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 the past” vs “Formerly”: 과거 시점 정확하게 표현하는 법
과거의 일을 이야기할 때 “in the past”와 “formerly” 중 어떤 표현을 써야 할지 헷갈리셨나요? 비슷해 보이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어 잘못 사용하면 어색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걱정 마세요! 이 두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은 물론, 다양한 과거 시점 표현까지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이 글을 통해 과거에 대해 더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영어로 말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목차
- ‘과거에’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일반적인 과거 언급
- 특정 시점이나 사건 이전
- 이전의 상태, 역할, 또는 명칭
- 아주 오래전 과거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하위 주제 1: 다양한 과거 시점 부사(구) 상세 비교
- 하위 주제 2: 과거 완료 시제와의 결합 (Past Perfect)
- 하위 주제 3: 역사적 사실 기술 시 표현
-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요소 1: “In the past”의 포괄성과 일반성
- 요소 2: “Formerly”의 격식성과 특정성 (상태/명칭/지위 변화)
- 요소 3: 뉘앙스에 따른 표현 선택의 중요성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과거에’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과거의 특정 시점이나 기간을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표현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기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핵심 표현입니다.
-
표현: In the past
발음: 인 더 패스트
뜻: 과거에, 예전에
“In the past”는 구체적인 시점을 명시하지 않고 막연하게 ‘과거’를 지칭할 때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개인적인 경험부터 사회적인 변화까지 폭넓은 주제에 걸쳐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매우 높습니다. 대화나 글에서 과거의 상황을 현재와 비교하거나 단순히 과거 사실을 언급할 때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In the past”와 “Formerly”를 포함하여 과거를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들을 상황별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각 표현의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이해하고 적절한 상황에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인 과거 언급
특정 시점을 강조하기보다는 단순히 ‘예전에’, ‘과거에는’이라고 말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In the past, people relied heavily on letters for communication.
발음: 인 더 패스트, 피플 릴라이드 헤빌리 온 레터스 포 커뮤니케이션.
뜻: 과거에는 사람들이 소통을 위해 편지에 크게 의존했습니다. -
표현: Previously, this area was mostly farmland.
발음: 프리비어슬리, 디스 에어리아 워즈 모스틀리 팜랜드.
뜻: 이전에는 이 지역이 대부분 농지였습니다. -
표현: Life seemed much slower in the past.
발음: 라이프 심드 머치 슬로워 인 더 패스트.
뜻: 과거에는 삶이 훨씬 느리게 흘러가는 것 같았습니다. -
표현: We used to go camping every summer in the past.
발음: 위 유즈드 투 고 캠핑 에브리 서머 인 더 패스트.
뜻: 우리는 과거에 매년 여름 캠핑을 가곤 했습니다. -
표현: Things were different back then.
발음: 띵스 워 디퍼런트 백 덴.
뜻: 그때는 상황이 달랐습니다.
특정 시점이나 사건 이전
어떤 기준 시점이나 특정 사건이 일어나기 ‘전’을 명확히 나타낼 때 사용하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Before the invention of the internet, finding information was challenging.
발음: 비포 디 인벤션 오브 디 인터넷, 파인딩 인포메이션 워즈 챌린징.
뜻: 인터넷이 발명되기 전에는 정보를 찾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
표현: Prior to joining this company, I worked as a freelancer.
발음: 프라이어 투 조이닝 디스 컴퍼니, 아이 웍트 애즈 어 프리랜서.
뜻: 이 회사에 입사하기 전에 저는 프리랜서로 일했습니다. -
표현: She had finished her homework before her friends arrived.
발음: 쉬 해드 피니쉬드 허 홈워크 비포 허 프렌즈 어라이브드.
뜻: 그녀는 친구들이 도착하기 전에 숙제를 끝냈습니다. -
표현: Make sure to read the manual before operating the machine.
발음: 메이크 슈어 투 리드 더 매뉴얼 비포 오퍼레이팅 더 머신.
뜻: 기계를 작동하기 전에 반드시 설명서를 읽으세요. (과거 시점은 아니지만 ‘이전’을 나타내는 예시) -
표현: He lived in Busan prior to moving to Seoul.
발음: 히 리브드 인 부산 프라이어 투 무빙 투 서울.
