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ve up vs Give in: 포기와 굴복, 정확히 알고 사용하세요!
포기할까, 아니면 그냥 받아들일까? 영어로 이 미묘한 차이를 표현하고 싶을 때 ‘Give up’과 ‘Give in’ 사이에서 헷갈리셨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른 두 표현! 오늘 이 두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 그리고 관련된 다양한 표현까지 확실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이제 더 이상 망설이지 말고 자신 있게 사용해 보세요!
Give up vs Give in: 핵심 차이점
- 표현: Give up
발음: [기브 업]
뜻: (노력 등을) 포기하다, 그만두다 - 표현: Give in
발음: [기브 인]
뜻: 굴복하다, 양보하다, (요구 등에) 따르다
‘Give up’은 스스로의 의지로 노력이나 하던 일을 중단하는 ‘포기’의 의미가 강합니다. 반면, ‘Give in’은 외부의 압력이나 설득에 못 이겨 마지못해 따르거나 항복하는 ‘굴복’ 또는 ‘양보’의 뉘앙스를 가집니다. 이 차이를 기억하는 것이 중요해요!
‘포기’를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
- 표현: Don’t give up on your dreams.
발음: [돈 기브 업 온 유어 드림스]
뜻: 당신의 꿈을 포기하지 마세요. - 표현: He decided to give up smoking.
발음: [히 디사이디드 투 기브 업 스모킹]
뜻: 그는 금연하기로 결심했습니다. - 표현: I almost gave up hope.
발음: [아이 올모스트 게이브 업 호프]
뜻: 저는 거의 희망을 포기할 뻔했습니다. - 표현: She gave up her seat to the elderly woman.
발음: [쉬 게이브 업 허 싯 투 디 엘덜리 우먼]
뜻: 그녀는 노부인에게 자리를 양보했습니다. (이 경우는 ‘넘겨주다’의 의미) - 표현: It’s too early to give up.
발음: [잇츠 투 얼리 투 기브 업]
뜻: 포기하기에는 너무 이릅니다. - 표현: They gave up the search after three days.
발음: [데이 게이브 업 더 서치 애프터 쓰리 데이즈]
뜻: 그들은 3일 후에 수색을 포기했습니다. - 표현: Never give up without trying your best.
발음: [네버 기브 업 위다웃 트라잉 유어 베스트]
뜻: 최선을 다해보지도 않고 절대 포기하지 마세요.
‘굴복’ 또는 ‘양보’를 나타내는 표현
- 표현: The government refused to give in to the terrorists’ demands.
발음: [더 거번먼트 리퓨즈드 투 기브 인 투 더 테러리스츠 디맨즈]
뜻: 정부는 테러리스트들의 요구에 굴복하기를 거부했습니다. - 표현: He finally gave in and admitted he was wrong.
발음: [히 파이널리 게이브 인 앤 애드미티드 히 워즈 롱]
뜻: 그는 마침내 굴복하고 자신이 틀렸음을 인정했습니다. - 표현: Don’t give in to temptation.
발음: [돈 기브 인 투 템테이션]
뜻: 유혹에 넘어가지 마세요. - 표현: She wouldn’t give in, no matter how much they argued.
발음: [쉬 우든트 기브 인, 노 매터 하우 머치 데이 아규드]
뜻: 그들이 아무리 논쟁해도 그녀는 굴복하지 않았습니다. - 표현: The children kept asking for candy until their mother gave in.
발음: [더 칠드런 켑트 애스킹 포 캔디 언틸 데어 마더 게이브 인]
뜻: 아이들은 엄마가 들어줄 때까지 계속 사탕을 달라고 졸랐습니다. - 표현: After hours of negotiation, they finally gave in.
발음: [애프터 아워즈 오브 니고시에이션, 데이 파이널리 게이브 인]
뜻: 몇 시간의 협상 끝에 그들은 마침내 양보했습니다. - 표현: He didn’t want to go, but he gave in to please her.
발음: [히 디든트 원트 투 고, 벗 히 게이브 인 투 플리즈 허]
뜻: 그는 가고 싶지 않았지만, 그녀를 기쁘게 해주려고 결국 따랐습니다.
실제 대화에서 사용하기
상황: 팀 프로젝트 마감일이 다가오는데, 한 팀원이 너무 힘들어 포기하고 싶어 하고, 다른 팀원은 계속 설득하는 상황입니다.
- 표현: A: I can’t do this anymore. This project is too difficult. I think I have to give up.
발음: [아이 캔트 두 디스 애니모어. 디스 프로젝트 이즈 투 디피컬트. 아이 띵크 아이 해브 투 기브 업.]
뜻: 나 더 이상 못 하겠어. 이 프로젝트 너무 어려워. 그냥 포기해야 할 것 같아. - 표현: B: Don’t give up now! We’re almost finished. We just need a little more effort.
발음: [돈 기브 업 나우! 위아 올모스트 피니시드. 위 저스트 니드 어 리틀 모어 에포트.]
뜻: 지금 포기하지 마! 우리 거의 다 끝났잖아. 조금만 더 노력하면 돼. - 표현: A: But I’m exhausted. Maybe we should just ask for an extension?
발음: [벗 아임 이그조스티드. 메이비 위 슈드 저스트 애스크 포 언 익스텐션?]
뜻: 하지만 나 너무 지쳤어. 그냥 기간 연장을 요청하면 안 될까? - 표현: B: The professor said no extensions. We can’t just give in to the difficulty. Let’s try breaking down the remaining tasks.
발음: [더 프로페서 세드 노 익스텐션스. 위 캔트 저스트 기브 인 투 더 디피컬티. 렛츠 트라이 브레이킹 다운 더 리메이닝 태스크스.]
뜻: 교수님이 연장은 안 된다고 하셨어. 어려움에 그냥 굴복할 수는 없어. 남은 작업들을 나눠서 해보자. - 표현: A: I don’t know… It feels impossible.
발음: [아이 돈 노우… 잇 필즈 임파서블.]
뜻: 모르겠어… 불가능하게 느껴져. - 표현: B: Come on, don’t give in to despair! We can do this together. I’ll help you with your part.
발음: [컴 온, 돈 기브 인 투 디스페어! 위 캔 두 디스 투게더. 아윌 헬프 유 윋 유어 파트.]
뜻: 힘내, 절망에 굴복하지 마! 우리 함께 할 수 있어. 네 부분을 내가 도와줄게. - 표현: A: Okay… okay. I won’t give up. Let’s try again.
발음: [오케이… 오케이. 아이 원트 기브 업. 렛츠 트라이 어게인.]
뜻: 알았어… 알았어. 포기하지 않을게. 다시 해보자. - 표현: B: That’s the spirit! Let’s finish this strong.
발음: [댓츠 더 스피릿! 렛츠 피니시 디스 스트롱.]
뜻: 그래, 바로 그거야! 우리 힘내서 마무리하자.
마치며
이제 ‘Give up’과 ‘Give in’의 차이가 확실히 느껴지시나요? 스스로의 의지로 멈추는 ‘포기’와 외부 상황에 따르는 ‘굴복/양보’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포기하고 싶을 때, 혹은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할 때, 오늘 배운 표현들을 떠올려 보세요! 처음에는 조금 어색할 수 있지만, 자꾸 사용하다 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영어로 자신의 감정과 상황을 더 정확하게 표현하는 여러분이 되기를 응원합니다! 힘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