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sist on vs. Persist in: 고집과 지속을 나타내는 영어 표현 마스터하기
“Insist on”과 “Persist in”, 비슷해 보이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죠. 어떤 상황에서 어떤 표현을 써야 할지 헷갈리셨나요? 이 두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고집’과 ‘지속’ 관련 영어 표현까지 함께 익혀보겠습니다. 이제 자신의 의견을 명확히 주장하거나, 어려움 속에서도 끈기 있게 나아가는 모습을 영어로 자신 있게 표현해 보세요!
목차
Insist on vs. Persist in: 핵심 차이점
- 표현: Insist on + (동)명사 / that 절
발음: [인시스트 온]
뜻: (의견, 주장 등을) 강력히 고집하다, 요구하다 (다른 사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 표현: Persist in + (동)명사
발음: [펄시스트 인]
뜻: (어려움, 반대에도 불구하고) 끈기 있게 계속하다, 고집하다 (행동이나 상태를 지속)
비교 설명: Insist on은 주로 의견이나 요구를 강하게 내세울 때 사용하며, 종종 다른 사람의 반대나 다른 의견이 있음을 내포합니다. 반면, Persist in은 행동이나 노력을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지속하는 뉘앙스가 강합니다. 무언가를 계속 해나가는 끈기를 강조할 때 자주 쓰이죠.
의견을 고집하거나 주장할 때 쓰는 표현
- 표현: He insists on paying for everything.
발음: [히 인시스츠 온 페잉 포 에브리띵]
뜻: 그는 모든 것을 자기가 계산하겠다고 고집해요. - 표현: She insisted that she was right.
발음: [쉬 인시스티드 댓 쉬 워즈 라잇]
뜻: 그녀는 자신이 옳다고 주장했어요. - 표현: I must insist on seeing the manager.
발음: [아이 머스트 인시스트 온 씨잉 더 매니저]
뜻: 저는 반드시 매니저님을 만나야겠다고 주장해야겠어요. - 표현: They insisted on their innocence.
발음: [데이 인시스티드 온 데어 이너선스]
뜻: 그들은 자신들의 결백을 주장했어요. - 표현: Don’t insist on your own way all the time.
발음: [돈트 인시스트 온 유어 오운 웨이 올 더 타임]
뜻: 항상 당신 방식만 고집하지 마세요. - 표현: She is adamant about her decision.
발음: [쉬 이즈 애더먼트 어바웃 허 디시전]
뜻: 그녀는 자신의 결정에 대해 확고해요. (adamant: 요지부동의, 단호한) - 표현: He stuck to his guns despite the criticism.
발음: [히 스턱 투 히즈 건즈 디스파이트 더 크리티시즘]
뜻: 그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입장을 고수했어요. (stick to one’s guns: 입장을 고수하다)
어려움 속에서도 끈기 있게 지속할 때 쓰는 표현
- 표현: She persisted in her studies despite financial difficulties.
발음: [쉬 펄시스티드 인 허 스터디즈 디스파이트 파이낸셜 디피컬티즈]
뜻: 그녀는 재정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학업을 계속했어요. - 표현: If you persist in bothering me, I’ll call the police.
발음: [이프 유 펄시스트 인 바더링 미, 아일 콜 더 폴리스]
뜻: 만약 당신이 계속해서 나를 괴롭힌다면, 경찰을 부를 거예요. (부정적인 행동을 고집할 때도 사용) - 표현: He persisted with his questions.
발음: [히 펄시스티드 위드 히즈 퀘스천즈]
뜻: 그는 끈질기게 질문을 계속했어요. (persist with도 사용 가능) - 표현: We need to persevere until we achieve our goal.
발음: [위 니드 투 퍼서비어 언틸 위 어치브 아워 골]
뜻: 우리는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인내하며 계속 나아가야 해요. (persevere: 인내하며 계속하다) - 표현: Keep going, don’t give up!
