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tingent Upon 완벽 마스터: 조건과 결과 표현하기
계획을 세우거나 협상을 할 때, 특정 조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상황을 명확하게 전달해야 할 때가 많죠. 하지만 “만약 ~라면” 외에 좀 더 격식 있고 명확하게 조건을 표현하는 방법을 몰라 답답하셨을 수 있습니다. 걱정 마세요! ‘Contingent upon’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 어떤 일이 다른 일의 발생 여부에 달려있음을 정확하고 프로페셔널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contingent upon’의 의미와 다양한 활용법을 익히고, 실제 대화에서 자신감 있게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실 수 있을 거예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조건부 상황을 영어로 명확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목차
- Contingent upon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비즈니스 및 계약 상황
- 계획 및 일정 관련 상황
- 결과 및 의존성 표현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1. 유사 표현과 뉘앙스 차이: Dependent on, Subject to, Conditional on
- 2. 법률 및 비즈니스 문서에서의 중요성
- 3. 조건절(If-clauses)과의 관계
-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Contingent’의 의미와 역할
- 2. 전치사 ‘Upon’의 사용과 격식성
- 3. 조건 제시: 명사(구) 또는 동명사(구)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Contingent upon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어떤 결과나 결정이 특정 조건에 따라 달라질 때 사용하는 핵심 표현이 있습니다. 바로 ‘Contingent upon’입니다.
-
표현: Contingent upon
발음: 컨틴전트 어폰
뜻: ~에 달려있는, ~을 조건으로 하는
이 표현은 주로 공식적인 문서나 비즈니스 상황, 계획 설명 등에서 조건과 결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어떤 행동이나 결과가 일어나기 위한 필수 조건을 제시하며, 그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해당 행동이나 결과도 발생하지 않음을 내포합니다. 격식 있는 상황에서 조건부 관계를 나타내는 매우 유용한 표현입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Contingent upon’은 다양한 상황에서 조건부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비즈니스 협상부터 개인적인 계획까지, 이 표현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 다른 표현들을 상황별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비즈니스 및 계약 상황
계약 조건, 프로젝트 승인, 거래 성사 등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조건부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이때 ‘contingent upon’을 사용하면 조건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
표현: The deal is contingent upon board approval.
발음: 더 딜 이즈 컨틴전트 어폰 보드 어프루벌.
뜻: 그 거래는 이사회의 승인에 달려있습니다. -
표현: Our offer is contingent upon a satisfactory home inspection.
발음: 아워 오퍼 이즈 컨틴전트 어폰 어 새티스팩토리 홈 인스펙션.
뜻: 저희의 제안은 만족스러운 주택 점검을 조건으로 합니다. -
표현: Payment is contingent upon completion of the project milestones.
발음: 페이먼트 이즈 컨틴전트 어폰 컴플리션 오브 더 프로젝트 마일스톤즈.
뜻: 대금 지급은 프로젝트 주요 단계 완료를 조건으로 합니다. -
표현: The success of this merger is contingent upon regulatory clearance.
발음: 더 석세스 오브 디스 머저 이즈 컨틴전트 어폰 레귤러토리 클리어런스.
뜻: 이 합병의 성공은 규제 당국의 승인에 달려있습니다. -
표현: Hiring the new manager is contingent upon a successful background check.
발음: 하이어링 더 뉴 매니저 이즈 컨틴전트 어폰 어 석세스풀 백그라운드 체크.
뜻: 새로운 관리자 채용은 성공적인 신원 조회를 조건으로 합니다.
계획 및 일정 관련 상황
개인적인 계획이나 프로젝트 일정을 세울 때도 특정 조건에 따라 계획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contingent upon’ 또는 유사 표현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표현: Our travel plans are contingent upon getting our visas approved.
발음: 아워 트래블 플랜즈 아 컨틴전트 어폰 게팅 아워 비자스 어프루브드.
뜻: 저희 여행 계획은 비자 승인을 받는 것에 달려있습니다. -
표현: The project timeline is contingent upon receiving the necessary funding.
발음: 더 프로젝트 타임라인 이즈 컨틴전트 어폰 리시빙 더 네서세리 펀딩.
뜻: 프로젝트 일정은 필요한 자금을 받는 것에 달려있습니다. -
표현: The outdoor event is contingent upon good weather.