뜻: 그는 서울로 이사 오기 전에 부산에 살았습니다.
이전의 상태, 역할, 또는 명칭
과거에는 지금과 다른 상태였거나, 다른 이름으로 불렸거나, 다른 직책을 가지고 있었음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Formerly’가 대표적이며, 격식 있는 느낌을 줍니다.
-
표현: This building was formerly a grand hotel.
발음: 디스 빌딩 워즈 포멀리 어 그랜드 호텔.
뜻: 이 건물은 이전에는 웅장한 호텔이었습니다. -
표현: Mr. Kim was formerly the head of the marketing department.
발음: 미스터 김 워즈 포멀리 더 헤드 오브 더 마케팅 디파트먼트.
뜻: 김 씨는 이전에는 마케팅 부서의 부서장이었습니다. -
표현: The country formerly known as Siam is now Thailand.
발음: 더 컨트리 포멀리 노운 애즈 시암 이즈 나우 타일랜드.
뜻: 이전에는 시암으로 알려졌던 나라는 현재 태국입니다. -
표현: She once worked as a waitress before becoming famous.
발음: 쉬 원스 웍트 애즈 어 웨이트리스 비포 비커밍 페이머스.
뜻: 그녀는 유명해지기 전에 한때 웨이트리스로 일했습니다. -
표현: He was once a member of that band.
발음: 히 워즈 원스 어 멤버 오브 댓 밴드.
뜻: 그는 한때 그 밴드의 멤버였습니다.
아주 오래전 과거
상당히 오래전의 일을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표현들입니다. 구체적인 시간을 나타내기보다는 ‘옛날 옛적에’, ‘까마득한 옛날에’ 같은 느낌을 전달합니다.
-
표현: Long ago, knights in shining armor were common in stories.
발음: 롱 어고우, 나이츠 인 샤이닝 아머 워 커먼 인 스토리즈.
뜻: 오래전에는 빛나는 갑옷을 입은 기사들이 이야기 속에 흔했습니다. -
표현: I learned how to ride a bike ages ago.
발음: 아이 런드 하우 투 라이드 어 바이크 에이지스 어고우.
뜻: 저는 아주 오래전에 자전거 타는 법을 배웠습니다. -
표현: Back in the day, we used to play outside all day long.
발음: 백 인 더 데이, 위 유즈드 투 플레이 아웃사이드 올 데이 롱.
뜻: 옛날에는 우리는 하루 종일 밖에서 놀곤 했습니다. -
표현: In ancient times, people built magnificent structures without modern technology.
발음: 인 에인션트 타임즈, 피플 빌트 매그니피센트 스트럭처스 위다웃 모던 테크놀로지.
뜻: 고대에는 사람들이 현대 기술 없이 웅장한 건축물들을 지었습니다. -
표현: My grandfather told me stories from way back when.
발음: 마이 그랜드파더 톨드 미 스토리즈 프롬 웨이 백 웬.
뜻: 할아버지께서는 아주 오래전 시절의 이야기들을 해주셨습니다.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과거 시점 표현들을 실제 대화나 글쓰기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이 포인트들을 기억하면 더욱 정확하고 풍부한 영어 표현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 “In the past” vs. “Formerly”: “In the past”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과거를 나타냅니다. 특별히 시점을 구체화하지 않고 ‘예전에’라는 의미로 가장 폭넓게 쓰입니다. 반면, “Formerly”는 이전의 공식적인 명칭, 지위, 상태가 현재는 달라졌음을 강조할 때 사용하며, 다소 격식 있는 느낌을 줍니다. 예를 들어, “This building was a school in the past.” (과거 언젠가 학교였다) 와 “This building was formerly a school.” (이전에는 학교였으나 지금은 아니다)는 뉘앙스가 다릅니다.
- “Used to”와 “Would” 구분하기: 둘 다 과거의 반복적인 행동이나 습관을 나타낼 수 있지만, “Used to”는 과거의 상태(state)를 나타낼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I used to live in Seoul). 하지만 “Would”는 반복적인 행동(action)에만 사용하며 상태에는 쓰지 않습니다 (예: We would often go hiking on weekends. /
I would live in Seoul.). - “Previously”의 활용: “Previously”는 “Formerly”와 비슷하게 ‘이전에’라는 의미를 가지지만, 덜 격식적이며 시간 순서상 바로 앞선 상황을 나타낼 때 자주 쓰입니다. “He previously worked at ABC Company.” (그는 이전에 ABC 회사에서 근무했다.) 처럼 경력을 설명할 때 유용합니다.
