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uld have vs Might have: 과거 가능성 표현 마스터하기
“Could have”와 “Might have”는 둘 다 과거의 가능성이나 추측을 나타낼 때 쓰이지만,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있어서 헷갈리기 쉬워요. 어떤 상황에서 어떤 표현을 써야 더 자연스러울까요? 이 두 표현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과거 상황에 대해 영어로 자신 있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이제 과거 가능성 표현을 제대로 익혀봅시다.
목차
핵심 표현: 과거 가능성
과거에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었거나, 일어났을지도 모른다고 말할 때 사용하는 핵심 표현 중 하나를 먼저 알아볼게요.
- 표현: Could have + 과거분사(p.p.)
발음: [큳 해브 + 과거분사]
뜻: (과거에) ~할 수도 있었다 (실제로는 하지 않았거나 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내포됨)
“Could have + 과거분사”: 과거에 할 수 있었던 일
“Could have + 과거분사”는 과거에 어떤 일을 할 능력이 있었거나 기회가 있었지만, 실제로는 하지 않았거나 하지 못했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후회의 감정을 나타낼 때도 쓰여요.
- 표현: I could have studied harder for the exam.
발음: [아이 큳 해브 스터디드 하더 포 디 이그잼]
뜻: 시험공부를 더 열심히 할 수도 있었는데. (실제로는 덜 열심히 함) - 표현: She could have called me, but she didn’t.
발음: [쉬 큳 해브 콜드 미, 벗 쉬 디든트]
뜻: 그녀는 나에게 전화할 수도 있었지만, 하지 않았어요. - 표현: We could have arrived earlier if we had left sooner.
발음: [위 큳 해브 어라이브드 얼리어 이프 위 해드 레프트 수너]
뜻: 우리가 더 일찍 출발했다면 더 일찍 도착할 수도 있었을 거예요. - 표현: He could have won the race if he hadn’t fallen.
발음: [히 큳 해브 원 더 레이스 이프 히 해든트 폴른]
뜻: 그가 넘어지지 않았다면 경주에서 이길 수도 있었을 텐데. - 표현: You could have asked for help.
발음: [유 큳 해브 애스크트 포 헬프]
뜻: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었잖아요. (왜 안 했냐는 뉘앙스) - 표현: They could have chosen a different path.
발음: [데이 큳 해브 초즌 어 디퍼런트 패쓰]
뜻: 그들은 다른 길을 선택할 수도 있었어요. - 표현: It could have been worse.
발음: [잇 큳 해브 빈 워스]
뜻: 상황이 더 나빴을 수도 있어요. (이만하길 다행이라는 뉘앙스)
“Might have + 과거분사”: 과거에 일어났을지도 모르는 일
“Might have + 과거분사”는 과거에 어떤 일이 일어났을 가능성이나 추측을 나타냅니다. “Could have”보다 불확실성이 조금 더 높은 느낌을 줄 때가 많아요. 어떤 일이 실제로 일어났는지 아닌지 잘 모를 때 사용하죠.
- 표현: He might have forgotten about our meeting.
발음: [히 마잇 해브 포가튼 어바웃 아워 미팅]
뜻: 그가 우리 약속을 잊어버렸을지도 몰라요. - 표현: She might have taken the wrong bus.
발음: [쉬 마잇 해브 테이큰 더 롱 버스]
뜻: 그녀가 버스를 잘못 탔을지도 몰라요. - 표현: They might have already left.
발음: [데이 마잇 해브 올레디 레프트]
뜻: 그들이 이미 떠났을지도 몰라요. - 표현: I might have left my keys at the office.
발음: [아이 마잇 해브 레프트 마이 키즈 앳 디 오피스]
뜻: 제가 사무실에 열쇠를 두고 왔을지도 모르겠어요. - 표현: It might have rained last night.
발음: [잇 마잇 해브 레인드 라스트 나잇]
뜻: 어젯밤에 비가 왔을지도 몰라요. - 표현: You might have misunderstood what I said.
발음: [유 마잇 해브 미스언더스툳 왓 아이 세드]
뜻: 당신이 제가 한 말을 오해했을지도 모르겠네요. - 표현: The package might have been delivered to the wrong address.
발음: [더 패키지 마잇 해브 빈 딜리버드 투 더 롱 어드레스]
뜻: 소포가 다른 주소로 배달되었을지도 몰라요.