발음: 디 아웃도어 이벤트 이즈 컨틴전트 어폰 굿 웨더.
뜻: 야외 행사는 좋은 날씨에 달려있습니다. (날씨가 좋아야 진행됩니다.) -
표현: My decision to move is contingent upon finding a suitable job in the new city.
발음: 마이 디시전 투 무브 이즈 컨틴전트 어폰 파인딩 어 수터블 잡 인 더 뉴 시티.
뜻: 이사 결정은 새로운 도시에서 적합한 일자리를 찾는 것에 달려있습니다. -
표현: The start date is contingent upon the completion of the training program.
발음: 더 스타트 데이트 이즈 컨틴전트 어폰 더 컴플리션 오브 더 트레이닝 프로그램.
뜻: 시작일은 교육 프로그램 완료를 조건으로 합니다.
결과 및 의존성 표현
어떤 결과가 특정 요인이나 다른 사건에 의존적일 때, ‘contingent upon’과 비슷한 의미의 다른 표현들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표현: The outcome is largely contingent upon the cooperation of all team members.
발음: 디 아웃컴 이즈 라즐리 컨틴전트 어폰 더 코오퍼레이션 오브 올 팀 멤버스.
뜻: 결과는 주로 모든 팀원의 협력에 달려있습니다. -
표현: Future developments are contingent up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research.
발음: 퓨처 디벨럽먼츠 아 컨틴전트 어폰 더 리절츠 오브 더 커런트 리서치.
뜻: 향후 개발은 현재 연구 결과에 달려있습니다. -
표현: Her promotion is contingent upon her performance review next month.
발음: 허 프로모션 이즈 컨틴전트 어폰 허 퍼포먼스 리뷰 넥스트 먼스.
뜻: 그녀의 승진은 다음 달 근무 평가에 달려있습니다. -
표현: The availability of the product is contingent upon supply chain stability.
발음: 디 어베일러빌리티 오브 더 프로덕트 이즈 컨틴전트 어폰 서플라이 체인 스테빌리티.
뜻: 제품 구매 가능 여부는 공급망 안정성에 달려있습니다. -
표현: Our participation is contingent upon receiving more detailed information.
발음: 아워 파티시페이션 이즈 컨틴전트 어폰 리시빙 모어 디테일드 인포메이션.
뜻: 저희의 참여는 더 자세한 정보를 받는 것을 조건으로 합니다.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Contingent upon’은 격식 있는 표현이지만, 올바르게 사용하면 의사소통의 명확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 표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몇 가지 핵심 포인트입니다.
-
포인트 1: 격식 있는 상황에서 사용하기
‘Contingent upon’은 친구와의 대화보다는 비즈니스 미팅, 계약서, 공식적인 제안서, 학술적인 글쓰기 등 격식을 갖춰야 하는 상황에 더 적합합니다. 일상 대화에서는 ‘depends on’이나 ‘if’를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e picnic depends on the weather”는 “The picnic is contingent upon the weather”보다 훨씬 일반적입니다. -
포인트 2: ‘Upon’ 대신 ‘On’ 사용 가능 여부
‘Contingent on’도 ‘contingent upon’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약간 덜 격식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현대 영어에서는 ‘on’이 ‘upon’보다 더 자주 쓰이는 경향이 있지만, ‘contingent upon’은 여전히 법률 문서나 매우 공식적인 맥락에서 선호됩니다. 의미 차이는 거의 없으므로, 상황의 격식 수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포인트 3: 뒤따르는 명사 또는 동명사 확인
‘Contingent upon’ 다음에는 조건이 되는 내용이 명사(구) 또는 동명사(gerund, -ing 형태)로 와야 합니다. 예를 들어, “contingent upon approval(명사)” 또는 “contingent upon receiving approval(동명사구)”와 같이 사용합니다. 절(clause)이 바로 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Contingent upon the board approves”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
포인트 4: 조건의 명확성
이 표현을 사용할 때는 조건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혀야 오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모호한 조건은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contingent upon successful completion” 보다는 “contingent upon successful completion of Phase 1″과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
포인트 5: 긍정/부정 조건 모두 가능
‘Contingent upon’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결과가 발생하는 긍정적인 조건뿐 아니라, 특정 조건이 발생하지 않아야 결과가 유지되는 상황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ontinued employment is contingent upon not violating company policy.” (계속 고용은 회사 정책을 위반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합니다.) 처럼 부정적인 조건을 명시할 수도 있습니다. -
포인트 6: 유사 표현과의 뉘앙스 차이 인지
‘Dependent on’, ‘subject to’, ‘conditional on’ 등 유사한 표현들이 있지만 약간의 뉘앙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Dependent on’은 일반적인 의존 관계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고, ‘subject to’는 변경 가능성이나 추가 조건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Contingent upon’은 특정 조건 충족 여부에 따른 직접적인 결과 발생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포인트 7: 법적 구속력
법률 문서나 계약서에서 ‘contingent upon’은 법적 구속력을 갖는 조건을 명시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표현이 포함된 문서는 주의 깊게 검토해야 합니다.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계약의 특정 조항이나 전체 계약이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상황 설명: Alex는 새로운 프로젝트 매니저 직책에 대한 제안을 받았습니다. 인사 담당자(HR Manager)인 Sarah와 연봉 및 근무 시작일에 대해 최종 조율하고 있습니다. 근무 시작일은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조건으로 합니다.
