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n’t help + 동명사 구문: 어쩔 수 없이 하는 행동 표현 영어로
나도 모르게 웃음이 터져 나오거나, 자꾸만 신경 쓰이는 일이 있을 때,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막막하셨나요? 의지와 상관없이 하게 되는 행동이나 감정을 표현하고 싶은데 적절한 단어나 문장이 떠오르지 않아 답답했던 경험, 다들 있으실 거예요. 걱정 마세요! 이럴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영어 구문이 있습니다. 바로 ‘can’t help + 동명사’ 구문인데요, 이 글을 통해 어쩔 수 없이 하게 되는 행동이나 느끼는 감정을 영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방법을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이 유용한 표현을 마스터해 보아요!
목차
- ‘어쩔 수 없이 ~하다’는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1. 감정을 주체할 수 없을 때
- 2. 습관적이거나 반복적인 행동을 멈출 수 없을 때
- 3. 특정 생각이나 느낌을 떨칠 수 없을 때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다이어트 중 간식 유혹
- 대화 속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1. ‘Can’t help but + 동사원형’ 상세 비교
- 2. ‘Can’t help it’의 다양한 활용
- 3. 유사 표현: ‘Can’t stop oneself from -ing’
- ‘Can’t help -ing’ 구문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Can’t’ (Cannot): 능력의 부재 또는 불가능성
- 2. ‘Help’: 돕다가 아닌 ‘피하다, 막다’의 의미
- 3. 동명사 (-ing): 어쩔 수 없이 하게 되는 ‘행동’ 또는 ‘감정’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어쩔 수 없이 ~하다’는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행동이나 감정을 나타낼 때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핵심 표현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이 표현 하나만 알아두어도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표현: can’t help + [verb]-ing
발음: [캔트 헬프 ~잉]
뜻: ~하지 않을 수 없다, 어쩔 수 없이 ~하다
이 구문은 ‘can’t help’ 뒤에 동사의 -ing 형태(동명사)를 사용하여, 특정 행동이나 감정을 억제하거나 피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웃음이나 눈물을 참을 수 없을 때, 특정 생각을 멈출 수 없을 때 등 다양한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됩니다. 일상 대화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표현이므로 꼭 기억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can’t help + 동명사’ 구문은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감정 표현, 습관적인 행동, 특정 상황에서의 반응 등 여러 맥락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구체적인 예문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감정을 주체할 수 없을 때
웃음, 눈물, 걱정 등 스스로 통제하기 어려운 감정이 밀려올 때 사용하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I can’t help laughing whenever I see that video.
발음: [아이 캔트 헬프 래핑 웨네버 아이 씨 댓 비디오]
뜻: 나는 그 비디오를 볼 때마다 웃지 않을 수가 없어. -
표현: She couldn’t help crying when she heard the sad news.
발음: [쉬 쿠든트 헬프 크라잉 웬 쉬 허드 더 새드 뉴스]
뜻: 그녀는 그 슬픈 소식을 들었을 때 울지 않을 수 없었다. -
표현: He can’t help feeling nervous before a big presentation.
발음: [히 캔트 헬프 필링 널버스 비포 어 빅 프레젠테이션]
뜻: 그는 중요한 발표 전에 긴장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
표현: We couldn’t help feeling disappointed with the result.
발음: [위 쿠든트 헬프 필링 디서포인티드 위드 더 리절트]
뜻: 우리는 그 결과에 실망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
표현: I can’t help worrying about the upcoming exam.
발음: [아이 캔트 헬프 워링 어바웃 디 업커밍 이그잼]
뜻: 다가오는 시험 때문에 걱정하지 않을 수가 없어.
2. 습관적이거나 반복적인 행동을 멈출 수 없을 때
나쁜 습관임을 알면서도 멈추기 어렵거나, 무의식적으로 반복하게 되는 행동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
표현: I can’t help checking my phone every five minutes.
발음: [아이 캔트 헬프 체킹 마이 폰 에브리 파이브 미닛츠]
뜻: 나는 5분마다 휴대폰을 확인하지 않을 수가 없어. -
표현: He can’t help biting his nails when he’s anxious.
발음: [히 캔트 헬프 바이팅 히즈 네일즈 웬 히즈 앵셔스]
뜻: 그는 불안할 때 손톱을 물어뜯지 않을 수 없다. -
표현: She can’t help snacking between meals, even though she’s on a diet.
발음: [쉬 캔트 헬프 스내킹 비트윈 밀즈, 이븐 도우 쉬즈 온 어 다이어트]
뜻: 그녀는 다이어트 중임에도 불구하고 식사 사이에 간식을 먹지 않을 수 없다. -
표현: They can’t help procrastinating on their assignments.
