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e by 완벽 마스터: ‘얻다’와 ‘들르다’ 영어로 자연스럽게 말하기
혹시 “이거 어디서 났어?” 혹은 “잠깐 들를 수 있어?” 같은 말을 영어로 하려 할 때 ‘come by’라는 표현을 들어보셨나요? 이 간단해 보이는 구문이 실제로는 ‘얻다’, ‘획득하다’부터 ‘잠깐 방문하다’까지 다양한 의미로 쓰인다는 사실! 때로는 헷갈릴 수 있지만, 정확한 쓰임새를 알면 영어 실력이 한층 더 자연스러워질 수 있습니다. 걱정 마세요! 이 글을 통해 ‘come by’의 다양한 의미와 활용법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쉽고 체계적으로 알려드릴게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come by’의 세계로 떠나볼까요?
목차
- ‘Come by’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무언가를 얻거나 획득할 때 (Obtaining/Acquiring Something)
- 어딘가에 잠깐 들르거나 방문할 때 (Visiting/Dropping By)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1. ‘얻다/획득하다’ 관련 유사 표현
- 2. ‘들르다/방문하다’ 관련 유사 표현
- 3. ‘Come by’ 사용 시 문화적 고려사항
- ‘Come by’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동사 ‘Come’의 역할
- 2. 전치사 ‘By’의 역할
- 3. ‘Come’과 ‘By’의 결합: 의미 생성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Come by’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Come by’는 문맥에 따라 크게 두 가지 핵심 의미로 사용됩니다. 첫 번째는 무언가를 ‘얻거나 획득하다’, 두 번째는 어딘가에 ‘잠깐 들르다’ 또는 ‘방문하다’입니다. 이 두 가지 의미를 대표하는 핵심 표현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
표현: come by
발음: [컴 바이]
뜻: (무언가를) 얻다, 획득하다; (어딘가에) 잠깐 들르다, 방문하다
이 표현은 일상 대화에서 정말 자주 등장합니다. 무언가를 어떻게 손에 넣었는지 물어볼 때나, 친구에게 집에 잠깐 들르라고 제안할 때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죠. ‘Come by’의 정확한 의미는 문맥 속에서 파악해야 하므로, 다양한 예문을 통해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Come by’는 상황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집니다. 여기서는 ‘얻다/획득하다’의 의미와 ‘들르다/방문하다’의 의미로 나누어 다양한 예문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무언가를 얻거나 획득할 때 (Obtaining/Acquiring Something)
주로 구하기 어려운 것을 우연히 또는 노력해서 얻게 되었을 때 사용합니다. 어떻게 그것을 손에 넣었는지 궁금할 때 자주 쓰이는 표현들을 익혀봅시다.
-
표현: How did you come by this antique watch?
발음: [하우 디쥬 컴 바이 디스 앤틱 와치?]
뜻: 이 골동품 시계는 어떻게 구하셨어요? -
표현: Good jobs are hard to come by these days.
발음: [굿 잡스 아 하드 투 컴 바이 디즈 데이즈.]
뜻: 요즘 좋은 일자리를 구하기가 어려워요. -
표현: I came by some useful information quite by chance.
발음: [아이 케임 바이 썸 유스풀 인포메이션 콰잇 바이 챈스.]
뜻: 저는 꽤 우연히 유용한 정보를 좀 얻게 되었어요. -
표현: It’s unclear how he came by such a large sum of money.
발음: [잇츠 언클리어 하우 히 케임 바이 서치 어 라지 섬 오브 머니.]
뜻: 그가 어떻게 그렇게 큰 돈을 손에 넣었는지 불분명해요. -
표현: Tickets for the concert were difficult to come by.
발음: [티켓츠 포 더 콘서트 워 디피컬트 투 컴 바이.]
뜻: 그 콘서트 표는 구하기 어려웠어요. -
표현: She came by her artistic talent naturally.
발음: [쉬 케임 바이 허 아티스틱 탤런트 내추럴리.]
뜻: 그녀는 예술적 재능을 자연스럽게 타고났어요. (얻게 되었어요) -
표현: How did you come by that scar on your arm?
발음: [하우 디쥬 컴 바이 댓 스카 온 유어 암?]
뜻: 팔에 있는 그 흉터는 어떻게 생겼어요? (얻게 되었어요?)
어딘가에 잠깐 들르거나 방문할 때 (Visiting/Dropping By)
격식 없이 짧게 방문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친구 집이나 사무실 등에 잠깐 들를 때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Why don’t you come by my office later?
