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e to Terms With: 어려운 상황을 받아들이는 영어 표현 마스터하기
살다 보면 예상치 못한 어려움이나 슬픔을 마주하게 될 때가 있죠. 받아들이기 힘든 현실 앞에서 좌절하거나 힘들어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그 감정에 머물러 있을 수는 없겠죠. 걱정 마세요! 이런 힘든 상황을 받아들이고 마음의 평화를 찾아가는 과정을 영어로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요. 이 글을 통해 어려운 상황을 수용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는 핵심 표현 ‘come to terms with’와 다양한 관련 영어 문장들을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차근차근 알아봅시다!
목차
- Come to terms with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1. ‘Accept’ vs. ‘Come to terms with’
- 2. 유사 표현: Reconcile oneself to, Make peace with
- 3. 적응과 대처: Adjust to, Cope with, Deal with
- Come to terms with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감정적 처리 (Emotional Processing)
- 2. 인지적 수용 (Cognitive Acceptance)
- 3. 점진적 과정 (Gradual Process)
- 4. 새로운 균형 찾기 (Finding a New Equilibrium)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Come to terms with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어렵거나 슬픈 상황을 점진적으로 받아들이고 수용하게 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영어 표현은 바로 ‘come to terms with’입니다.
-
표현: Come to terms with
발음: [컴 투 텀스 위드]
뜻: ~을 받아들이다, ~와 타협하다, ~을 감수하다
이 표현은 단순히 ‘수락하다(accept)’는 의미를 넘어, 어려운 감정이나 상황과 씨름한 후 마침내 그것을 현실로 인정하고 심리적으로 적응해나가는 과정을 함축합니다. 갑작스러운 변화, 상실, 실망 등 정신적으로 힘든 경험을 겪은 후 마음의 안정을 찾아가는 뉘앙스를 전달할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Come to terms with’는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른 뉘앙스를 전달하는 표현들을 익혀두면 더욱 풍부하고 정확한 영어 구사가 가능해집니다. 여러 상황 속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현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1: 어려운 현실이나 변화를 받아들일 때
예상치 못한 소식이나 받아들이기 힘든 현실에 직면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It took him a long time to come to terms with his illness.
발음: [잇 툭 힘 어 롱 타임 투 컴 투 텀스 위드 히즈 일니스]
뜻: 그는 자신의 병을 받아들이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
표현: She is still coming to terms with her father’s death.
발음: [쉬 이즈 스틸 커밍 투 텀스 위드 허 파더스 데스]
뜻: 그녀는 아직 아버지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과정에 있습니다. -
표현: We need to come to terms with the fact that our plan failed.
발음: [위 니드 투 컴 투 텀스 위드 더 팩트 댓 아워 플랜 페일드]
뜻: 우리는 계획이 실패했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
표현: Learning to come to terms with disappointment is part of growing up.
발음: [러닝 투 컴 투 텀스 위드 디서포인트먼트 이즈 파트 오브 그로잉 업]
뜻: 실망감을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는 것은 성장 과정의 일부입니다.
상황 2: 감정적으로 힘든 상황에 적응할 때
상실감, 슬픔, 분노 등 강렬한 감정을 겪은 후 점차 안정을 찾아가는 과정을 묘사할 때 유용합니다.
-
표현: He’s struggling to come to terms with the breakup.
발음: [히즈 스트러글링 투 컴 투 텀스 위드 더 브레이크업]
뜻: 그는 이별을 받아들이기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
표현: Coming to terms with grief is a slow and personal process.
발음: [커밍 투 텀스 위드 그리프 이즈 어 슬로우 앤 퍼스널 프로세스]
뜻: 슬픔을 받아들이는 것은 느리고 개인적인 과정입니다. -
표현: It’s hard to come to terms with losing a close friend.
발음: [잇츠 하드 투 컴 투 텀스 위드 루징 어 클로스 프렌드]
뜻: 친한 친구를 잃는 것을 받아들이기는 어렵습니다. -
표현: They had to come to terms with the financial loss.
발음: [데이 해드 투 컴 투 텀스 위드 더 파이낸셜 로스]
뜻: 그들은 재정적 손실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상황 3: 새로운 상황이나 환경에 적응할 때
원치 않았거나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환경이나 조건에 점차 익숙해지고 적응하는 모습을 표현합니다.
-
표현: She eventually came to terms with living in a smaller apartment.
발음: [쉬 이벤추얼리 케임 투 텀스 위드 리빙 인 어 스몰러 아파트먼트]
뜻: 그녀는 결국 더 작은 아파트에 사는 것을 받아들였습니다. -
표현: Athletes must come to terms with the possibility of injury.
