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et Used To: 익숙해지는 과정을 영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방법
새로운 환경, 낯선 음식, 혹은 처음 해보는 일에 적응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도전적인 경험이죠. 이런 ‘익숙해지는’ 과정을 영어로 표현하고 싶은데 어떤 말을 써야 할지 막막하셨나요? 걱정 마세요! ‘Get used to’라는 아주 유용한 표현이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Get used to’ 구문의 의미와 다양한 활용법을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이제부터 저와 함께 적응 과정을 영어로 자신 있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워보아요!
목차
- ‘익숙해지다’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새로운 환경 및 상황 적응
- 새로운 일과 습관 적응
- 어려움 극복 및 수용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새로운 업무 환경 적응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Be used to’ 와 ‘Get used to’ 비교
- ‘Used to + 동사원형’과의 차이점
- ‘익숙해지다’를 표현하는 다른 방법들
- Get used to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변화와 과정의 내포
- 2. 적응의 대상 (명사 또는 동명사)
- 3. 심리적, 감정적 수용
- 결론: 자신감 있게 ‘익숙해짐’을 영어로 표현하기
‘익숙해지다’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새로운 상황이나 환경에 점차 적응하고 익숙해지는 과정을 나타낼 때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핵심 표현이 있습니다.
-
표현: get used to [something/doing something]
발음: [겟 유즈드 투 썸띵/두잉 썸띵]
뜻: ~에 익숙해지다, ~하는 것에 익숙해지다
이 표현은 어떤 대상(명사)이나 행위(동명사)에 대해 처음에는 낯설거나 어색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편안해지고 자연스러워지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정말 자주 쓰이는 표현이니 꼭 기억해두세요. 새로운 직장, 새로운 도시, 새로운 습관 등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Get used to’는 다양한 상황에서 ‘익숙해지다’라는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어떤 상황에 익숙해지는지, 어떤 행동에 익숙해지는지에 따라 유연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구체적인 상황별 예문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새로운 환경 및 상황 적응
새로운 도시, 직장, 학교 등 낯선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표현: It takes time to get used to a new city.
발음: [잇 테익스 타임 투 겟 유즈드 투 어 뉴 시티]
뜻: 새로운 도시에 익숙해지는 데는 시간이 걸려요. -
표현: I’m slowly getting used to the weather here.
발음: [아임 슬로울리 게링 유즈드 투 더 웨더 히어]
뜻: 여기 날씨에 서서히 익숙해지고 있어요. -
표현: You’ll get used to the noise eventually.
발음: [율 겟 유즈드 투 더 노이즈 이벤추얼리]
뜻: 결국엔 그 소음에 익숙해질 거예요. -
표현: She had to get used to the different culture.
발음: [쉬 해드 투 겟 유즈드 투 더 디퍼런트 컬처]
뜻: 그녀는 다른 문화에 익숙해져야 했어요. -
표현: How long did it take you to get used to living alone?
발음: [하우 롱 디드 잇 테이크 유 투 겟 유즈드 투 리빙 얼론?]
뜻: 혼자 사는 것에 익숙해지는 데 얼마나 걸렸어요?
새로운 일과 습관 적응
새로운 업무 방식, 기상 시간, 운동 습관 등 새로운 활동이나 루틴에 익숙해지는 과정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
표현: I need to get used to waking up early.
발음: [아이 니드 투 겟 유즈드 투 웨이킹 업 얼리]
뜻: 일찍 일어나는 것에 익숙해져야 해요. -
표현: He’s still getting used to using the new software.
발음: [히즈 스틸 게링 유즈드 투 유징 더 뉴 소프트웨어]
뜻: 그는 아직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에 익숙해지는 중이에요. -
표현: It’s hard to get used to working night shifts.
발음: [잇츠 하드 투 겟 유즈드 투 워킹 나이트 쉬프츠]
뜻: 야간 근무에 익숙해지는 것은 어려워요. -
표현: We are getting used to the new management style.
발음: [위 아 게링 유즈드 투 더 뉴 매니지먼트 스타일]
뜻: 우리는 새로운 경영 방식에 익숙해지고 있어요. -
표현: Did you get used to eating spicy food?
발음: [디드 유 겟 유즈드 투 이팅 스파이시 푸드?]
뜻: 매운 음식 먹는 것에 익숙해졌어요?
어려움 극복 및 수용
처음에는 불편하거나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상황을 점차 수용하게 되는 과정을 나타낼 때도 사용됩니다.
-
표현: You just have to get used to the fact that things change.