발음: [와이 돈츄 컴 바이 마이 오피스 레이터?]
뜻: 나중에 제 사무실에 잠깐 들르지 않으실래요? -
표현: I’ll come by your place after work.
발음: [아일 컴 바이 유어 플레이스 애프터 워크.]
뜻: 퇴근 후에 너희 집에 들를게. -
표현: Feel free to come by anytime you’re in the neighborhood.
발음: [필 프리 투 컴 바이 애니타임 유어 인 더 네이버후드.]
뜻: 이 근처에 오시면 언제든 편하게 들르세요. -
표현: Can you come by the store and pick up some milk?
발음: [캔 유 컴 바이 더 스토어 앤 픽 업 썸 밀크?]
뜻: 가게에 잠깐 들러서 우유 좀 사다 줄 수 있어? -
표현: He promised to come by for a quick chat.
발음: [히 프라미스드 투 컴 바이 포 어 퀵 챗.]
뜻: 그는 잠깐 들러서 이야기를 나누기로 약속했어요. -
표현: We should come by and see their new baby sometime.
발음: [위 슈드 컴 바이 앤 씨 데어 뉴 베이비 썸타임.]
뜻: 우리 언제 한번 들러서 그들의 새 아기를 봐야 해요. -
표현: Just wanted to come by and say hello.
발음: [저스트 워니드 투 컴 바이 앤 세이 헬로.]
뜻: 그냥 잠깐 들러서 인사하고 싶었어요. -
표현: Make sure to come by before you leave town.
발음: [메이크 슈어 투 컴 바이 비포 유 리브 타운.]
뜻: 도시를 떠나기 전에 꼭 들르세요.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Come by’를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아두면 좋습니다. 상황에 맞는 의미를 파악하고, 적절한 뉘앙스를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문맥이 핵심입니다: ‘Come by’의 의미는 전적으로 문맥에 달려 있습니다. 뒤에 장소(my office, your place)가 오면 ‘들르다’의 의미일 가능성이 높고, 얻기 어려운 대상(good jobs, antique watch)과 함께 쓰이면 ‘얻다/획득하다’의 의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항상 문장 전체를 보고 의미를 파악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 ‘얻다’의 뉘앙스: ‘Come by’를 ‘얻다’의 의미로 사용할 때는 주로 우연히 발견하거나, 구하기 어려운 것을 노력 끝에 얻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단순히 ‘사다(buy)’나 ‘받다(receive)’와는 다른 느낌을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How did you come by this information?”은 “이 정보를 어떻게 (어렵게/우연히) 알게 되었어?”라는 느낌입니다.
- ‘들르다’의 뉘앙스: ‘Come by’를 ‘들르다’의 의미로 사용할 때는 비교적 짧고 비공식적인 방문을 의미합니다. ‘Visit’보다 가볍고 일상적인 느낌을 줍니다. 친구에게 “Come by my place”라고 말하는 것은 “우리 집에 잠깐 놀러 와” 정도의 편안한 초대에 해당합니다.
- 과거형과 함께 자주 사용: ‘얻다’의 의미로 사용할 때는 과거에 어떻게 얻게 되었는지 묻거나 설명하는 경우가 많아 과거형 ‘came by’가 자주 쓰입니다. “I came by this book at a flea market.” (벼룩시장에서 이 책을 우연히 구했어.) 처럼 말이죠.
- 수동태로는 잘 쓰이지 않음: ‘Come by’는 주로 능동태로 사용됩니다. 특히 ‘얻다’의 의미일 경우, 주어가 무언가를 얻는 행위를 나타내므로 수동태 형태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 유사 표현과의 구분: ‘들르다’의 의미로는 ‘stop by’, ‘drop by’, ‘swing by’ 등 유사한 표현들이 있습니다. ‘Come by’는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의 위치로 ‘오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있는 곳으로 오라고 할 때 “Come by my office”라고 합니다. 반면 ‘stop by’나 ‘drop by’는 가는 길에 잠깐 들르는 느낌이 더 강할 수 있습니다.
- 부정문과의 사용: ‘얻다’의 의미로 쓰일 때, 구하기 어렵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부정문과 함께 자주 쓰입니다. “Opportunities like this don’t come by often.” (이런 기회는 자주 오지 않아.) 처럼 활용될 수 있습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상황: 친구 Alex가 희귀한 빈티지 레코드판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고, 친구 Ben이 어떻게 구했는지 궁금해하며 대화를 시작합니다. 이후 Ben이 Alex에게 자신의 집에 잠깐 들르라고 제안합니다.