발음: [데이 캔트 헬프 프로크래스티네이팅 온 데어 어사인먼츠]
뜻: 그들은 과제를 미루지 않을 수 없다. -
표현: I can’t help humming this tune all day.
발음: [아이 캔트 헬프 허밍 디스 튠 올 데이]
뜻: 나는 하루 종일 이 멜로디를 흥얼거리지 않을 수가 없어.
3. 특정 생각이나 느낌을 떨칠 수 없을 때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 생각이나 떨쳐버릴 수 없는 느낌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
표현: I can’t help thinking about what happened yesterday.
발음: [아이 캔트 헬프 띵킹 어바웃 왓 해픈드 예스터데이]
뜻: 나는 어제 일어난 일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어. -
표현: She can’t help wondering if she made the right decision.
발음: [쉬 캔트 헬프 원더링 이프 쉬 메이드 더 라잇 디시전]
뜻: 그녀는 자신이 올바른 결정을 내렸는지 궁금해하지 않을 수 없다. -
표현: He couldn’t help feeling that something was wrong.
발음: [히 쿠든트 헬프 필링 댓 썸띵 워즈 롱]
뜻: 그는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느낌을 떨칠 수 없었다. -
표현: We can’t help comparing ourselves to others sometimes.
발음: [위 캔트 헬프 컴페어링 아워셀브즈 투 아더즈 썸타임즈]
뜻: 우리는 가끔 자신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지 않을 수 없다. -
표현: I can’t help imagining worst-case scenarios.
발음: [아이 캔트 헬프 이매지닝 워스트-케이스 시네리오즈]
뜻: 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상하지 않을 수가 없어.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can’t help + 동명사’ 구문을 더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려드립니다. 이 포인트들을 기억하면 실제 대화에서 자신감 있게 활용할 수 있을 거예요.
- 동명사(-ing) 형태 확인: ‘can’t help’ 뒤에는 반드시 동사의 -ing 형태(동명사)가 와야 합니다. ‘can’t help to laugh’ 나 ‘can’t help laugh’ 와 같은 형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예: I can’t help smiling. O / I can’t help to smile. X / I can’t help smile. X) 이 점은 가장 기본적인 규칙이므로 꼭 기억해야 합니다.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만드는 첫걸음입니다.
- 과거형 ‘couldn’t help’: 과거의 어쩔 수 없었던 행동이나 감정을 표현할 때는 ‘can’t’ 대신 ‘couldn’t’를 사용합니다. (예: Yesterday, I couldn’t help thinking about the project deadline.) 과거 시제를 표현할 때 자연스럽게 ‘couldn’t’로 바꿔서 사용하면 됩니다. 시제 일치를 통해 더 정확한 의미 전달이 가능해집니다.
- 주어 일치: 문장의 주어에 따라 ‘can’t help’를 사용합니다. ‘He’, ‘She’, ‘It’과 같은 3인칭 단수 주어라도 ‘can’t helps’와 같이 ‘s’를 붙이지 않습니다. 조동사 ‘can’의 부정형이므로 주어에 상관없이 형태는 동일합니다. (예: He can’t help feeling tired. O / He can’t helps feeling tired. X)
- 뉘앙스 이해: 이 표현은 자신의 행동이나 감정에 대한 통제력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때로는 변명처럼 들릴 수도 있으므로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중요한 회의 중에 웃음을 참지 못했다면, “I couldn’t help laughing”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가볍게 사과하는 표현을 덧붙이는 것이 좋습니다. (예: “I’m sorry, I couldn’t help laughing at that unexpected comment.”)
- ‘can’t help but + 동사원형’: ‘can’t help + 동명사’와 거의 같은 의미로 ‘can’t help but + 동사원형’ 형태도 사용됩니다. (예: I can’t help but agree with you. = I can’t help agreeing with you.) 둘 다 ‘어쩔 수 없이 ~하다’는 의미를 가지며, 사용 빈도는 ‘can’t help + 동명사’가 조금 더 높지만, ‘can’t help but + 동사원형’도 알아두면 표현의 폭을 넓힐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더 자연스러운 쪽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an’t help it’: 특정 행동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단순히 ‘어쩔 수 없다’고 말하고 싶을 때는 ‘I can’t help it.’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앞선 대화에서 어떤 행동이나 감정에 대해 이야기했을 때, 그것을 다시 반복하지 않고 간결하게 “나도 어쩔 수 없어.”라고 말하는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예: A: “Why are you laughing?” B: “I can’t help it! His face was too funny.”)