발음: [애슬리츠 머스트 컴 투 텀스 위드 더 파서빌리티 오브 인저리]
뜻: 운동선수들은 부상의 가능성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
표현: It takes time to come to terms with major life changes.
발음: [잇 테익스 타임 투 컴 투 텀스 위드 메이저 라이프 체인지스]
뜻: 중대한 삶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데는 시간이 걸립니다. -
표현: He had to come to terms with the fact that he wouldn’t be promoted.
발음: [히 해드 투 컴 투 텀스 위드 더 팩트 댓 히 우든트 비 프로모티드]
뜻: 그는 자신이 승진하지 못할 것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했습니다.
상황 4: 자신의 한계나 실수를 인정할 때
자신의 능력 부족이나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상황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
표현: I need to come to terms with my own limitations.
발음: [아이 니드 투 컴 투 텀스 위드 마이 오운 리미테이션스]
뜻: 나는 내 자신의 한계를 받아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
표현: Coming to terms with past mistakes helps you move forward.
발음: [커밍 투 텀스 위드 패스트 미스테익스 헬프스 유 무브 포워드]
뜻: 과거의 실수를 받아들이는 것은 당신이 앞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표현: She finally came to terms with the choices she made.
발음: [쉬 파이널리 케임 투 텀스 위드 더 초이시스 쉬 메이드]
뜻: 그녀는 마침내 자신이 내린 선택들을 받아들였습니다.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Come to terms with’를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아두면 좋습니다. 이 표현은 감정적인 무게를 지니고 있으므로, 사용하는 상황과 맥락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시간이 필요한 과정임을 인지하기: ‘Come to terms with’는 순간적인 결정이나 수락이 아니라, 시간이 걸리는 점진적인 과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It takes time to come to terms with…” 또는 “He is still coming to terms with…” 와 같이 과정의 지속성을 나타내는 표현과 자주 함께 쓰입니다.
- 주로 부정적이거나 어려운 상황에 사용: 이 표현은 주로 질병, 죽음, 실패, 상실, 실망 등 개인이 받아들이기 힘든 부정적인 상황이나 원치 않는 변화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됩니다. 긍정적인 상황에는 잘 쓰이지 않습니다.
- ‘Accept’와의 미묘한 차이 이해하기: ‘Accept’는 단순히 사실을 인정하거나 받아들이는 행위를 의미할 수 있지만, ‘come to terms with’는 그 과정에 감정적인 씨름과 심리적 적응이 포함되어 있다는 뉘앙스가 강합니다. 힘든 감정을 극복하고 현실을 수용하게 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 주어는 주로 사람: 이 표현의 주어는 감정을 느끼고 상황을 받아들이는 주체인 사람이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 I, You, He, She, They, We 등)
- ‘With’ 뒤에는 명사(구) 또는 that 절: ‘Come to terms with’ 다음에는 받아들이는 대상이 명사(구) 형태로 오거나 (예: his illness, the situation, the loss), ‘the fact that + 절’의 형태로 구체적인 사실이 올 수 있습니다. (예: come to terms with the fact that he failed)
- 공감과 이해를 표현할 때 활용: 다른 사람이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을 때, 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I understand it must be hard to come to terms with…” 와 같이 위로와 지지를 표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기: 스스로 힘든 상황을 겪고 있다면, “I’m still trying to come to terms with what happened.” 와 같이 자신의 감정과 상태를 솔직하게 표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의 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상황 설명: Alex는 최근 다니던 회사에서 예상치 못하게 해고 통보를 받았습니다. 친구인 Ben이 Alex를 위로하며 대화를 나누는 상황입니다.
역할:
- A: Alex (해고 통보를 받은 사람)
- B: Ben (Alex의 친구)
-
표현: B: Hey Alex, I heard the news. I’m so sorry about your job. How are you holding up?
발음: [헤이 알렉스, 아이 허드 더 뉴스. 아임 쏘 쏘리 어바웃 유어 잡. 하우 아 유 홀딩 업?]
뜻: 이봐 알렉스, 소식 들었어. 네 직장 일 정말 유감이다. 어떻게 지내고 있어? -
표현: A: Thanks, Ben. To be honest, I’m still in shock. It all happened so suddenly.
발음: [땡스, 벤. 투 비 어니스트, 아임 스틸 인 쇼크. 잇 올 해픈드 쏘 서든리.]
뜻: 고마워, 벤. 솔직히 말하면, 아직도 충격이야. 너무 갑작스럽게 일어났어. -
표현: B: I can only imagine. It must be incredibly difficult to process.