- 특정 시점 기준 설정: “Before”와 “Prior to”: 어떤 사건이나 특정 시간 ‘이전’을 명확히 하고 싶을 때는 “Before”나 “Prior to”를 사용합니다. “Prior to”는 “Before”보다 조금 더 격식적인 표현입니다. “Please submit the report before the deadline.” (마감일 전에 보고서를 제출해주세요.) / “Prior to the conference, all attendees received an information packet.” (컨퍼런스 전에 모든 참석자들은 안내 자료를 받았습니다.)
- “Once”의 뉘앙스: “Once”는 ‘한때’, ‘과거 어느 시점에’라는 의미로, 지금은 더 이상 그렇지 않다는 뉘앙스를 내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This town was once a bustling port.” (이 도시는 한때 번화한 항구였다.) 처럼 과거의 특정 상태나 사실을 언급할 때 사용됩니다.
- 문맥에 맞는 시제 선택: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구)를 사용할 때는 문맥에 맞는 동사 시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 과거 시제(Simple Past), 과거 진행 시제(Past Continuous), 과거 완료 시제(Past Perfect) 등을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 의미가 명확해집니다. 예를 들어, 과거의 특정 시점보다 더 이전에 일어난 일을 말할 때는 과거 완료 시제를 사용합니다. (예: When I arrived, the meeting had already started.)
- 자연스러운 연결: 과거 이야기를 할 때는 “Back then…”, “At that time…”, “During those days…” 와 같은 표현으로 문장을 자연스럽게 시작하거나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화의 흐름을 부드럽게 만들어 줍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오랜만에 동창회에서 만난 두 친구가 과거 학창 시절을 회상하며 현재의 변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상황을 설정해 보았습니다. 다양한 과거 시점 표현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살펴보세요.
상황: 고등학교 동창회에서 우연히 만난 Sarah와 Mike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역할:
- A: Sarah
- B: Mike
-
표현: A: Mike? Is that really you? Wow, it’s been such a long time!
발음: 마이크? 이즈 댓 리얼리 유? 와우, 잇츠 빈 서치 어 롱 타임!
뜻: 마이크? 정말 너야? 와, 정말 오랜만이다! -
표현: B: Sarah! I almost didn’t recognize you! You look great. How have you been?
발음: 세라! 아이 올모스트 디든트 레코그나이즈 유! 유 룩 그레잇. 하우 해브 유 빈?
뜻: 세라! 거의 못 알아볼 뻔했어! 좋아 보인다. 어떻게 지냈어? -
표현: A: I’ve been good, thanks. Busy with work, you know. What about you? What are you up to these days?
발음: 아이브 빈 굿, 땡스. 비지 윋 워크, 유 노우. 왓 어바웃 유? 왓 아 유 업 투 디즈 데이즈?
뜻: 잘 지냈어, 고마워. 일 때문에 바빴지 뭐. 너는? 요즘 뭐하고 지내? -
표현: B: I’m working as a software engineer now. Remember how I used to spend all my time in the computer lab back in high school?
발음: 아임 워킹 애즈 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나우. 리멤버 하우 아이 유즈드 투 스펜드 올 마이 타임 인 더 컴퓨터 랩 백 인 하이 스쿨?
뜻: 지금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어. 고등학교 때 내가 컴퓨터실에서 모든 시간을 보냈던 거 기억나? -
표현: A: Oh yeah! You were always coding something. It’s amazing you turned that into a career. In the past, I never imagined becoming a graphic designer. I used to think I’d be a teacher.
발음: 오 예! 유 워 올웨이즈 코딩 썸띵. 잇츠 어메이징 유 턴드 댓 인투 어 커리어. 인 더 패스트, 아이 네버 이매진드 비커밍 어 그래픽 디자이너. 아이 유즈드 투 띵크 아이드 비 어 티처.
