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o over vs. Go through: 꼼꼼한 검토와 힘든 경험, 영어로 정확히 표현하기
“Go over”와 “Go through”, 비슷해 보이지만 쓰임새가 다른 두 표현! 언제 어떤 표현을 써야 할지 헷갈리셨나요? 중요한 문서를 검토할 때, 혹은 힘든 시기를 겪었다고 말할 때, 정확한 표현으로 여러분의 영어 실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지금부터 이 두 표현의 미묘한 차이와 활용법을 확실하게 알아봅시다!
목차
Go over vs. Go through: 핵심 차이점
- 표현: go over
발음: [고 오버]
뜻: (주의 깊게) 검토하다, 살펴보다 - 표현: go through
발음: [고 쓰루]
뜻: (어려움 등을) 겪다, 경험하다; (과정, 절차 등을) 거치다
비교 설명: ‘Go over’는 주로 문서, 계획 등을 세심하게 검토하거나 복습하는 상황에 사용됩니다. 반면 ‘Go through’는 어려운 시기나 경험을 겪거나, 어떤 절차나 과정을 통과하는 의미로 더 자주 쓰입니다. 뉘앙스 차이를 기억하는 것이 중요해요.
‘Go over’ 활용: 꼼꼼하게 검토할 때
- 표현: Let’s go over the report one more time.
발음: [렛츠 고 오버 더 리포트 원 모어 타임]
뜻: 보고서를 한 번 더 검토합시다. - 표현: Can you go over my presentation slides?
발음: [캔 유 고 오버 마이 프레젠테이션 슬라이즈?]
뜻: 제 발표 슬라이드 좀 검토해 주실 수 있나요? - 표현: I need to go over these figures carefully.
발음: [아이 니드 투 고 오버 디즈 피겨스 케어풀리]
뜻: 이 수치들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해요. - 표현: We went over the main points of the meeting.
발음: [위 웬트 오버 더 메인 포인츠 오브 더 미팅]
뜻: 우리는 회의의 주요 사항들을 검토했습니다. - 표현: Please go over the instructions before you start.
발음: [플리즈 고 오버 디 인스트럭션스 비포 유 스타트]
뜻: 시작하기 전에 설명서를 잘 살펴보세요. - 표현: She went over her lines before the performance.
발음: [쉬 웬트 오버 허 라인즈 비포 더 퍼포먼스]
뜻: 그녀는 공연 전에 대사를 복습했습니다.
‘Go through’ 활용: 경험하거나 거쳐갈 때
- 표현: He went through a difficult time last year.
발음: [히 웬트 쓰루 어 디피컬트 타임 라스트 이어]
뜻: 그는 작년에 힘든 시기를 겪었습니다. - 표현: We have to go through customs at the airport.
발음: [위 해브 투 고 쓰루 커스텀즈 앳 디 에어포트]
뜻: 우리는 공항에서 세관을 통과해야 합니다. - 표현: She went through all her savings quickly.
발음: [쉬 웬트 쓰루 올 허 세이빙즈 퀴클리]
뜻: 그녀는 저축한 돈을 금방 다 써버렸습니다. (돈을 다 써버리는 경험) - 표현: Let’s go through the checklist step by step.
발음: [렛츠 고 쓰루 더 체크리스트 스텝 바이 스텝]
뜻: 체크리스트를 단계별로 살펴봅시다. (절차를 거치는 의미) - 표현: I went through my old photos yesterday.
발음: [아이 웬트 쓰루 마이 올드 포토스 예스터데이]
뜻: 어제 옛날 사진들을 쭉 훑어봤어요. (살펴보는 과정) - 표현: You need to go through a security check.
발음: [유 니드 투 고 쓰루 어 시큐리티 체크]
뜻: 보안 검사를 거쳐야 합니다.
실제 대화: 계약서 검토와 힘든 프로젝트 경험 나누기
상황 설명: 동료인 Alex(A)와 Ben(B)이 중요한 계약서를 검토하고, 과거 힘들었던 프로젝트 경험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 표현: A: Ben, could you go over this contract with me? I want to make sure we didn’t miss anything.
발음: [벤, 쿠쥬 고 오버 디스 컨트랙트 윋 미? 아이 원트 투 메잌 슈어 위 디든트 미스 애니띵.]
뜻: 벤, 이 계약서 저랑 같이 검토해 줄 수 있어요? 우리가 놓친 게 없는지 확인하고 싶어서요. - 표현: B: Sure, Alex. Let’s go over it page by page. It’s crucial to be thorough.
발음: [슈어, 알렉스. 렛츠 고 오버 잇 페이지 바이 페이지. 잇츠 크루셜 투 비 써로우.]
뜻: 물론이죠, 알렉스. 한 페이지씩 살펴봅시다. 철저하게 하는 게 중요하잖아요. - 표현: A: Thanks. I remember the last project we worked on. We really went through a lot back then.
발음: [땡스. 아이 리멤버 더 라스트 프로젝트 위 웍트 온. 위 리얼리 웬트 쓰루 어 랏 백 덴.]
뜻: 고마워요. 우리가 작업했던 지난번 프로젝트가 생각나네요. 그때 정말 많은 일을 겪었죠. - 표현: B: Oh, definitely. Going through that tight deadline and unexpected issues was tough.
발음: [오, 데피니틀리. 고잉 쓰루 댓 타이트 데드라인 앤 언익스펙티드 이슈즈 워즈 터프.]
뜻: 아, 그럼요. 그 촉박한 마감 기한과 예상치 못한 문제들을 겪는 건 힘들었어요. - 표현: A: Agreed. But we managed to go through it together. Okay, let’s focus and go over this contract now.
발음: [어그리드. 벗 위 매니지드 투 고 쓰루 잇 투게더. 오케이, 렛츠 포커스 앤 고 오버 디스 컨트랙트 나우.]
뜻: 동의해요. 하지만 우린 함께 그걸 헤쳐나갔죠. 좋아요, 이제 집중해서 이 계약서를 검토합시다. - 표현: B: Right. Let’s start with the first clause. I’ll read it out loud, and we can go over the details.
발음: [라잇. 렛츠 스타트 윋 더 퍼스트 클로즈. 아일 리드 잇 아웃 라우드, 앤 위 캔 고 오버 더 디테일즈.]
뜻: 맞아요. 첫 번째 조항부터 시작하죠. 제가 소리 내어 읽을 테니, 세부 사항을 검토해 봐요.
마치며
이제 ‘go over’와 ‘go through’의 차이가 확실히 느껴지시나요? 문서를 꼼꼼히 검토할 때는 ‘go over’를, 힘든 시간이나 과정을 겪거나 통과할 때는 ‘go through’를 사용해 보세요! 처음에는 조금 헷갈릴 수 있지만, 오늘 배운 표현들을 실제 대화에 적용하다 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영어로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더 정확하고 풍부하게 표현하는 그날까지, 꾸준히 연습하는 것 잊지 마세요! 여러분의 영어 성장을 항상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