발음: [아이 캔 온리 이매진. 잇 머스트 비 인크레더블리 디피컬트 투 프로세스.]
뜻: 상상만 할 수 있을 뿐이야. 받아들이기 정말 힘들겠지. -
표현: A: Yeah, it is. I’m really struggling to come to terms with it. I loved that job, and I didn’t see this coming at all.
발음: [예, 잇 이즈. 아임 리얼리 스트러글링 투 컴 투 텀스 위드 잇. 아이 러브드 댓 잡, 앤 아이 디든트 씨 디스 커밍 앳 올.]
뜻: 응, 그래. 이걸 받아들이려고 정말 애쓰고 있어. 그 일을 정말 좋아했고, 전혀 예상하지 못했거든. -
표현: B: It’s completely understandable that you feel that way. Give yourself time. There’s no rush to figure everything out right now.
발음: [잇츠 컴플리틀리 언더스탠더블 댓 유 필 댓 웨이. 기브 유어셀프 타임. 데어즈 노 러쉬 투 피겨 에브리띵 아웃 라잇 나우.]
뜻: 그렇게 느끼는 건 전적으로 이해돼. 스스로에게 시간을 줘. 지금 당장 모든 걸 해결하려고 서두를 필요 없어. -
표현: A: I know, but it’s hard not to worry about the future. Finding a new job in this market… it feels overwhelming.
발음: [아이 노우, 벗 잇츠 하드 낫 투 워리 어바웃 더 퓨처. 파인딩 어 뉴 잡 인 디스 마켓… 잇 필즈 오버웰밍.]
뜻: 알아, 하지만 미래에 대해 걱정하지 않기가 힘들어. 이 시장에서 새 직장을 구하는 거… 벅차게 느껴져. -
표현: B: Take it one step at a time, Alex. First, just focus on coming to terms with the situation emotionally. Let yourself feel whatever you need to feel.
발음: [테이크 잇 원 스텝 앳 어 타임, 알렉스. 퍼스트, 저스트 포커스 온 커밍 투 텀스 위드 더 시추에이션 이모셔널리. 렛 유어셀프 필 왓에버 유 니드 투 필.]
뜻: 한 번에 한 걸음씩 나아가, 알렉스. 우선, 감정적으로 상황을 받아들이는 데 집중해. 네가 느껴야 할 감정들을 느끼도록 내버려 둬. -
표현: A: You’re right. It’s just difficult to accept that this chapter is closed. I guess I need to make peace with it somehow.
발음: [유아 라잇. 잇츠 저스트 디피컬트 투 억셉트 댓 디스 챕터 이즈 클로즈드. 아이 게스 아이 니드 투 메이크 피스 위드 잇 섬하우.]
뜻: 네 말이 맞아. 이 장이 끝났다는 걸 받아들이기가 그냥 어려워. 어떻게든 이것과 화해해야 할 것 같아. -
표현: B: Exactly. And remember, I’m here for you. If you need anything, just let me know. We can grab coffee or just talk whenever you need.
발음: [이그잭틀리. 앤 리멤버, 아임 히어 포 유. 이프 유 니드 애니띵, 저스트 렛 미 노우. 위 캔 그랩 커피 오어 저스트 톡 웨네버 유 니드.]
뜻: 바로 그거야. 그리고 기억해, 내가 네 곁에 있다는 걸. 뭐든 필요하면 그냥 알려줘. 필요할 때 언제든 커피를 마시거나 그냥 이야기할 수 있어. -
표현: A: Thanks, Ben. That really means a lot. It helps knowing I’m not alone in this.
발음: [땡스, 벤. 댓 리얼리 민즈 어 랏. 잇 헬프스 노잉 아임 낫 얼론 인 디스.]
뜻: 고마워, 벤. 정말 큰 힘이 돼. 혼자가 아니라는 걸 아는 게 도움이 돼.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Holding up: “How are you holding up?”은 힘든 상황에 있는 사람에게 “어떻게 견디고 있니?”, “괜찮니?”라고 안부를 묻는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 Struggling to come to terms with: ‘Come to terms with’ 앞에 ‘struggling to’를 붙여 ‘받아들이기 위해 애쓰고 있다’,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의미를 강조했습니다. 현재 진행형(~ing)을 사용하여 아직 과정 중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 Didn’t see this coming: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는 의미의 관용적인 표현입니다. 갑작스러운 사건에 대한 놀라움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Make peace with: ‘Come to terms with’와 유사한 의미로, 어려운 상황이나 과거의 일에 대해 더 이상 괴로워하지 않고 마음의 평화를 찾는다는 뜻입니다. 감정적인 수용과 화해의 느낌이 강합니다.