- 긍정적인 상황 vs 부정적인 상황: 이 구문은 긍정적인 감정(웃음, 기쁨)과 부정적인 감정(걱정, 슬픔), 그리고 중립적인 행동(습관) 모두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므로, 어떤 종류의 어쩔 수 없는 행동이나 감정을 표현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긍정: I can’t help smiling when I see puppies. / 부정: I can’t help worrying about the future.)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다이어트 중 간식 유혹
이번에는 ‘can’t help + 동명사’ 구문이 실제 대화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 친구 A와 그를 지켜보는 친구 B의 대화입니다.
-
표현: A: Oh, these cookies look so delicious. I know I shouldn’t…
발음: [오, 디즈 쿠키즈 룩 쏘 딜리셔스. 아이 노우 아이 슈든트…]
뜻: 아, 이 쿠키들 정말 맛있어 보인다. 안 먹어야 하는데… -
표현: B: Hey, I thought you were on a diet? Put them down!
발음: [헤이, 아이 똣 유 워 온 어 다이어트? 풋 뎀 다운!]
뜻: 이봐, 너 다이어트 중 아니었어? 그거 내려놔! -
표현: A: I know, I know. But I can’t help wanting just one. They smell amazing.
발음: [아이 노우, 아이 노우. 벗 아이 캔트 헬프 원팅 저스트 원. 데이 스멜 어메이징.]
뜻: 알아, 안다고. 하지만 딱 하나만 먹고 싶은 걸 어쩔 수가 없어. 냄새가 너무 좋잖아. -
표현: B: You said that yesterday about the chocolate cake. Remember?
발음: [유 세드 댓 예스터데이 어바웃 더 초콜릿 케이크. 리멤버?]
뜻: 너 어제 초콜릿 케이크 때도 똑같이 말했어. 기억나? -
표현: A: Did I? Oh dear. Well, I couldn’t help eating that piece either. It was calling my name!
발음: [디드 아이? 오 디어. 웰, 아이 쿠든트 헬프 이팅 댓 피스 이더. 잇 워즈 콜링 마이 네임!]
뜻: 내가 그랬나? 어머나. 음, 그 조각도 먹지 않을 수가 없었어. 그게 날 부르는 것 같았다고! -
표현: B: “Calling your name?” Seriously? You need more willpower.
발음: [“콜링 유어 네임?” 시리어슬리? 유 니드 모어 윌파워.]
뜻: “널 불렀다고?” 진심이야? 넌 의지력이 더 필요해. -
표현: A: It’s hard! When I see sweets, I can’t help thinking about how good they taste.
발음: [잇츠 하드! 웬 아이 씨 스위츠, 아이 캔트 헬프 띵킹 어바웃 하우 굿 데이 테이스트.]
뜻: 어려운 걸! 단 걸 보면, 얼마나 맛있을지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어. -
표현: B: Okay, okay. I get it. But try to resist. Maybe chew some gum instead?
발음: [오케이, 오케이. 아이 겟 잇. 벗 트라이 투 리지스트. 메이비 츄 썸 검 인스테드?]
뜻: 알았어, 알았어. 이해해. 그래도 참아보려고 노력해 봐. 대신 껌을 씹는 건 어때? -
표현: A: Hmm, maybe you’re right. It’s just… I can’t help feeling a little deprived.
발음: [음, 메이비 유아 라잇. 잇츠 저스트… 아이 캔트 헬프 필링 어 리틀 디프라이브드.]
뜻: 흠, 네 말이 맞을지도 몰라. 그냥… 약간 박탈감을 느끼지 않을 수가 없어. -
표현: B: Focus on your goal! Think about how great you’ll feel later. Don’t let those cookies win!
발음: [포커스 온 유어 골! 띵크 어바웃 하우 그레잇 유윌 필 레이터. 돈트 렛 도즈 쿠키즈 윈!]
뜻: 목표에 집중해! 나중에 얼마나 기분이 좋을지 생각해 봐. 저 쿠키한테 지지 마!
대화 속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I can’t help wanting…”: ‘want’라는 동사도 동명사 형태(-ing)로 사용하여 ‘원하지 않을 수 없다’는 의미를 표현했습니다. 특정 욕구를 참기 어려울 때 사용합니다.
- “I couldn’t help eating…”: 과거의 행동에 대해 ‘couldn’t help’를 사용하여 ‘먹지 않을 수 없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과거 시제 표현에 유의하세요.
- “I can’t help thinking…”: 특정 생각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을 때 사용하는 전형적인 예시입니다. 여기서는 맛있는 음식에 대한 생각이 계속 나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 “I can’t help feeling…”: 감정을 표현할 때 자주 쓰이는 패턴입니다. ‘deprived'(박탈당한)와 같은 감정 형용사 앞에 ‘feeling’을 넣어 ‘그런 감정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는 의미를 만듭니다.