“Could have” vs “Might have”: 미묘한 차이점
두 표현 모두 과거의 가능성을 나타내지만, “Could have”는 종종 ‘능력이나 기회가 있었음’을 내포하는 반면, “Might have”는 단순한 ‘추측’의 의미가 더 강합니다.
- 표현: He could have been the CEO. (He had the ability/opportunity)
발음: [히 큳 해브 빈 더 씨이오]
뜻: 그는 CEO가 될 수도 있었어요. (능력이나 기회가 있었음을 시사) - 표현: He might have been the CEO. (It’s possible, I’m guessing)
발음: [히 마잇 해브 빈 더 씨이오]
뜻: 그가 CEO였을지도 몰라요. (가능성에 대한 추측) - 표현: I could have dropped my wallet on the bus. (It was a possibility among others)
발음: [아이 큳 해브 드랍트 마이 월렛 온 더 버스]
뜻: 버스에서 지갑을 떨어뜨렸을 수도 있어요. (여러 가능성 중 하나) - 표현: I might have dropped my wallet on the bus. (I suspect this is what happened)
발음: [아이 마잇 해브 드랍트 마이 월렛 온 더 버스]
뜻: 버스에서 지갑을 떨어뜨렸을지도 모르겠어요. (그랬을 것 같다는 추측) - 표현: She could have told me the truth. (She had the chance but didn’t)
발음: [쉬 큳 해브 톨드 미 더 트루쓰]
뜻: 그녀는 나에게 진실을 말할 수도 있었어요. (기회가 있었지만 안 함) - 표현: She might have told me the truth. (Perhaps she did, I’m not sure)
발음: [쉬 마잇 해브 톨드 미 더 트루쓰]
뜻: 그녀가 나에게 진실을 말했을지도 몰라요. (말했는지 안 했는지 불확실) - 표현: This could have been a great party if more people came.
발음: [디스 큳 해브 빈 어 그레잇 파티 이프 모어 피플 케임]
뜻: 사람이 더 많이 왔다면 정말 좋은 파티가 될 수도 있었을 텐데요. - 표현: This might have been a great party, but I wasn’t there.
발음: [디스 마잇 해브 빈 어 그레잇 파티, 벗 아이 워즌트 데어]
뜻: 좋은 파티였을지도 모르지만, 전 거기 없었어요.
부정형: “Couldn’t have” 와 “Might not have”
부정형은 과거에 어떤 일이 불가능했거나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는 추측을 나타냅니다.
- 표현: He couldn’t have known about the surprise party.
발음: [히 쿠든트 해브 노운 어바웃 더 서프라이즈 파티]
뜻: 그는 깜짝 파티에 대해 알았을 리가 없어요. (알 가능성 0%) - 표현: She couldn’t have finished the report so quickly.
발음: [쉬 쿠든트 해브 피니쉬트 더 리포트 쏘 퀴클리]
뜻: 그녀가 그렇게 빨리 보고서를 끝냈을 리가 없어요. - 표현: They couldn’t have been at home; I called several times.
발음: [데이 쿠든트 해브 빈 앳 홈; 아이 콜드 세버럴 타임즈]
뜻: 그들이 집에 있었을 리 없어요. 제가 여러 번 전화했거든요. - 표현: He might not have received my email yet.
발음: [히 마잇 낫 해브 리시브드 마이 이메일 옛]
뜻: 그가 아직 제 이메일을 받지 못했을지도 몰라요. (가능성 있음) - 표현: She might not have liked the gift.
발음: [쉬 마잇 낫 해브 라익트 더 기프트]
뜻: 그녀가 선물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았을지도 몰라요. - 표현: We might not have chosen the best option.
발음: [위 마잇 낫 해브 초즌 더 베스트 옵션]
뜻: 우리가 가장 좋은 선택을 하지 않았을지도 몰라요.
실전 대화: 사라진 열쇠 미스터리
상황: 친구 사이인 A와 B가 A의 사라진 집 열쇠에 대해 이야기하며 어디에 두었을지 추측하고 있습니다.
- 표현: A: I can’t find my keys anywhere! I’m locked out.
발음: [아이 캔트 파인드 마이 키즈 애니웨어! 아임 락트 아웃]
뜻: 어디에서도 열쇠를 찾을 수가 없어! 문이 잠겨서 못 들어가. - 표현: B: Oh no! Where did you last see them?
발음: [오 노! 웨어 디드 유 라스트 씨 뎀?]
