 더 트루쓰 컴 아웃.
뜻: 조사가 완료되고 나서야 비로소 진실이 밝혀졌다. -
표현: Only after he left did she realize she loved him.
발음: 온리 애프터 히 레프트 디드 쉬 리얼라이즈 쉬 러브드 힘.
뜻: 그가 떠난 후에야 비로소 그녀는 그를 사랑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Only when/after’는 ‘Not until’과 매우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유일한 조건’이라는 느낌을 조금 더 강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nly when you press this button does the machine start.” (오직 이 버튼을 눌러야만 기계가 작동합니다) 처럼 특정 조건의 유일성을 강조할 때 더 자연스러울 수 있습니다.
3. 흔히 저지르는 실수와 주의점
‘It is not until ~ that ~’ 구문을 사용할 때 몇 가지 흔한 실수가 있습니다. 첫째, ‘that’을 빠뜨리는 경우입니다. ‘It is… that…’ 강조 구문의 일부이므로 ‘that’은 필수적입니다. 둘째, 시제 일치를 틀리는 경우입니다. ‘It was not until…’ 다음에는 과거 시제가, ‘It is not until…’ 다음에는 현재나 미래 관련 내용이 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셋째, ‘Not until…’ 도치 구문에서 도치를 제대로 하지 않는 실수입니다. ‘Not until I finished the report, I went home.’은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이며, ‘Not until I finished the report did I go home.’으로 써야 합니다.
이 구문은 특정 시점을 강조하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남용하면 문장이 부자연스러워질 수 있습니다. 강조가 필요한 적절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단순한 시간 순서는 ‘after’, ‘when’, ‘once’ 등의 일반 접속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It is not until ~ that’ 구문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이 구문의 구조와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핵심 요소들을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각 부분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면 구문을 더 정확하고 자신감 있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It is… that…’ 강조 구문 (Cleft Sentence)
‘It is not until ~ that ~’은 기본적으로 ‘It is/was + 강조할 부분 + that + 나머지 문장’ 형태의 강조 구문(Cleft Sentence, 분열문)의 변형입니다. 이 구조는 문장의 특정 요소(주어, 목적어, 부사구 등)를 ‘It is/was’와 ‘that’ 사이에 넣어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John broke the window yesterday.’라는 문장에서
- 주어 강조: It was John that broke the window yesterday. (어제 창문을 깬 것은 바로 존이었다.)
- 목적어 강조: It was the window that John broke yesterday. (어제 존이 깬 것은 바로 그 창문이었다.)
- 부사구 강조: It was yesterday that John broke the window. (존이 창문을 깬 것은 바로 어제였다.)
처럼 다양한 부분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It is not until ~ that ~’ 구문에서는 ‘not until + 시간/사건’이라는 부사절이 ‘It is/was’와 ‘that’ 사이에 들어가 강조되는 것입니다. 즉, “바로 ~가 되어서야”라는 시간적 지점을 특별히 부각하는 기능을 합니다.
2. ‘not until’의 의미와 기능
‘until’은 ‘~까지’라는 의미를 가진 전치사 또는 접속사입니다. ‘not until’은 ‘~까지는 아니다’ 또는 ‘~가 되어서야 비로소’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이 표현은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특정 시점 이전에는 발생하지 않았음을 명확히 합니다. 예를 들어, ‘He didn’t arrive until 10 PM.’은 ‘그는 밤 10시까지 도착하지 않았다’ 즉, ‘밤 10시가 되어서야 도착했다’는 의미입니다. ‘It is not until ~ that ~’ 구문에서는 이 ‘not until ~’ 부분이 강조를 위해 문장의 앞부분, 즉 ‘It is/was’ 바로 뒤로 이동한 것입니다. 이 구조는 행동이나 깨달음이 지연되었다가 특정 시점에 발생했다는 전환점을 명확하게 보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3. 시제와 조동사의 일치
이 구문에서 시제 사용은 매우 중요합니다. ‘It is/was’의 시제는 주로 ‘that’ 절 안의 동사 시제와 일치합니다.
- 과거 사건 강조: ‘It was not until [과거 시점/사건] that [주어 + 과거 동사]…’ 형태를 사용합니다.