발음: [유 저스트 해브 투 겟 유즈드 투 더 팩트 댓 띵스 체인지]
뜻: 상황은 변한다는 사실에 그냥 익숙해져야 해요. -
표현: I guess I’ll have to get used to the long commute.
발음: [아이 게스 아일 해브 투 겟 유즈드 투 더 롱 커뮤트]
뜻: 긴 통근 시간에 익숙해져야 할 것 같아요. -
표현: It took a while, but I got used to his strange habits.
발음: [잇 툭 어 와일, 벗 아이 갓 유즈드 투 히즈 스트레인지 해빗츠]
뜻: 시간이 좀 걸렸지만, 그의 이상한 습관들에 익숙해졌어요. -
표현: Try to get used to the idea of sharing your space.
발음: [트라이 투 겟 유즈드 투 디 아이디어 오브 쉐어링 유어 스페이스]
뜻: 당신의 공간을 공유한다는 생각에 익숙해지도록 노력해보세요. -
표현: We never really got used to the constant criticism.
발음: [위 네버 리얼리 갓 유즈드 투 더 콘스탄트 크리티시즘]
뜻: 우리는 끊임없는 비판에 결코 익숙해지지 못했어요.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Get used to’ 구문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아두면 좋습니다. 실제 대화에서 이 표현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과정’ 강조하기: ‘Get used to’는 ‘익숙해진 상태’가 아니라 ‘익숙해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춥니다. 따라서 “I am getting used to…” (익숙해지는 중이다) 또는 “It takes time to get used to…”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린다) 와 같이 진행 중인 과정을 나타내는 표현과 함께 자주 쓰입니다.
- ‘to’ 뒤에는 명사 또는 동명사(~ing): ‘Get used to’의 ‘to’는 전치사입니다. 따라서 뒤에는 명사(예: the noise, the food) 또는 동명사 형태(예: waking up early, using this tool)가 와야 합니다. 절대 동사 원형이 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예: get used to wake up (X) -> get used to waking up (O))
- 시간 표현과 함께 사용: 익숙해지는 데 걸리는 시간을 함께 언급하면 의미가 더 명확해집니다. “It took me a few weeks to get used to the new schedule.” (새로운 일정에 익숙해지는 데 몇 주가 걸렸어요.) 처럼 구체적인 기간을 명시할 수 있습니다.
- 긍정/부정/의문문 활용: “I finally got used to it.” (드디어 익숙해졌어요.), “I can’t get used to this humidity.” (이 습도에는 익숙해질 수가 없어요.), “Are you getting used to your new colleagues?” (새 동료들에게 익숙해지고 있나요?) 와 같이 다양한 문장 형태로 활용 가능합니다.
- 감정 표현과 연결: 익숙해지는 과정이 어렵거나(It’s hard to get used to…), 쉽거나(It was easy to get used to…), 혹은 아직 진행 중임을(I’m still getting used to…) 표현하며 감정을 함께 전달할 수 있습니다.
- ‘Be used to’ 와의 차이점 인지: ‘Get used to’는 익숙해지는 ‘과정’을, ‘Be used to’는 이미 익숙해진 ‘상태’를 나타냅니다. “I got used to the cold weather.” (추운 날씨에 익숙해졌다 – 과정 완료) vs “I am used to the cold weather.” (나는 추운 날씨에 익숙하다 – 현재 상태). 이 둘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문화적 맥락 고려: 새로운 문화나 관습에 익숙해지는 것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I’m still getting used to bowing.” (저는 아직 절하는 것에 익숙해지는 중이에요.) 와 같이 자신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새로운 업무 환경 적응
새로운 회사에 입사한 지 얼마 안 된 Alex(A)와 기존 직원인 Ben(B)이 새로운 업무 환경과 시스템에 대해 이야기하는 상황입니다.
-
표현: A: Hey Ben, got a minute? I’m still trying to figure out this project management tool.
발음: [헤이 벤, 갓 어 미닛? 아임 스틸 트라잉 투 피겨 아웃 디스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툴.]
뜻: 안녕하세요 벤, 잠시 시간 괜찮으세요? 아직 이 프로젝트 관리 도구를 파악하려고 애쓰는 중이에요. -
표현: B: Sure Alex, what’s up? Yeah, it can be a bit tricky at first. Don’t worry, you’ll get used to it quickly.
발음: [슈어 알렉스, 왓츠 업? 예아, 잇 캔 비 어 빗 트리키 앳 퍼스트. 돈 워리, 율 겟 유즈드 투 잇 퀴클리.]