발음: [킵 고잉, 돈트 기브 업]
뜻: 계속 나아가세요, 포기하지 마세요! - 표현: They carried on with the project despite the setbacks.
발음: [데이 캐리드 온 위드 더 프로젝트 디스파이트 더 셋백스]
뜻: 그들은 차질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했어요. (carry on: 계속하다) - 표현: You have to be persistent to succeed in this field.
발음: [유 해브 투 비 펄시스턴트 투 석시드 인 디스 필드]
뜻: 이 분야에서 성공하려면 끈기가 있어야 해요. (persistent: 끈기 있는)
실제 대화 예시: 프로젝트 진행 방식에 대한 의견 차이
상황 설명: 팀원 A와 B가 새로운 프로젝트의 접근 방식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A는 기존 방식을 고수하려 하고, B는 새로운 방식을 시도하자고 주장합니다.
- 표현: A: I think we should stick to the tried-and-true method for this project. It’s safer.
발음: [아이 띵크 위 슈드 스틱 투 더 트라이드-앤-트루 메소드 포 디스 프로젝트. 잇츠 세이퍼]
뜻: 저는 이 프로젝트에 검증된 기존 방식을 고수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게 더 안전해요. - 표현: B: I understand your point, but I insist on trying the new approach. It could be much more efficient.
발음: [아이 언더스탠드 유어 포인트, 벗 아이 인시스트 온 트라잉 더 뉴 어프로치. 잇 쿠드 비 머치 모어 이피션트]
뜻: 당신의 의견은 이해하지만, 저는 새로운 접근법을 시도해야 한다고 주장해요. 훨씬 더 효율적일 수 있어요. - 표현: A: But we don’t have enough data on the new approach. What if it fails?
발음: [벗 위 돈트 해브 이너프 데이타 온 더 뉴 어프로치. 왓 이프 잇 페일즈?]
뜻: 하지만 새로운 접근법에 대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잖아요. 만약 실패하면 어떡하죠? - 표현: B: Every new method has risks. We need to persist in exploring innovative ways if we want to stay ahead.
발음: [에브리 뉴 메소드 해즈 리스크스. 위 니드 투 펄시스트 인 익스플로링 이노베이티브 웨이즈 이프 위 원트 투 스테이 어헤드]
뜻: 모든 새로운 방식에는 위험이 따르죠. 우리가 앞서 나가려면 혁신적인 방법을 탐색하는 것을 끈기 있게 계속해야 해요. - 표현: A: I’m still not convinced. I insist that we discuss this further with the manager before deciding.
발음: [아임 스틸 낫 컨빈스드. 아이 인시스트 댓 위 디스커스 디스 퍼더 위드 더 매니저 비포 디사이딩]
뜻: 저는 아직 확신이 서지 않아요. 결정하기 전에 매니저님과 이 문제를 더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표현: B: Okay, I agree to discuss it further. But I will persist in making my case for the new approach.
발음: [오케이, 아이 어그리 투 디스커스 잇 퍼더. 벗 아이 윌 펄시스트 인 메이킹 마이 케이스 포 더 뉴 어프로치]
뜻: 좋아요, 더 논의하는 것에는 동의해요. 하지만 저는 새로운 접근법에 대한 제 주장을 굽히지 않을 거예요.
마치며
“Insist on”과 “Persist in”, 이제 확실히 구분해서 사용할 수 있겠죠? 비슷해 보이지만 상황에 맞게 사용하면 여러분의 의도를 훨씬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답니다! 오늘 배운 표현들을 그냥 머릿속에만 두지 마시고, 실제 대화에서 꼭 한번 사용해보세요. 처음에는 조금 어색할 수 있지만, 자꾸 써봐야 진짜 내 것이 되는 법이니까요! 여러분의 영어 실력이 쑥쑥 늘어나는 그날까지, 저 HARUENG이 항상 응원할게요!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