-
표현: It was not until the movie ended that I realized how late it was.
발음: 잇 워즈 낫 언틸 더 무비 엔디드 댓 아이 리얼라이즈드 하우 레이트 잇 워즈.
뜻: 영화가 끝나고 나서야 비로소 나는 얼마나 늦었는지 깨달았다.
-
표현: It was not until the movie ended that I realized how late it was.
- 일반적 사실 또는 현재/미래 상황: ‘It is not until [현재/미래 시점/사건] that [주어 + 현재/미래 관련 동사]…’ 형태를 사용합니다.
-
표현: It is not until you face difficulties that you discover your true strength.
발음: 잇 이즈 낫 언틸 유 페이스 디피컬티즈 댓 유 디스커버 유어 트루 스트렝스.
뜻: 어려움에 직면하고 나서야 비로소 당신은 진정한 힘을 발견한다. (일반적 사실) -
표현: It will not be until next week that the results are announced. (또는 …that the results will be announced.)
발음: 잇 윌 낫 비 언틸 넥스트 위크 댓 더 리절츠 아 어나운스드. (…댓 더 리절츠 윌 비 어나운스드.)
뜻: 다음 주가 되어서야 비로소 결과가 발표될 것이다. (미래)
-
표현: It is not until you face difficulties that you discover your true strength.
특히 ‘Not until…’ 도치 구문에서는 조동사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일반 동사의 과거 시제일 경우 ‘did’, 현재 시제일 경우 ‘do/does’를 사용하고, be동사나 다른 조동사(can, will, should 등)가 있을 경우 해당 조동사를 주어 앞으로 옮깁니다. 시제와 조동사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이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만드는 핵심입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It is not until ~ that’ 구문 활용하기
자, 이제 ‘It is not until ~ that ~’ 구문에 대해 확실히 알게 되셨을 거예요!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 구문은 특정 시점이나 사건 이후에야 비로소 어떤 일이 일어났다는 것을 강조하는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랍니다. 마치 중요한 순간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는 것과 같죠!
오늘 배운 내용을 떠올려 보세요. 깨달음의 순간, 어떤 일의 시작점, 특정 조건 충족 후의 결과 등 다양한 상황에서 이 표현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It was not until I finished this article that I felt confident about this grammar point!’ (이 글을 다 읽고 나서야 비로소 이 문법 포인트에 자신감이 생겼어!) 처럼 여러분의 경험에 맞춰 직접 문장을 만들어보는 것이 중요해요.
물론, ‘Not until…’ 도치 구문이나 ‘Only when/after…’ 같은 관련 표현들도 함께 알아두면 표현의 폭이 더욱 넓어질 거예요.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로 사용해보는 경험입니다! 처음에는 조금 어색해도 괜찮아요. 영어 일기를 쓰거나, 친구와 대화할 때 의식적으로 사용해보세요. 영화나 미드를 볼 때 이 구문이 들리는지 귀 기울여보는 것도 좋은 연습이 될 거랍니다!
다음 단계 제안:
* 자신의 경험 중 ‘뒤늦게 깨달은 것’이나 ‘특정 시점 이후에 시작한 일’을 떠올리며 ‘It was not until ~ that ~’ 구문으로 5문장 이상 만들어 보세요.
* 뉴스 기사나 영어 원서에서 ‘It is/was not until ~ that ~’ 또는 ‘Not until…’ 구문이 사용된 예를 찾아 문맥 속 의미를 파악해 보세요.
실천 계획 제안:
1. 이번 주 영어 공부 시간에 ‘It is not until ~ that ~’ 예문 10개 만들기.
2. 다음 영어 대화 기회에 최소 한 번 이상 이 구문 사용해보기.
3. 영어 콘텐츠(영화, 드라마, 유튜브) 시청 시 이 구문이 나오면 잠시 멈추고 따라 말해보기.
꾸준히 연습하고 적용하다 보면, 어느새 자연스럽게 이 강조 구문을 사용하며 여러분의 영어 실력이 한층 더 세련되어졌음을 느끼실 수 있을 거예요. 영어 공부,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함께 나아가요! 여러분의 영어 성장을 항상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