역할:
- A: Alex (입사 지원자)
- B: Sarah (인사 담당자)
-
표현: A: Sarah, thank you for offering me the Project Manager position. I’m very excited about this opportunity. I’d like to confirm the details we discussed regarding the start date.
발음: 사라, 땡큐 포 오퍼링 미 더 프로젝트 매니저 포지션. 아임 베리 익사이티드 어바웃 디스 오퍼튜니티. 아이드 라이크 투 컨펌 더 디테일즈 위 디스커스드 리가딩 더 스타트 데이트.
뜻: 사라 씨, 프로젝트 매니저 직책을 제안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기회에 대해 매우 기대가 큽니다. 근무 시작일과 관련하여 논의했던 세부 사항을 확인하고 싶습니다. -
표현: B: Absolutely, Alex. We’re thrilled to have you potentially join our team. Regarding the start date, as we mentioned, it’s tentatively set for August 1st.
발음: 앱솔루틀리, 알렉스. 위아 스릴드 투 해브 유 포텐셜리 조인 아워 팀. 리가딩 더 스타트 데이트, 애즈 위 멘션드, 잇츠 텐터티블리 셋 포 어거스트 퍼스트.
뜻: 물론입니다, 알렉스 씨. 잠재적으로 저희 팀에 합류하게 되신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시작일에 관해서는, 말씀드렸듯이 잠정적으로 8월 1일로 정해져 있습니다. -
표현: A: Okay, tentatively August 1st. Is that date firm, or are there any conditions?
발음: 오케이, 텐터티블리 어거스트 퍼스트. 이즈 댓 데이트 펌, 오어 아 데어 애니 컨디션즈?
뜻: 네, 잠정적으로 8월 1일이군요. 그 날짜는 확정인가요, 아니면 어떤 조건이 있나요? -
표현: B: That’s a good question. The August 1st start date is contingent upon the successful handover of your current project at your previous company. We need to ensure a smooth transition for everyone involved.
발음: 댓츠 어 굿 퀘스천. 디 어거스트 퍼스트 스타트 데이트 이즈 컨틴전트 어폰 더 석세스풀 핸드오버 오브 유어 커런트 프로젝트 앳 유어 프리비어스 컴퍼니. 위 니드 투 인슈어 어 스무스 트랜지션 포 에브리원 인볼브드.
뜻: 좋은 질문입니다. 8월 1일 시작일은 이전 회사에서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인수인계를 조건으로 합니다.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원활한 전환을 보장해야 합니다. -
표현: A: I understand. So, my official start date hinges on completing my responsibilities there. What constitutes a ‘successful handover’ in this context?
발음: 아이 언더스탠드. 소, 마이 오피셜 스타트 데이트 힌지스 온 컴플리팅 마이 리스판서빌리티스 데어. 왓 컨스티튜츠 어 ‘석세스풀 핸드오버’ 인 디스 컨텍스트?
뜻: 이해했습니다. 그럼 제 공식적인 시작일은 그곳에서의 제 책임 완료에 달려있군요. 이 맥락에서 ‘성공적인 인수인계’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
표현: B: Primarily, it means documenting your work thoroughly and ensuring your replacement or colleagues can take over without disruption. We’d appreciate confirmation from your manager that the handover is complete by mid-July.