-
표현: A (Ben): Wow, Alex! Is that the original pressing of ‘Blue Moon’? That’s incredibly rare!
발음: [와우, 알렉스! 이즈 댓 디 오리지널 프레싱 오브 ‘블루 문’? 대츠 인크레더블리 레어!]
뜻: 와, 알렉스! 그거 ‘블루 문’ 초판이야? 엄청 희귀한 건데! -
표현: B (Alex): Yeah, I know! I couldn’t believe my luck when I found it.
발음: [예아, 아이 노우! 아이 쿠든트 빌리브 마이 럭 웬 아이 파운드 잇.]
뜻: 응, 알아! 이걸 찾았을 때 내 행운을 믿을 수가 없었어. -
표현: A (Ben): Seriously, how did you come by it? I’ve been searching for that record for years.
발음: [시리어슬리, 하우 디쥬 컴 바이 잇? 아이브 빈 서칭 포 댓 레코드 포 이어즈.]
뜻: 진짜, 어떻게 구했어? 나 그 레코드판 몇 년 동안 찾아다녔는데. -
표현: B (Alex): You won’t believe this. I came by it completely by accident at a small flea market upstate. It was hidden in a box of old books.
발음: [유 원트 빌리브 디스. 아이 케임 바이 잇 컴플리틀리 바이 액시던트 앳 어 스몰 플리 마켓 업스테이트. 잇 워즈 히든 인 어 박스 오브 올드 북스.]
뜻: 믿지 못할걸. 북부 지방 작은 벼룩시장에서 완전히 우연히 발견했어. 오래된 책 상자 안에 숨겨져 있더라고. -
표현: A (Ben): No way! That’s amazing. Some people have all the luck. Good finds like that are so hard to come by.
발음: [노 웨이! 대츠 어메이징. 썸 피플 해브 올 더 럭. 굿 파인즈 라이크 댓 아 소 하드 투 컴 바이.]
뜻: 말도 안 돼! 대단하다. 운 좋은 사람들은 따로 있다니까. 그렇게 좋은 물건은 정말 구하기 어려운데. -
표현: B (Alex): Tell me about it. I almost didn’t even look in that box. So, what have you been up to?
발음: [텔 미 어바웃 잇. 아이 올모스트 디든트 이븐 룩 인 댓 박스. 쏘, 왓 해브 유 빈 업 투?]
뜻: 내 말이. 그 상자 안을 거의 들여다보지도 않을 뻔했어. 그래서, 넌 요즘 어떻게 지내? -
표현: A (Ben): Pretty busy with work. Hey, I just got a new sound system set up at my place.
발음: [프리티 비지 윋 워크. 헤이, 아이 저스트 갓 어 뉴 사운드 시스템 셋 업 앳 마이 플레이스.]
뜻: 일 때문에 꽤 바빴어. 아, 나 집에 새로운 사운드 시스템 설치했어. -
표현: B (Alex): Oh really? Nice! I’d love to check it out sometime.
발음: [오 리얼리? 나이스! 아이드 러브 투 첵 잇 아웃 썸타임.]
뜻: 오 진짜? 멋지다! 언제 한번 구경하고 싶네. -
표현: A (Ben): Why don’t you come by this evening? I’m free after 7. We can listen to some records, maybe even that ‘Blue Moon’ if you bring it!
발음: [와이 돈츄 컴 바이 디스 이브닝? 아임 프리 애프터 세븐. 위 캔 리슨 투 썸 레코즈, 메이비 이븐 댓 ‘블루 문’ 이프 유 브링 잇!]
뜻: 오늘 저녁에 잠깐 들르지 않을래? 나 7시 이후에 시간 괜찮아. 레코드판 좀 듣고, 네가 가져오면 그 ‘블루 문’도 들어볼 수 있겠네! -
표현: B (Alex): That sounds great! Okay, I’ll try to come by around 7:30. And yes, I’ll bring the record!
발음: [댓 사운즈 그레잇! 오케이, 아일 트라이 투 컴 바이 어라운드 세븐-써티. 앤 예스, 아일 브링 더 레코드!]
뜻: 그거 좋지! 알았어, 7시 반쯤 들르도록 해볼게. 그리고 응, 레코드판 가져갈게!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How did you come by it?: 이 문장은 “그것을 어떻게 얻었니/구했니?”라고 묻는 전형적인 표현입니다. 특히 구하기 어렵거나 예상치 못한 물건에 대해 물을 때 자주 사용됩니다. ‘get’이나 ‘obtain’보다 더 자연스럽게 들릴 수 있습니다.