뜻: 그럼요 알렉스, 무슨 일이에요? 네, 처음엔 좀 까다로울 수 있죠. 걱정 마세요,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
표현: A: I hope so! It’s quite different from what I used before. I’m still getting used to all the features.
발음: [아이 호프 쏘! 잇츠 콰이트 디퍼런트 프롬 왓 아이 유즈드 비포. 아임 스틸 게링 유즈드 투 올 더 피처스.]
뜻: 그러길 바라요! 제가 전에 사용하던 것과는 꽤 다르네요. 아직 모든 기능에 익숙해지는 중이에요. -
표현: B: I know what you mean. It took me a couple of weeks to really get used to navigating it smoothly. Did you check the tutorials?
발음: [아이 노우 왓 유 민. 잇 툭 미 어 커플 오브 윅스 투 리얼리 겟 유즈드 투 내비게이팅 잇 스무들리. 디드 유 첵 더 튜토리얼스?]
뜻: 무슨 말인지 알아요. 저도 능숙하게 사용하는 데 익숙해지기까지 몇 주 걸렸어요. 튜토리얼은 확인해 보셨어요? -
표현: A: I watched a few, but applying it to our actual projects is another story. Also, I need to get used to the open-plan office. It’s a bit noisy sometimes.
발음: [아이 와치드 어 퓨, 벗 어플라잉 잇 투 아워 액추얼 프로젝트스 이즈 어나더 스토리. 올소, 아이 니드 투 겟 유즈드 투 디 오픈-플랜 오피스. 잇츠 어 빗 노이지 썸타임스.]
뜻: 몇 개 보긴 했는데, 실제 우리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건 또 다른 문제더라고요. 그리고 개방형 사무실에도 익숙해져야 해요. 가끔 좀 시끄럽네요. -
표현: B: Ah yes, the open office. Most people get used to the background noise after a while. Noise-canceling headphones can help if you need to focus.
발음: [아 예스, 디 오픈 오피스. 모스트 피플 겟 유즈드 투 더 백그라운드 노이즈 애프터 어 와일. 노이즈-캔슬링 헤드폰스 캔 헬프 이프 유 니드 투 포커스.]
뜻: 아 네, 개방형 사무실이요. 대부분 사람들은 시간이 좀 지나면 배경 소음에 익숙해져요. 집중해야 할 때는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
표현: A: That’s a good tip, thanks! Overall, how long does it usually take for new hires to get used to the workflow here?
발음: [댓츠 어 굿 팁, 땡스! 오버롤, 하우 롱 더즈 잇 유주얼리 테이크 포 뉴 하이어스 투 겟 유즈드 투 더 워크플로우 히어?]
뜻: 좋은 팁이네요, 고마워요! 전반적으로 신입 사원들이 여기 업무 흐름에 익숙해지는 데 보통 얼마나 걸리나요? -
표현: B: It varies, but I’d say most people feel comfortable within a month or two. Just ask questions whenever you’re unsure. We’ve all been there! You’ll get used to everything soon.
발음: [잇 배리스, 벗 아이드 세이 모스트 피플 필 컴포터블 위딘 어 먼쓰 오어 투. 저스트 애스크 퀘스천스 웨네버 유어 언슈어. 위브 올 빈 데어! 율 겟 유즈드 투 에브리띵 순.]
뜻: 사람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한두 달 안에 편안함을 느끼는 것 같아요. 잘 모를 때는 언제든지 질문하세요. 우리 모두 그런 과정을 겪었으니까요! 곧 모든 것에 익숙해질 거예요. -
표현: A: Thanks, Ben. That’s reassuring to hear. I’m trying my best to get used to doing things the ‘Company Way’.
발음: [땡스, 벤. 댓츠 리어슈어링 투 히어. 아임 트라잉 마이 베스트 투 겟 유즈드 투 두잉 띵스 더 ‘컴퍼니 웨이’.]
뜻: 고마워요, 벤. 그렇게 말씀해주시니 안심이 되네요. ‘회사 방식’대로 일하는 것에 익숙해지려고 최선을 다하고 있어요. -
표현: B: You’re doing great, Alex. Keep it up! Let me know if you need help with that tool later.
발음: [유어 두잉 그레잇, 알렉스. 킵 잇 업! 렛 미 노우 이프 유 니드 헬프 윋 댓 툴 레이터.]
뜻: 잘하고 있어요, 알렉스. 계속 힘내세요! 나중에 그 도구 관련해서 도움이 필요하면 알려주세요.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공감과 격려: Ben은 Alex의 어려움에 공감하며(“I know what you mean.”) “Don’t worry, you’ll get used to it quickly.” 와 “You’ll get used to everything soon.” 처럼 격려하며 안심시켜 줍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사람에게 이런 말은 큰 힘이 됩니다.