발음: 프라이머릴리, 잇 민즈 다큐멘팅 유어 워크 써로울리 앤 인슈어링 유어 리플레이스먼트 오어 콜리그스 캔 테이크 오버 위다웃 디스럽션. 위드 어프리시에이트 컨퍼메이션 프롬 유어 매니저 댓 더 핸드오버 이즈 컴플리트 바이 미드-줄라이.
뜻: 주로, 업무를 철저히 문서화하고 후임자나 동료들이 차질 없이 이어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7월 중순까지 인수인계가 완료되었다는 관리자의 확인을 받으면 좋겠습니다. -
표현: A: That sounds reasonable. My ability to provide that confirmation is, of course, contingent upon my current manager’s cooperation and the project’s progress itself. I anticipate it will be completed on schedule.
발음: 댓 사운즈 리즈너블. 마이 어빌리티 투 프로바이드 댓 컨퍼메이션 이즈, 오브 코스, 컨틴전트 어폰 마이 커런트 매니저스 코오퍼레이션 앤 더 프로젝트스 프로그레스 잇셀프. 아이 안티시페이트 잇 윌 비 컴플리티드 온 스케줄.
뜻: 합리적이네요. 제가 그 확인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은 물론 현재 관리자의 협조와 프로젝트 자체의 진행 상황에 달려 있습니다. 예정대로 완료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
표현: B: Excellent. We understand that external factors can play a role. Just keep us informed. So, to reiterate, the employment offer itself is firm, but the start date of August 1st is conditional on that successful handover.
발음: 엑설런트. 위 언더스탠드 댓 익스터널 팩터스 캔 플레이 어 롤. 저스트 킵 어스 인폼드. 소, 투 리이터레이트, 디 임플로이먼트 오퍼 잇셀프 이즈 펌, 벗 더 스타트 데이트 오브 어거스트 퍼스트 이즈 컨디셔널 온 댓 석세스풀 핸드오버.
뜻: 좋습니다. 외부 요인이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계속 저희에게 알려주세요. 다시 말해, 고용 제안 자체는 확고하지만, 8월 1일 시작일은 성공적인 인수인계를 조건으로 합니다. -
표현: A: Understood. Thank you for clarifying. I will ensure the handover process goes smoothly and keep you updated on the progress.
발음: 언더스투드. 땡큐 포 클래리파잉. 아이 윌 인슈어 더 핸드오버 프로세스 고즈 스무들리 앤 킵 유 업데이티드 온 더 프로그레스.
뜻: 이해했습니다. 명확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인수인계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고 진행 상황을 계속 알려드리겠습니다. -
표현: B: Perfect. We look forward to hearing from you soon. Welcome aboard, potentially!
발음: 퍼펙트. 위 룩 포워드 투 히어링 프롬 유 순. 웰컴 어보드, 포텐셜리!
뜻: 완벽합니다. 곧 소식 기다리겠습니다. 잠재적으로, 환영합니다!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조건 명확화의 중요성: Alex는 ‘tentatively’라는 단어를 듣고 바로 조건이 있는지 질문합니다. 이는 오해를 방지하고 계획을 세우는 데 중요합니다.
- ‘Contingent upon’ 사용: Sarah는 시작일의 조건을 설명하기 위해 “contingent upon the successful handover”라고 명확하게 표현합니다. 이는 공식적인 고용 관련 대화에 적합한 격식 있는 표현입니다.
- ‘Hinges on’ 사용: Alex는 Sarah의 말을 듣고 “my official start date hinges on completing my responsibilities”라고 바꿔 말합니다. ‘Hinges on’은 ‘depends crucially on’과 유사한 의미로, ‘contingent upon’보다 약간 덜 격식적이지만 여전히 중요한 의존 관계를 나타냅니다.
- 조건의 구체화 요청: Alex는 ‘successful handover’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물어봄으로써 조건 충족 기준을 명확히 하려 합니다. 이는 실제 업무에서 매우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입니다.
- ‘Conditional on’ 사용: Sarah는 대화 말미에 “conditional on that successful handover”라고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Conditional on’은 ‘contingent upon’과 매우 유사하며, 조건을 나타내는 또 다른 표현입니다.