- hard to come by: “구하기 어려운”, “찾기 힘든”이라는 의미의 관용적인 표현입니다. “Good jobs are hard to come by.” (좋은 일자리는 구하기 어렵다.) 처럼 주어 자리에 구하기 어려운 대상을 넣어 활용합니다.
- come by (visit): 대화 후반부에서 Ben이 “Why don’t you come by this evening?”이라고 말하며 Alex를 초대합니다. 여기서 ‘come by’는 ‘잠깐 들르다’, ‘방문하다’의 의미로 쓰였습니다. 친구에게 편하게 집에 오라고 할 때 매우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 came by it completely by accident: ‘come by’가 ‘얻다’는 의미로 쓰일 때, 종종 ‘by accident’ (우연히) 또는 ‘by chance’ (우연히)와 같은 부사구와 함께 사용되어 우연성을 강조합니다. 어떻게 얻게 되었는지 그 과정을 설명할 때 유용합니다.
- 뉘앙스 변화 확인: 이 대화에서는 ‘come by’가 처음에는 ‘얻다/획득하다’ (How did you come by it?), 그 다음에는 ‘들르다/방문하다’ (come by this evening)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동일한 구문이 문맥에 따라 어떻게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지 잘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Come by’ 외에도 ‘얻다’와 ‘들르다’의 의미를 전달하는 다양한 표현들이 있습니다.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사용하면 더욱 풍부한 영어 구사가 가능해집니다.
1. ‘얻다/획득하다’ 관련 유사 표현
‘Come by’가 우연성이나 어려움을 내포하는 경우가 많다면, 다른 단어들은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 Get: 가장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쓰이는 ‘얻다’입니다. 노력, 구매, 선물 등 다양한 방법으로 얻는 것을 포괄합니다. “Where did you get that shirt?” (그 셔츠 어디서 샀어/얻었어?)
- Obtain: ‘Get’보다 격식 있는 표현으로, 주로 노력이나 절차를 통해 무언가를 얻을 때 사용합니다. “You need to obtain a permit before starting construction.” (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Come by’의 ‘어렵게 얻다’는 뉘앙스와 비슷하게 쓰일 수도 있지만, ‘obtain’은 공식적인 획득 과정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Acquire: ‘Obtain’과 비슷하게 격식 있는 표현이며, 지식, 기술, 재산, 회사 등을 습득하거나 인수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The museum acquired a rare painting.” (그 박물관은 희귀한 그림을 입수했다.)
- Secure: 어렵게 경쟁을 통해 무언가를 확보하거나 얻어낼 때 사용합니다. “She managed to secure a contract with the company.” (그녀는 그 회사와의 계약을 간신히 따냈다.) ‘Come by’의 ‘어렵게 얻다’는 의미와 유사성이 있습니다.
2. ‘들르다/방문하다’ 관련 유사 표현
‘Come by’ 외에도 잠시 방문하는 것을 나타내는 다양한 구동사가 있습니다.
- Stop by: 가는 길이나 하던 일을 잠시 멈추고 어딘가에 들르는 느낌이 강합니다. “Can you stop by the grocery store on your way home?” (집에 오는 길에 식료품점에 들러줄 수 있어?)
- Drop by: 예고 없이, 또는 격식 없이 편하게 잠깐 들르는 느낌입니다. ‘Come by’와 매우 유사하게 쓰입니다. “Feel free to drop by whenever you want.” (원할 때 언제든 편하게 들러.)
- Swing by: ‘Stop by’나 ‘Drop by’와 비슷하지만, 좀 더 빠르고 가볍게 잠깐 들르는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활동적인 느낌을 더합니다. “I’ll swing by your office later to pick up the documents.” (나중에 서류 가지러 네 사무실에 잠깐 들를게.)
- Visit: 가장 일반적인 ‘방문하다’이지만, ‘come by’나 다른 구동사들보다는 조금 더 공식적이거나 계획된 방문의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물론 친구 집에 방문할 때도 쓸 수 있지만, ‘come by’ 등이 더 일상적이고 편한 느낌을 줍니다.