뜻: 아 맞아! 넌 항상 뭔가를 코딩하고 있었지. 그걸 직업으로 삼았다니 대단하다. 과거에는 내가 그래픽 디자이너가 될 거라고는 상상도 못 했어. 선생님이 될 거라고 생각했었지. -
표현: B: Really? A graphic designer! That’s cool. Speaking of teachers, do you remember Mr. Evans? The history teacher?
발음: 리얼리? 어 그래픽 디자이너! 댓츠 쿨. 스피킹 오브 티처스, 두 유 리멤버 미스터 에반스? 더 히스토리 티처?
뜻: 정말? 그래픽 디자이너라니! 멋지다. 선생님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에반스 선생님 기억나? 역사 선생님 말이야. -
표현: A: Of course! He was great. A bit strict, but his classes were always interesting. I heard he retired a few years ago.
발음: 오브 코스! 히 워즈 그레잇. 어 빗 스트릭트, 벗 히즈 클래시즈 워 올웨이즈 인터레스팅. 아이 허드 히 리타이어드 어 퓨 이어즈 어고우.
뜻: 그럼! 훌륭하셨지. 조금 엄격하셨지만, 수업은 항상 재미있었어. 몇 년 전에 은퇴하셨다고 들었어. -
표현: B: Yeah, that’s right. And remember the old cafeteria? It was formerly just a small room, but they renovated it completely last year. It looks totally different now.
발음: 예, 댓츠 라잇. 앤 리멤버 디 올드 캐피테리아? 잇 워즈 포멀리 저스트 어 스몰 룸, 벗 데이 레노베이티드 잇 컴플리틀리 라스트 이어. 잇 룩스 토털리 디퍼런트 나우.
뜻: 응, 맞아. 그리고 옛날 식당 기억나? 이전에는 그냥 작은 방이었는데, 작년에 완전히 개조했대. 지금은 완전히 달라 보여. -
표현: A: Wow, really? I haven’t been back to the school since we graduated. It feels like ages ago!
발음: 와우, 리얼리? 아이 해븐트 빈 백 투 더 스쿨 신스 위 그래듀에이티드. 잇 필즈 라이크 에이지스 어고우!
뜻: 와, 정말? 졸업한 이후로 학교에 다시 가본 적이 없어. 아주 오래전 일처럼 느껴진다! -
표현: B: I know, right? Time flies. It’s great catching up with you, Sarah. We should definitely keep in touch.
발음: 아이 노우, 라잇? 타임 플라이즈. 잇츠 그레잇 캐칭 업 윋 유, 세라. 위 슈드 데피니틀리 킵 인 터치.
뜻: 그러게 말이야. 시간이 참 빨라. 너랑 이렇게 이야기 나누니 정말 좋다, 세라. 우리 꼭 계속 연락하자.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자연스러운 과거 회상 시작: “Remember how…?”, “Speaking of…”, “Do you remember…?” 와 같은 표현으로 자연스럽게 과거 이야기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 “Used to” 활용: Mike가 “Remember how I used to spend all my time in the computer lab?”라고 말하며 과거의 습관적인 행동을 나타내기 위해 ‘used to’를 사용했습니다. Sarah도 “I used to think I’d be a teacher.”라며 과거의 생각(상태)을 표현했습니다.
- “In the past” vs. “Formerly”: Sarah는 막연한 과거 시점을 나타내며 “In the past, I never imagined…”라고 말했습니다. 반면 Mike는 식당의 이전 상태(작은 방)가 현재(개조됨)와 다르다는 점을 명확히 하며 “It was formerly just a small room…”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이는 “formerly”가 이전 상태와의 변화를 강조하는 뉘앙스를 잘 보여줍니다.
- 시간 경과 표현: “It’s been such a long time!”, “It feels like ages ago!”, “Time flies.” 등은 오랜 시간이 흘렀음을 나타내는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 복잡한 표현 분석 1: “I almost didn’t recognize you!” – “거의 못 알아볼 뻔했다”는 의미로, 상대방이 많이 변했거나 오랜만에 만났을 때 놀라움을 표현하는 관용적인 표현입니다.
- 복잡한 표현 분석 2: “What are you up to these days?” – “요즘 뭐하고 지내?”라는 의미의 매우 흔한 구어체 질문입니다. 근황을 묻는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과거 시점을 나타내는 표현은 “In the past”와 “Formerly” 외에도 매우 다양합니다. 좀 더 깊이 있게 알아두면 표현력이 풍부해지는 추가 정보들을 소개합니다.