- 구체적인 시간 언급: “It took me a couple of weeks to really get used to navigating it smoothly.” 처럼 자신이 익숙해지는 데 걸린 시간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여 Alex가 느끼는 어려움이 일반적임을 보여줍니다.
- 실용적인 조언 제공: 개방형 사무실 소음에 대해 이야기할 때 “Noise-canceling headphones can help” 와 같이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 ‘Get used to + 동명사’: “getting used to using the new software”, “get used to navigating it smoothly”, “get used to doing things…” 와 같이 ‘get used to’ 뒤에 동명사(~ing) 형태가 오는 용법이 대화 전반에 걸쳐 자연스럽게 사용되었습니다.
- ‘Figure out’ vs ‘Get used to’: Alex는 “trying to figure out this tool” (도구를 이해/파악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말하고, Ben은 “get used to it” (그것에 익숙해질 것이다)라고 답합니다. ‘Figure out’은 작동 방식이나 정보를 알아내는 인지적 과정을, ‘get used to’는 반복적인 사용을 통해 편안하고 능숙해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Get used to’ 외에도 ‘익숙함’이나 ‘적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현들이 있습니다. 이 표현들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고 활용하면 더욱 풍부한 영어 구사가 가능해집니다.
‘Be used to’ 와 ‘Get used to’ 비교
이 두 표현은 형태가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지만 의미하는 바가 다릅니다. ‘Be used to’는 이미 어떤 것이나 상황, 행동에 익숙해져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반면, ‘Get used to’는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익숙해지는 ‘과정’이나 ‘변화’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I live in Canada, so I am used to the cold weather.” (저는 캐나다에 살아서 추운 날씨에 익숙해요.)는 현재 익숙한 상태를 말합니다. 하지만 “When I first moved here, it took me a long time to get used to the cold weather.” (제가 여기 처음 이사 왔을 때, 추운 날씨에 익숙해지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는 익숙해지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Be used to’ 뒤에도 ‘get used to’와 마찬가지로 명사나 동명사(~ing)가 옵니다. 이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상태를 말하고 싶을 때는 ‘be used to’, 변화의 과정을 말하고 싶을 때는 ‘get used to’를 사용하세요.
‘Used to + 동사원형’과의 차이점
‘Get used to’나 ‘Be used to’와 형태가 비슷해 보이는 ‘Used to + 동사원형’은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Used to + 동사원형’은 과거에 규칙적으로 하던 행동이나 과거의 상태를 나타내며, 현재는 더 이상 그렇지 않다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예를 들어, “I used to live in London.” (나는 과거에 런던에 살았었다. [지금은 살지 않는다]) 또는 “She used to play the piano every day.” (그녀는 과거에 매일 피아노를 쳤었다. [지금은 치지 않는다]) 와 같이 사용됩니다. 여기서 ‘used to’는 조동사처럼 쓰이며, 뒤에는 반드시 동사 원형이 옵니다. 반면, ‘get used to’와 ‘be used to’의 ‘to’는 전치사이므로 뒤에 명사나 동명사가 온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발음상으로도 ‘used to + 동사원형’의 ‘used’는 [juːst]로 약하게 발음되는 경우가 많지만, ‘get/be used to’의 ‘used’는 [juːst] 또는 [juːzd]로 비교적 명확하게 발음됩니다.
‘익숙해지다’를 표현하는 다른 방법들
‘Get used to’ 외에도 익숙해지거나 적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다른 표현들이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더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cclimatize / Acclimate: 주로 새로운 기후나 환경, 고도 등에 몸이 적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t takes a few days to acclimatize to the high altitude.” (고산 지대에 적응하는 데 며칠이 걸립니다.)
- Adjust: 새로운 상황이나 조건에 맞추어 변화하거나 적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Get used to’보다 좀 더 의식적인 노력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She quickly adjusted to her new role.” (그녀는 새로운 역할에 빠르게 적응했습니다.)
- Adapt: 환경이나 상황의 변화에 맞추어 스스로를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생존이나 성공을 위해 필요한 변화라는 뉘앙스를 가질 수 있습니다. “Businesses need to adapt to changing market conditions.” (기업들은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적응해야 합니다.)
- Grow accustomed to: ‘Get used to’와 매우 유사한 의미로, 점진적으로 익숙해지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조금 더 문어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Over time, he grew accustomed to the silence of the countryside.”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시골의 고요함에 익숙해졌습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get used to’와 유사하지만 약간씩 다른 뉘앙스를 가지므로,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면 더욱 정교한 영어 표현이 가능합니다.