뜻: 이런! 마지막으로 본 게 어디야? - 표현: A: I’m not sure. I had them when I left the cafe this morning.
발음: [아임 낫 슈어. 아이 해드 뎀 웬 아이 레프트 더 카페 디스 모닝]
뜻: 잘 모르겠어. 오늘 아침 카페 나올 때는 가지고 있었는데. - 표현: B: Hmm, you might have left them on the table at the cafe.
발음: [음, 유 마잇 해브 레프트 뎀 온 더 테이블 앳 더 카페]
뜻: 흠, 카페 테이블 위에 두고 왔을지도 모르겠다. - 표현: A: I already called them. They said they didn’t find anything.
발음: [아이 올레디 콜드 뎀. 데이 세드 데이 디든트 파인드 애니띵]
뜻: 이미 전화해 봤어. 아무것도 못 찾았대. - 표현: B: Okay. Did you check your coat pockets thoroughly? You could have put them there absentmindedly.
발음: [오케이. 디드 유 첵 유어 코트 파켓츠 떠롤리? 유 큳 해브 풋 뎀 데어 앱슨트마인디들리]
뜻: 알았어. 코트 주머니는 꼼꼼히 확인해 봤어? 무심코 거기에 넣었을 수도 있잖아. - 표현: A: I checked, but I’ll check again. What if they fell out of my bag on the bus?
발음: [아이 첵트, 벗 아일 첵 어게인. 왓 이프 데이 펠 아웃 오브 마이 백 온 더 버스?]
뜻: 확인했는데, 다시 한번 해볼게. 버스에서 가방 밖으로 떨어졌으면 어떡하지? - 표현: B: That’s possible. Someone might have picked them up. Or they could have slipped down the side of the seat.
발음: [댓츠 파서블. 썸원 마잇 해브 픽트 뎀 업. 오어 데이 큳 해브 슬립트 다운 더 사이드 오브 더 씻]
뜻: 그럴 수도 있지. 누군가 주워갔을지도 모르고. 아니면 좌석 옆으로 미끄러져 들어갔을 수도 있고. - 표현: A: This is so frustrating! I could have sworn I put them in my usual pocket.
발음: [디스 이즈 쏘 프러스트레이팅! 아이 큳 해브 스원 아이 풋 뎀 인 마이 유주얼 파켓]
뜻: 정말 답답하다! 평소 넣던 주머니에 넣었다고 확신했는데. (맹세할 수도 있었는데) - 표현: B: Let’s retrace your steps. You couldn’t have dropped them right outside your door, could you?
발음: [렛츠 리트레이스 유어 스텝스. 유 쿠든트 해브 드랍트 뎀 롸잇 아웃사이드 유어 도어, 큳 유?]
뜻: 네 동선을 다시 따라가 보자. 집 문 바로 앞에서 떨어뜨렸을 리는 없겠지, 그렇지? - 표현: A: I don’t think so. I looked around carefully. Maybe they might not have been in my bag when I left the cafe after all.
발음: [아이 돈트 띵크 쏘. 아이 룩트 어라운드 케어풀리. 메이비 데이 마잇 낫 해브 빈 인 마이 백 웬 아이 레프트 더 카페 애프터 올]
뜻: 그럴 것 같진 않아. 주변을 주의 깊게 살폈거든. 어쩌면 결국 카페를 나설 때 가방에 없었을지도 몰라. - 표현: B: Well, let’s hope they turn up soon. You might have just misplaced them somewhere obvious.
발음: [웰, 렛츠 호프 데이 턴 업 순. 유 마잇 해브 저스트 미스플레이스트 뎀 썸웨어 아비어스]
뜻: 음, 곧 찾길 바라자. 그냥 아주 뻔한 곳에 잘못 두었을지도 몰라.
마치며
“Could have”와 “Might have”는 과거의 가능성을 이야기할 때 정말 유용한 표현들이에요. “Could have”는 능력이나 기회가 있었지만 하지 않은 일, 또는 후회를 나타낼 때 자주 쓰이고, “Might have”는 불확실한 과거의 추측을 표현할 때 더 자연스럽습니다. 오늘 배운 표현들을 실제 대화에서 사용해보면서 그 미묘한 차이를 느껴보세요. 처음에는 조금 헷갈릴 수 있지만, 자꾸 사용하다 보면 어떤 상황에서 어떤 표현이 더 어울리는지 감이 올 거예요. 과거의 일에 대해 추측하거나 이야기할 때 자신감을 가지고 이 표현들을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