하위 주제 1: 다양한 과거 시점 부사(구) 상세 비교
과거를 나타내는 여러 부사(구)들은 각기 다른 뉘앙스와 사용 맥락을 가집니다. 이를 정확히 이해하면 더욱 정교한 영어 구사가 가능합니다.
Ago: 현재를 기준으로 ‘얼마 전에’를 나타냅니다. 항상 구체적인 시간 표현과 함께 쓰입니다 (예: two days ago, a long time ago). “I finished the project three weeks ago.” (나는 3주 전에 프로젝트를 끝냈다.) 처럼 명확한 과거 시점을 말할 때 사용됩니다. 현재 완료 시제와는 함께 쓰지 않습니다.
Back then: ‘그 당시에는’, ‘그때는’이라는 의미로, 대화나 글에서 이미 언급된 특정 과거 시점을 다시 가리킬 때 사용됩니다. “We lived in a small apartment back then.” (우리는 그 당시 작은 아파트에 살았다.) 처럼 앞서 이야기한 과거의 특정 시점의 상황을 묘사할 때 유용합니다.
Back in the day: ‘옛날에는’, ‘왕년에는’과 같은 의미로, 현재와는 많이 다른 과거의 특정 시기(주로 젊은 시절이나 오래전)를 회상하며 말할 때 사용되는 구어적인 표현입니다.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Back in the day, music sounded completely different.” (옛날에는 음악이 완전히 다르게 들렸지.)
Previously: ‘이전에’라는 의미로, 시간 순서상 바로 앞선 사건이나 상태를 언급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Formerly”보다 덜 격식적이며, 업무 관련 맥락(이전 직책, 이전 작업 등)에서도 흔히 쓰입니다. “The file was previously saved under a different name.” (그 파일은 이전에 다른 이름으로 저장되었습니다.)
Once: ‘한때’, ‘일찍이’라는 의미로, 과거의 특정 경험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뉘앙스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I once met a famous actor on the street.” (나는 한때 길에서 유명 배우를 만난 적이 있다.) 처럼 과거의 일회성 사건이나 상태를 말할 때 사용됩니다.
아래 표는 주요 표현들의 특징을 간략히 비교한 것입니다.
표현 | 주요 의미 | 뉘앙스 및 특징 | 예시 |
---|---|---|---|
In the past | 과거에, 예전에 | 가장 일반적, 포괄적, 막연한 과거 | In the past, communication was slower. |
Formerly | 이전에, 과거에는 | 이전의 공식 명칭/지위/상태 강조, 격식적 | The building was formerly a bank. |
Previously | 이전에 | 시간 순서상 바로 앞, Formerly보다 덜 격식적 | He previously worked here. |
Ago | ~전에 | 현재 기준, 구체적 시간 명시 필요 | She left two hours ago. |
Before | ~전에 | 특정 시점/사건 기준 ‘이전’ | Wash your hands before meals. |
Prior to | ~에 앞서, ~전에 | Before보다 격식적 | Prior to the launch, we tested everything. |
Once | 한때, 일찍이 | 과거의 특정 경험/상태, 지금은 아님 | This area was once farmland. |
Back then | 그 당시에는 | 이미 언급된 특정 과거 시점 지칭 | Life was simpler back then. |
Back in the day | 옛날에는, 왕년에는 | 현재와 다른 과거 회상, 구어체, 향수 | Back in the day, kids played outside more. |
하위 주제 2: 과거 완료 시제와의 결합 (Past Perfect)
과거의 특정 시점보다 더 이전에 일어난 일을 표현할 때는 과거 완료 시제(had + 과거분사)를 사용합니다. 이는 사건의 순서를 명확히 하여 혼란을 막아줍니다. “In the past”, “Before”, “By the time” 등의 표현과 함께 자주 사용됩니다.
과거 완료는 두 가지 과거 사건의 선후 관계를 명확히 할 때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When I arrived at the station, the train had already left.” (내가 역에 도착했을 때, 기차는 이미 떠나고 없었다.) 라는 문장에서, 내가 도착한 것(과거)보다 기차가 떠난 것(더 이전 과거)이 먼저 일어났음을 ‘had left’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만약 단순 과거 시제로 “When I arrived at the station, the train left.”라고 하면, 내가 도착하는 순간 기차가 떠났다는 의미가 되어 전혀 다른 상황이 됩니다.