- Take it one step at a time: “한 번에 한 걸음씩 차근차근 해나가라”는 조언으로, 벅찬 상황에 압도당하지 말고 천천히 단계를 밟아 나아가라는 격려의 표현입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Come to terms with’ 외에도 수용, 적응, 화해의 과정을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들이 있습니다.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이해하고 활용하면 더욱 정교한 영어 표현이 가능해집니다.
1. ‘Accept’ vs. ‘Come to terms with’
‘Accept’는 어떤 사실, 상황, 제안 등을 ‘받아들이다’, ‘수락하다’는 일반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때로 감정적인 저항 없이 비교적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 accept your apology.” (사과를 받아들입니다.) 처럼요. 반면, ‘come to terms with’는 앞서 설명했듯이, 어렵거나 불쾌한 상황에 대한 감정적인 저항과 씨름 끝에 마침내 그것을 현실로 인정하고 심리적으로 적응하는 과정을 내포합니다.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내면의 변화를 강조하죠. 따라서 슬픔, 상실, 실패와 같은 깊은 감정이 동반되는 상황에서는 ‘come to terms with’가 더 적절한 경우가 많습니다.
-
표현 (Accept): He quickly accepted the job offer.
발음: [히 퀴클리 억셉티드 더 잡 오퍼]
뜻: 그는 빠르게 그 일자리 제안을 수락했습니다. (단순 수락) -
표현 (Come to terms with): It took her months to come to terms with the end of her marriage.
발음: [잇 툭 허 먼쓰스 투 컴 투 텀스 위드 디 엔드 오브 허 매리지]
뜻: 그녀는 결혼 생활의 끝을 받아들이는 데 몇 달이 걸렸습니다. (감정적 과정 포함)
2. 유사 표현: Reconcile oneself to, Make peace with
‘Reconcile oneself to something’은 원하지 않거나 불쾌한 상황이지만 어쩔 수 없음을 깨닫고 그것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체념과 수용의 느낌이 있습니다. ‘Make peace with something’은 과거의 불쾌한 경험이나 현재의 어려운 상황에 대해 더 이상 분노하거나 괴로워하지 않고 마음의 평화를 찾는다는 의미입니다. 감정적인 해소와 화해에 초점을 맞춥니다.
-
표현 (Reconcile oneself to): He had to reconcile himself to the fact that he would never be a professional musician.
발음: [히 해드 투 레컨사일 힘셀프 투 더 팩트 댓 히 우드 네버 비 어 프로페셔널 뮤지션]
뜻: 그는 자신이 결코 프로 음악가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만 했습니다. (체념적 수용) -
표현 (Make peace with): After years of anger, she finally made peace with her past.
발음: [애프터 이어즈 오브 앵거, 쉬 파이널리 메이드 피스 위드 허 패스트]
뜻: 수년간의 분노 끝에, 그녀는 마침내 자신의 과거와 화해했습니다. (감정적 화해)
3. 적응과 대처: Adjust to, Cope with, Deal with
‘Adjust to something’은 새로운 상황이나 환경에 익숙해지고 적응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Come to terms with’가 감정적 수용에 더 가깝다면, ‘adjust to’는 행동이나 생활 방식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Cope with something’과 ‘Deal with something’은 어려운 상황이나 문제에 대처하고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감정적인 수용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Cope with’는 감정적인 어려움에 대처하는 뉘앙스가 조금 더 강하고, ‘Deal with’는 문제 자체를 처리하고 해결하는 느낌이 강합니다.
-
표현 (Adjust to): It took some time to adjust to the new work schedule.
발음: [잇 툭 섬 타임 투 어저스트 투 더 뉴 워크 스케줄]
뜻: 새로운 근무 일정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행동/환경 적응) -
표현 (Cope with): She is learning to cope with the stress of her demanding job.
발음: [쉬 이즈 러닝 투 코프 위드 더 스트레스 오브 허 디맨딩 잡]
뜻: 그녀는 힘든 직업의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법을 배우고 있습니다. (감정/어려움 대처) -
표현 (Deal with): We need to deal with this problem before it gets worse.
발음: [위 니드 투 딜 위드 디스 프라블럼 비포 잇 겟츠 워스]
뜻: 우리는 이 문제가 더 심각해지기 전에 처리해야 합니다. (문제 처리/해결)
Come to terms with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Come to terms with’라는 표현이 담고 있는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그 핵심 요소들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 과정을 이해하면 표현을 더욱 정확하고 공감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감정적 처리 (Emotional Processing)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감정적인 측면입니다.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우리는 충격, 부정, 분노, 슬픔 등 다양한 감정을 경험합니다. ‘Come to terms with’는 이러한 힘든 감정들을 외면하거나 억누르지 않고, 직면하고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단순히 이성적으로 상황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 감정적으로 그 상황을 소화하고 받아들이는 시간이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 머리로는 그 사실을 알지만 마음으로 받아들이기까지는 슬픔과 고통을 겪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 감정적 처리 과정이 ‘come to terms with’의 핵심입니다.