복잡한 표현 분석:
- Tentatively set for…: ‘잠정적으로 ~로 정해진’이라는 의미입니다. 날짜나 계획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 변경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 What constitutes…?: ‘~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또는 ‘~의 정의는 무엇인가?’를 묻는 표현입니다. 여기서는 ‘성공적인 인수인계’가 구체적으로 어떤 행동이나 결과를 의미하는지 묻고 있습니다.
- To reiterate: ‘다시 말하자면’, ‘반복해서 말하자면’이라는 뜻으로, 중요한 내용을 강조하거나 요약할 때 사용됩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Contingent upon’ 외에도 조건이나 의존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들이 있습니다. 각 표현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유사 표현과 뉘앙스 차이: Dependent on, Subject to, Conditional on
‘Contingent upon’과 유사한 의미를 가지지만 약간 다른 뉘앙스를 전달하는 표현들이 있습니다. ‘Dependent on’은 가장 일반적인 표현으로, 어떤 것이 다른 것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나타냅니다. 꼭 특정 조건 충족 후 결과 발생이라는 인과관계를 강하게 내포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Plant growth is dependent on sunlight.” (식물 성장은 햇빛에 의존한다) 처럼 일반적인 의존 관계에 사용됩니다. ‘Subject to’는 주로 변경 가능성이나 추가적인 조건, 승인 등이 필요함을 암시할 때 사용됩니다. “The schedule is subject to change without notice.” (일정은 공지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처럼 불확실성이나 변경 가능성을 내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약서에서는 “subject to board approval” (이사회 승인을 조건으로) 처럼 쓰이기도 합니다. ‘Conditional on’은 ‘contingent upon’과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 조건이 충족되어야 함을 명확히 나타냅니다. ‘Contingent upon’보다 약간 덜 격식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The job offer is conditional on passing the medical examination.” (채용 제안은 건강 검진 통과를 조건으로 합니다.) 와 같이 사용됩니다. 이 표현들 사이의 선택은 문맥과 원하는 격식 수준, 강조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법률 및 비즈니스 문서에서의 중요성
법률 계약서나 비즈니스 합의서에서 ‘contingent upon’ 또는 ‘subject to’와 같은 조건부 조항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계약의 특정 부분 또는 전체 계약의 효력 발생이 명시된 조건의 충족 여부에 달려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매매 계약에서 “This agreement is contingent upon the buyer obtaining financing.” (이 계약은 구매자가 자금 조달을 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라는 조항이 있다면, 구매자가 대출 승인을 받지 못하면 계약이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공급 계약에서 “Delivery dates are contingent upon the availability of raw materials.” (납기일은 원자재 가용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라는 조항은 공급자가 통제할 수 없는 요인으로 인해 납기가 지연될 수 있음을 명시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조항들은 관련된 모든 당사자의 권리와 의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해당 표현이 포함된 문서는 반드시 주의 깊게 검토하고 이해해야 합니다. 조건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으면 추후 분쟁의 소지가 될 수 있습니다.
3. 조건절(If-clauses)과의 관계
‘Contingent upon’ 구문은 기본적으로 조건절(If-clause)이 표현하는 아이디어를 명사구를 사용하여 격식 있게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We will proceed with the project if we receive funding.” (자금을 받으면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입니다.) 라는 문장은 “Our proceeding with the project is contingent upon receiving funding.” 또는 “Proceeding with the project is contingent upon receiving funding.” (프로젝트 진행은 자금 수령을 조건으로 합니다.)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습니다. ‘If’를 사용한 조건절은 일상 대화나 덜 격식적인 글쓰기에 더 흔하게 사용됩니다. 반면, ‘contingent upon’은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 자리에 조건부 관계를 명사구 형태로 넣어 문장을 더 간결하고 공식적으로 만들 때 유용합니다. 특히 계약서나 공식 보고서 등에서는 이러한 명사구 형태의 조건 표현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어떤 표현을 사용할지는 문맥, 청중, 그리고 원하는 문체의 격식 수준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Contingent upon’ 구문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구성 요소와 그 의미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Contingent’의 의미와 역할