“Before”와 함께 쓰일 때도 유용합니다. “He had never seen snow before he moved to Canada.” (그는 캐나다로 이사 오기 전에는 눈을 본 적이 없었다.) 캐나다로 이사 온 시점(과거) 이전에 눈을 본 경험이 없었다는 사실을 명확히 전달합니다.
“By the time”(~할 때쯤에는) 구문과도 자주 결합됩니다. “By the time she finished her work, everyone else had gone home.” (그녀가 일을 끝냈을 때쯤에는 다른 모든 사람들은 이미 집에 가고 없었다.) 그녀가 일을 끝낸 시점(과거) 이전에 다른 사람들이 집에 간 행동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이처럼 과거 완료 시제는 과거의 사건들을 시간 순서대로 정확하게 배열하고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과거 이야기를 할 때 사건의 순서가 중요하다면 과거 완료 시제를 적절히 활용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하위 주제 3: 역사적 사실 기술 시 표현
역사적인 사건, 인물, 시대를 설명할 때는 특정 시대나 기간을 나타내는 표현들이 자주 사용됩니다. 이는 글이나 발표에 정확성과 전문성을 더해줍니다.
During the [시대/사건]: 특정 시대나 사건이 지속되는 동안을 나타냅니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Hangeul was created.” (조선 시대 동안 한글이 창제되었습니다.) “Many advances in technology occurred during the 20th century.” (20세기 동안 많은 기술 발전이 있었습니다.)
In the [세기/연도]s: 특정 세기나 연대를 나타냅니다. “In the 19th century, the Industrial Revolution transformed society.” (19세기에는 산업 혁명이 사회를 변화시켰습니다.) “The Beatles became famous in the 1960s.” (비틀즈는 1960년대에 유명해졌습니다.)
At that time / In those days: 앞서 언급된 특정 과거 시점을 가리키며 ‘그 당시에는’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역사적 맥락 속에서 특정 시기의 상황을 부연 설명할 때 유용합니다. “Life expectancy was much shorter at that time.” (그 당시에는 평균 수명이 훨씬 짧았습니다.) “In those days, travel between continents took months.” (그 시절에는 대륙 간 이동에 몇 달이 걸렸습니다.)
Throughout [기간]: 특정 기간 전체에 걸쳐 지속되었음을 강조합니다. “Roman influence spread throughout Europe.” (로마의 영향력은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습니다.)
The era of… / The age of…: 특정 시대의 특징을 나타내는 명칭과 함께 사용됩니다. “The era of exploration led to new discoveries.” (탐험의 시대는 새로운 발견으로 이어졌습니다.) “We are living in the age of information.” (우리는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 현재 시제와도 사용 가능
이러한 표현들을 사용하면 역사적 사실을 단순히 나열하는 것을 넘어, 특정 시대의 맥락과 흐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역사 관련 글을 읽거나 다큐멘터리를 볼 때 이러한 표현들에 주목하면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In the past”와 “Formerly”를 중심으로 과거 시점 표현의 핵심적인 요소들을 더 깊이 있게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 요소들을 이해하면 두 표현의 차이점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요소 1: “In the past”의 포괄성과 일반성
“In the past”는 과거를 나타내는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표현입니다. 특정한 시점이나 기간을 명시하지 않고 ‘예전에’, ‘과거에는’이라는 넓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그 범위는 불과 몇 분 전부터 수백만 년 전까지 매우 넓을 수 있으며, 문맥에 따라 그 의미가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In the past, I didn’t like coffee.” (과거에는 커피를 좋아하지 않았어.) 라고 말하면, 언제부터 언제까지를 의미하는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냥 현재와 다른 과거의 상태를 나타낼 뿐입니다. 또 다른 예로, “Dinosaurs lived on Earth in the past.” (과거에는 공룡이 지구에 살았다.) 처럼 아주 먼 과거를 지칭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In the past”는 구체성이 떨어지는 대신, 어떤 과거 상황이든 무난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화를 시작하거나 일반적인 과거 사실을 언급할 때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 현재와의 대비를 통해 변화를 강조하고 싶을 때도 자주 사용됩니다. “In the past, this street was much quieter, but now it’s always busy.” (과거에는 이 거리가 훨씬 조용했지만, 지금은 항상 붐빈다.)