2. 인지적 수용 (Cognitive Acceptance)
감정적 처리와 함께 인지적인 수용, 즉 상황을 현실로 인정하고 이해하는 과정도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왜 나에게 이런 일이?” 또는 “이건 사실이 아닐 거야”라고 생각하며 현실을 부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그것이 바꿀 수 없는 현실임을 점차 깨닫게 됩니다. ‘Come to terms with’는 이러한 인지적 변화, 즉 현실에 대한 이해와 수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는 더 이상 현실과 싸우지 않고, 주어진 상황 안에서 어떻게 나아갈지 생각하는 단계로 이동하는 기반이 됩니다.
3. 점진적 과정 (Gradual Process)
‘Come to terms with’는 하룻밤 사이에 일어나는 사건이 아니라, 시간이 걸리는 점진적인 과정입니다. 사람마다, 상황마다 걸리는 시간은 다르며, 때로는 괜찮아졌다가 다시 힘들어지는 과정을 반복하기도 합니다. 이 표현은 이러한 과정의 점진적인 특성을 잘 나타냅니다. “He is still coming to terms with…” 와 같이 현재 진행형으로 자주 사용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깨달음이나 해결보다는, 천천히 상황에 익숙해지고 마음의 평정을 찾아가는 여정을 의미합니다.
4. 새로운 균형 찾기 (Finding a New Equilibrium)
궁극적으로 ‘come to terms with’는 어려운 상황을 겪은 후 새로운 삶의 균형점을 찾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전과 똑같은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새로운 의미나 방향을 찾으며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심각한 부상으로 운동선수의 꿈을 접어야 했던 사람이 코치로서 새로운 길을 찾아 만족감을 느끼는 경우가 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상황 자체를 되돌릴 수는 없지만, 그 상황을 자신의 삶의 일부로 통합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힘든 일을 겪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과정은 누구에게나 쉽지 않죠. 하지만 그 과정을 영어로 표현하는 것은 오늘 배운 ‘come to terms with’와 관련 표현들을 통해 충분히 가능해요! 이 표현은 단순히 ‘받아들이다’는 뜻을 넘어, 어려운 감정을 겪어내고 현실과 화해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깊은 의미를 담고 있답니다.
처음에는 이 표현들이 조금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오늘 살펴본 다양한 예문과 상황들을 떠올리며 조금씩 사용해보세요. 영화나 드라마에서 이 표현이 어떻게 쓰이는지 귀 기울여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거예요! 중요한 것은 완벽하게 사용하려는 부담감보다는, 자신의 감정이나 다른 사람의 상황을 이해하고 표현하려는 마음가짐이랍니다.
다음 단계 제안:
- 오늘 배운 표현들을 사용하여 자신이나 주변 사람이 겪었던 어려움을 받아들이는 과정에 대해 짧은 글을 써보세요.
- ‘Accept’, ‘Reconcile oneself to’, ‘Make peace with’ 등 유사 표현과의 미묘한 차이를 생각하며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 영어 뉴스 기사나 블로그 글에서 ‘come to terms with’가 사용된 실제 사례를 찾아 문맥 속 의미를 파악해보세요.
실천 계획 제안:
- 1단계 (인지): ‘Come to terms with’의 핵심 의미(감정적 처리 + 인지적 수용 + 점진적 과정)를 다시 한번 되새깁니다.
- 2단계 (연습): 제시된 예문들을 소리 내어 읽어보며 발음과 뉘앙스에 익숙해집니다.
- 3단계 (적용): 일상 대화나 글쓰기에서 비슷한 상황이 생겼을 때 의식적으로 ‘come to terms with’ 또는 관련 표현을 사용해 봅니다. 처음에는 어색해도 괜찮아요!
- 4단계 (피드백): 주변의 원어민 친구나 선생님에게 자신이 사용한 표현이 자연스러웠는지 물어보고 피드백을 받습니다.
힘든 감정을 표현하고 수용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영어 실력 향상뿐만 아니라, 감정을 건강하게 다루는 데도 도움이 될 거예요. 오늘 배운 표현들을 통해 여러분의 영어 표현이 더욱 풍부해지고, 어려운 상황을 마주했을 때 자신감을 가지고 소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꾸준히 연습하면 분명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 될 거예요.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