3. ‘Come by’ 사용 시 문화적 고려사항
‘Come by’를 사용하여 누군가를 초대할 때는 관계의 친밀도와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Come by my place anytime” (언제든 우리 집에 들러)은 매우 친한 사이에서 할 수 있는 편안한 초대입니다. 하지만 비즈니스 관계나 덜 친한 사이에서는 너무 격식 없어 보일 수 있으므로, “Would you like to visit our office sometime?” (언제 저희 사무실을 방문하시겠어요?) 또는 약속 시간을 정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얻다’의 의미로 사용할 때 “How did you come by…?”라고 묻는 것은 때때로 너무 직설적이거나 캐묻는 것처럼 들릴 수 있으니, 상대방과의 관계와 상황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돈이나 값비싼 물건의 출처를 물을 때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Come by’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Come by’라는 구동사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구성 요소와 그 결합이 만들어내는 의미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1. 동사 ‘Come’의 역할
‘Come’은 기본적으로 ‘오다’라는 이동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들르다/방문하다’라는 의미의 ‘come by’에서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있는 장소로의 이동, 즉 ‘이쪽으로 와서 들르다’라는 뉘앙스를 형성합니다. “Come by my house”는 ‘내 집으로 와서 들르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죠. ‘얻다/획득하다’의 의미에서도 이 ‘오다’의 개념이 확장되어, 어떤 물건이나 정보가 주어에게 ‘오게 되다’, 즉 수중에 들어오거나 알게 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전치사 ‘By’의 역할
전치사 ‘by’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지만, ‘come by’에서는 크게 두 가지 역할을 합니다.
- 근처/곁에 (Nearness): ‘By’는 ‘~의 곁에’, ‘~의 근처에’라는 위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Come by’가 ‘들르다’는 의미일 때, 이는 ‘어떤 장소 근처로 오다’ 또는 ‘잠시 곁에 머무르다’는 공간적 개념과 연결됩니다. 즉, 목적지에 완전히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잠시 그 근처에 와서 머무는, ‘잠깐 들르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 수단/방법/우연성 (Means/Agency/Chance): ‘By’는 어떤 일이 일어나게 된 수단이나 원인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Come by’가 ‘얻다/획득하다’는 의미일 때, 이 ‘by’는 그 물건이나 정보가 ‘어떤 경로를 통해’ 또는 ‘우연히’ 주어에게 왔음을 암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I came by it by chance” (나는 그것을 우연히 얻었다)처럼, ‘by’가 수단이나 우연성을 나타내는 다른 부사구와 함께 쓰이기도 합니다. 구하기 어려운 것을 얻었을 때, 그 과정이 일반적인 구매나 수령이 아님을 ‘by’가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3. ‘Come’과 ‘By’의 결합: 의미 생성
‘Come’ (오다)과 ‘By’ (곁에/수단을 통해)가 결합하면서 두 가지 주요 의미가 파생됩니다.
- Come (이동) + By (곁에) → 잠깐 들르다: 어떤 장소 ‘곁으로 와서’ 잠시 머무르는 행위. 이동(Come)과 근접성(By)이 결합하여 비공식적이고 짧은 방문을 의미하게 됩니다.
- Come (주어에게 오다) + By (수단/우연) → 얻다/획득하다: 어떤 대상이 특정 수단이나 우연(By)을 통해 주어에게 ‘오게 되는’ 상황. 대상이 주어에게 이동(Come)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며, 그 과정이 평범하지 않거나(어렵거나) 우연함을(By) 내포하게 됩니다.
이처럼 ‘come by’는 단순한 단어의 조합을 넘어, 각 요소의 의미가 결합하고 확장되면서 다층적인 의미를 지닌 유용한 구동사로 기능합니다. 문맥 속에서 이 두 가지 핵심 의미를 구분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이제 ‘come by’라는 표현이 더 이상 낯설거나 어렵게 느껴지지 않으실 거예요! ‘어떻게 구했는지’ 궁금할 때나 친구에게 ‘잠깐 들르라’고 말하고 싶을 때, 오늘 배운 표현들을 자신 있게 사용해 보세요. 처음에는 조금 어색할 수 있지만, 자꾸 사용하다 보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답니다!
기억하세요, ‘come by’는 문맥에 따라 ‘얻다/획득하다’ 또는 ‘들르다/방문하다’라는 두 가지 주요 의미로 쓰인다는 점! 특히 무언가를 ‘얻다’고 할 때는 구하기 어렵거나 우연히 얻게 된 뉘앙스를 풍기고, ‘들르다’고 할 때는 비공식적이고 짧은 방문을 의미한다는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오늘 배운 다양한 예문들을 소리 내어 읽어보고, 실제 대화에서 사용해 보려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멈추지 마시고, ‘come by’와 비슷한 다른 구동사들(‘stop by’, ‘drop by’, ‘get’, ‘obtain’ 등)과의 미묘한 차이점도 비교하며 학습해 보세요. 영어 공부는 꾸준함이 생명!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실생활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영어 실력 향상을 항상 응원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