‘Contingent’는 형용사로, ‘(~에) 달려있는’, ‘조건으로 하는’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라틴어 ‘contingere'(touch, happen)에서 유래했으며, 어떤 일이 다른 일의 발생 여부나 조건 충족 여부에 따라 결정됨을 나타냅니다. 이 단어 자체는 불확실성이나 의존성을 내포합니다. 문장에서 ‘contingent’는 주로 서술 형용사로 사용되어 ‘be contingent upon/on ~’ 형태로 쓰이며, 주어가 뒤따르는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결정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Success is contingent upon effort.” (성공은 노력에 달려있다.) 에서 ‘success’라는 결과가 ‘effort’라는 조건에 의존함을 나타냅니다. 이 단어는 계획, 결과, 결정 등이 확정적이지 않고 특정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전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2. 전치사 ‘Upon’의 사용과 격식성
‘Contingent’ 뒤에는 전치사 ‘upon’ 또는 ‘on’이 사용됩니다. ‘Upon’은 ‘on’과 의미상 거의 동일하지만, 좀 더 격식 있고 문어적인 느낌을 줍니다. 법률 문서, 공식적인 계약, 학술적인 글 등에서는 ‘upon’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Contingent upon’이라는 표현 자체가 격식 있는 상황에서 조건부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므로, ‘upon’이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현대 영어, 특히 구어체나 덜 격식적인 글에서는 ‘contingent on’도 흔하게 사용되며 의미 차이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비즈니스 이메일에서는 “The delivery date is contingent on final approval.”이라고 써도 무방합니다. ‘Upon’을 사용하면 표현에 좀 더 무게감과 공식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3. 조건 제시: 명사(구) 또는 동명사(구)
‘Contingent upon/on’ 다음에는 조건에 해당하는 내용이 와야 하는데, 이 조건은 반드시 명사, 명사구, 또는 동명사(-ing 형태) 구여야 합니다. 절(주어+동사)이 바로 올 수 없습니다.
- 명사 예시: The picnic is contingent upon good weather. (소풍은 좋은 날씨에 달려있다.)
- 명사구 예시: The offer is contingent upon satisfactory background checks. (그 제안은 만족스러운 신원 조회를 조건으로 한다.)
- 동명사구 예시: Payment is contingent upon completing the work to our satisfaction. (지불은 우리가 만족하도록 작업을 완료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만약 조건 내용을 절로 표현하고 싶다면, ‘the fact that’을 추가하거나 문장 구조를 바꿔야 합니다. 예를 들어, “Payment is contingent upon the fact that the work is completed.” 또는 If-절을 사용하여 “Payment will be made if the work is completed.”와 같이 표현해야 합니다. 이 구조적 제약은 ‘contingent upon’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중요한 문법 사항입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이제 ‘contingent upon’이라는 표현이 더 이상 낯설거나 어렵게 느껴지지 않으실 거예요! 이 표현은 어떤 일이 특정 조건에 달려있음을 명확하고 격식 있게 전달해야 할 때 정말 유용하답니다. 비즈니스 협상, 계약 조건 설명, 혹은 중요한 계획을 이야기할 때 이 표현을 사용하면 여러분의 의도를 훨씬 전문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요.
물론 처음에는 조금 어색할 수 있지만, 오늘 배운 다양한 예문들을 참고하고 실제 상황을 상상하며 연습해 보세요. “Our plan is contingent upon…” 처럼 자신만의 문장을 만들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중요한 것은 배운 내용을 실제로 사용해보려는 시도랍니다. 작은 시도들이 모여 결국에는 어떤 조건부 상황에서도 자신감 있게 영어로 소통하는 여러분을 만들어 줄 거예요!
다음 단계 제안:
- ‘Dependent on’, ‘subject to’, ‘conditional on’과 같은 유사 표현들의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더 깊이 학습해 보세요.
- 실제 계약서나 공식 문서(영문)를 찾아 ‘contingent upon’과 같은 조건부 조항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 조건과 결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문장 구조(예: If절, Unless절)를 함께 복습하여 표현의 폭을 넓혀보세요.
실천 계획 제안:
- 오늘 배운 ‘contingent upon’ 표현과 예문들을 다시 한번 소리 내어 읽어보세요.
- 자신의 상황(업무, 학업, 개인 계획 등)에 맞춰 ‘contingent upon’을 사용한 문장을 3개 이상 직접 만들어 보세요.
- 다음 영어 대화나 글쓰기 기회에 ‘contingent upon’ 또는 관련 표현(예: depends on, conditional on)을 의식적으로 한번 사용해 보세요!
조건을 명확히 표현하는 것은 성공적인 소통의 핵심이에요. 꾸준히 연습해서 ‘contingent upon’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여러분이 되기를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