Get used to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Get used to’ 구문은 단순한 표현을 넘어, 인간의 적응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이 구문의 핵심 요소들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변화와 과정의 내포
‘Get used to’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변화’와 ‘과정’입니다. ‘Get’이라는 동사 자체가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get tired, get hungry 등). 여기에 ‘used to’가 결합되면서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익숙한 상태’로 점진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이는 순간적인 변화가 아니라, 시간이 걸리고 노력이 필요할 수 있는 점진적인 적응을 의미합니다. “I am getting used to the new system”은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편안함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이 표현은 인내심과 시간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내포하게 됩니다. 새로운 직장 동료들과의 관계, 새로운 음식의 맛, 아침형 인간으로의 변화 등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이러한 점진적 적응 과정을 묘사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2. 적응의 대상 (명사 또는 동명사)
‘Get used to’ 다음에는 익숙해져야 하는 대상이 명확하게 제시됩니다. 이 대상은 구체적인 사물(the noise, the food), 추상적인 개념(the idea, the fact), 또는 특정 행동(waking up early, speaking English)일 수 있습니다. 전치사 ‘to’ 뒤에 명사나 동명사(~ing 형태)가 온다는 문법적 특징은 이 ‘대상’을 명확히 지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우리가 무엇에 적응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 “I need to get used to driving on the left” (왼쪽 차선 운전에 익숙해져야 한다) 처럼, 적응해야 할 행동을 명시함으로써 의사소통의 명확성을 높입니다. 적응의 대상이 무엇이냐에 따라 익숙해지는 과정의 난이도나 필요한 시간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암시하기도 합니다.
3. 심리적, 감정적 수용
‘Get used to’는 단순히 물리적인 적응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많은 경우, 심리적이고 감정적인 수용의 과정을 포함합니다. 처음에는 불편하거나, 이상하거나, 심지어 불쾌하게 느껴졌던 것에 대해 점차 거부감이 줄어들고 받아들이게 되는 내면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You’ll have to get used to his direct way of speaking.” (그의 직설적인 말투에 익숙해져야 할 거야.) 라는 문장은 단순히 말투에 익숙해지는 것을 넘어, 그것을 감정적으로 수용하고 더 이상 불편하게 느끼지 않게 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체념이나 불가피한 상황에 대한 수용의 뉘앙스를 담기도 합니다 (“I guess I just have to get used to it.”). 이처럼 ‘get used to’는 변화에 대한 우리의 내적 반응과 태도 변화를 섬세하게 표현하는 도구가 됩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익숙해짐’을 영어로 표현하기
자, 이제 ‘get used to’라는 표현이 훨씬 가깝게 느껴지시나요? 새로운 무언가에 익숙해지는 과정은 누구에게나 필요하고, 그것을 영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멋진 일이에요! 처음에는 낯설었던 영어 공부도 꾸준히 하다 보면 ‘get used to’하게 되는 것처럼, 오늘 배운 표현들도 자꾸 사용하다 보면 금방 입에 붙을 거예요.
새로운 도시에서의 생활, 새로 시작한 취미, 혹은 조금은 불편했던 동료의 습관까지. 이제 ‘get used to’를 사용해서 여러분의 적응 과정을 자신 있게 이야기해보세요! “I’m getting used to speaking English more often.” (저는 영어를 더 자주 사용하는 것에 익숙해지고 있어요.) 라고 스스로에게 말해주며 용기를 북돋아 주는 것도 좋겠죠?
다음 단계 제안: ‘Get used to’와 혼동하기 쉬운 ‘be used to’와 ‘used to + 동사원형’의 차이점을 복습하고, 각각의 표현을 사용한 자신만의 문장을 3개씩 만들어 보세요. 실제 대화에서 사용해보는 것이 가장 좋은 연습이랍니다!
실천 계획 제안:
1. 이번 주에 새롭게 접하거나 적응해야 하는 상황을 하나 떠올려 보세요. (예: 새로운 아침 루틴, 새로 생긴 카페의 커피 맛)
2. 그 상황에 대해 ‘get used to’를 사용하여 영어 문장을 만들어 소리 내어 읽어보세요. (예: “I need to get used to this new coffee machine.”)
3. 가능하다면 친구나 동료에게 그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며 자연스럽게 ‘get used to’ 표현을 사용해보세요.
꾸준한 연습만이 실력 향상의 지름길이라는 것, 잊지 마세요! 여러분의 영어 여정에 제가 항상 함께할게요.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