요소 2: “Formerly”의 격식성과 특정성 (상태/명칭/지위 변화)
“Formerly”는 “In the past”보다 훨씬 구체적인 의미를 지닙니다. 주로 이전의 공식적인 명칭, 지위, 역할, 상태 등이 현재는 달라졌음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전에는 ~였으나 지금은 아니다’라는 의미를 내포하며, 변화를 강조하는 뉘앙스가 강합니다.
격식 있는(formal) 표현으로, 공식적인 문서, 뉴스 기사, 발표 등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 이름이 변경되었을 때 “ABC Company, formerly known as XYZ Inc., announced its merger.” (이전에 XYZ 주식회사로 알려졌던 ABC 회사가 합병을 발표했습니다.) 처럼 사용됩니다. 건물의 용도가 변경되었을 때도 “The museum is housed in a building that was formerly a royal palace.” (그 박물관은 이전에는 왕궁이었던 건물에 자리 잡고 있다.)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이전 직책이나 역할을 설명할 때도 사용됩니다. “She is the current CEO, and formerly served as the CFO.” (그녀는 현재 CEO이며, 이전에는 CFO를 역임했습니다.) 이처럼 “Formerly”는 과거의 특정 상태나 명칭이 현재와 다르다는 점을 명확하고 공식적으로 전달하고자 할 때 매우 유용한 표현입니다.
요소 3: 뉘앙스에 따른 표현 선택의 중요성
과거를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들은 각각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와 상황에 가장 적합한 표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잘못된 표현을 사용하면 의도한 바가 왜곡되거나 어색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단순히 과거 사실을 전달하고 싶다면 “In the past”나 시간 부사구(“yesterday”, “last year”, “three days ago” 등)와 함께 단순 과거 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I visited Busan last year.” (나는 작년에 부산을 방문했다.)
과거의 습관이나 반복적인 행동을 나타내고 싶다면 “used to”나 “would”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We used to play soccer every Saturday.” (우리는 매주 토요일마다 축구를 하곤 했다.)
이전의 공식적인 명칭이나 상태가 현재와 달라졌음을 강조하고 싶다면 “Formerly”가 적합합니다. “This city was formerly the capital.” (이 도시는 이전에는 수도였다.)
특정 사건이나 시점 이전을 명확히 하고 싶다면 “Before”나 “Prior to”를 사용해야 합니다. “He had finished the report before the manager asked for it.” (그는 매니저가 요청하기 전에 보고서를 끝마쳤다.)
이처럼 전달하려는 내용의 초점(단순 사실, 습관, 상태 변화, 시간 순서 등)에 따라 가장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는 연습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예문을 접하고 직접 문장을 만들어보면서 각 표현의 뉘앙스를 익히는 것이 효과적인 학습 방법입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자, 이제 “In the past”와 “Formerly”의 차이점이 명확하게 느껴지시나요? “In the past”는 두루뭉술한 과거를 편하게 이야기할 때, “Formerly”는 이전의 이름이나 상태가 지금은 바뀌었다는 점을 콕 집어 말할 때 쓴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물론 이 두 표현 외에도 과거를 나타내는 영어 표현은 정말 다양하죠. “Used to”, “Previously”, “Back in the day” 등 오늘 함께 살펴본 표현들을 상황에 맞게 골라 쓰는 연습을 해보세요. 처음에는 조금 어색할 수 있지만, 자꾸 사용하다 보면 어느새 자연스럽게 입에 붙을 거예요!
영어 공부는 단순히 단어와 문법을 외우는 것에서 그치지 않아요. 오늘 배운 표현들을 실제 대화나 글쓰기에 적용해 보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친구와 옛날이야기를 할 때, 혹은 영어로 일기를 쓸 때 오늘 배운 표현들을 한번 활용해보는 건 어떨까요? 작은 시도 하나하나가 모여 여러분의 영어 실력을 쑥쑥 키워줄 거예요!
과거에 대해 영어로 말하는 것이 더 이상 어렵게 느껴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꾸준히 연습하고 자신감을 가지세요. 여러분도 충분히 과거의 경험과 이야기를 영어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