- 구어적 표현 (“Calling my name!”): “그것이 날 부르고 있었다”는 것은 음식이 너무 유혹적이어서 참을 수 없었다는 것을 과장하여 표현하는 재미있는 방식입니다. 실제 대화에서 이런 비유적인 표현은 대화를 더 생동감 있게 만듭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can’t help + 동명사’ 구문 외에도 관련된 표현이나 알아두면 좋은 점들이 있습니다. 표현의 폭을 넓히고 더 정확한 뉘앙스를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Can’t help but + 동사원형’ 상세 비교
‘can’t help + 동명사’와 ‘can’t help but + 동사원형’은 의미상 거의 동일하지만, 약간의 뉘앙스 차이나 선호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can’t help + 동명사’는 감정이나 무의식적인 행동에 조금 더 자주 쓰이는 경향이 있고, ‘can’t help but + 동사원형’은 어떤 행동을 할 수밖에 없는 논리적 귀결이나 강한 충동을 나타낼 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서로 바꿔 써도 무방합니다.
-
표현 (동명사): I can’t help admiring her courage.
발음: [아이 캔트 헬프 어드마이어링 허 커리지]
뜻: 그녀의 용기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감정) -
표현 (but + 원형): I can’t help but admire her courage.
발음: [아이 캔트 헬프 벗 어드마이어 허 커리지]
뜻: 그녀의 용기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감탄할 수밖에 없음) -
표현 (동명사): He couldn’t help falling asleep during the lecture.
발음: [히 쿠든트 헬프 폴링 어슬립 듀어링 더 렉처]
뜻: 그는 강의 중에 잠들지 않을 수 없었다. (무의식적 행동) -
표현 (but + 원형): He couldn’t help but fall asleep during the lecture.
발음: [히 쿠든트 헬프 벗 폴 어슬립 듀어링 더 렉처]
뜻: 그는 강의 중에 잠들 수밖에 없었다. (피곤함 등의 이유로)
현대 영어에서는 ‘can’t help + 동명사’ 형태가 조금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두 가지 형태 모두 알아두면 원어민의 말을 이해하거나 자신의 표현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문법적으로는 둘 다 올바른 표현입니다.
2. ‘Can’t help it’의 다양한 활용
‘I can’t help it.’은 앞서 언급된 특정 행동이나 감정을 가리키며 ‘어쩔 수 없어.’라고 말하는 간결한 표현입니다. 이 외에도 ‘it’이 가리키는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상황 1: 친구가 자꾸 웃는 나에게 이유를 물을 때
-
표현: A: Why do you keep giggling?
발음: [와이 두 유 킵 기글링?]
뜻: 왜 자꾸 킥킥거려? -
표현: B: I don’t know! I just find this situation funny. I can’t help it!
발음: [아이 돈트 노우! 아이 저스트 파인드 디스 시츄에이션 퍼니. 아이 캔트 헬프 잇!]
뜻: 몰라! 그냥 이 상황이 웃겨. 나도 어쩔 수가 없어!
상황 2: 누군가 나의 특정 습관을 지적할 때
-
표현: A: You always tap your fingers on the table. It’s a bit distracting.
발음: [유 올웨이즈 탭 유어 핑거즈 온 더 테이블. 잇츠 어 빗 디스트랙팅.]
뜻: 넌 항상 테이블에 손가락을 까딱거려. 좀 신경 쓰여. -
표현: B: Oh, sorry. It’s a habit. I can’t help it.
발음: [오, 쏘리. 잇츠 어 해빗. 아이 캔트 헬프 잇.]
뜻: 아, 미안. 습관이야. 나도 어쩔 수가 없어.
이처럼 ‘I can’t help it.’은 문맥 속에서 ‘웃는 것’, ‘손가락을 까딱거리는 것’ 등 구체적인 행동을 대신하며, 자신의 통제 밖에 있는 일임을 인정하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3. 유사 표현: ‘Can’t stop oneself from -ing’
‘Can’t help -ing’과 매우 유사한 의미로 ‘can’t stop oneself from -ing’라는 표현도 있습니다. ‘스스로 ~하는 것을 멈출 수 없다’는 직역처럼, 어떤 행동을 멈추려는 의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 되지 않음을 강조하는 뉘앙스가 있습니다.
-
표현: I couldn’t stop myself from eating the whole bag of chips.
발음: [아이 쿠든트 스탑 마이셀프 프롬 이팅 더 홀 백 오브 칩스]
뜻: 나는 감자칩 한 봉지를 다 먹는 것을 멈출 수가 없었다. (≒ I couldn’t help eating…) -
표현: She couldn’t stop herself from smiling when she saw him.
발음: [쉬 쿠든트 스탑 허셀프 프롬 스마일링 웬 쉬 쏘 힘]
뜻: 그녀는 그를 보았을 때 미소 짓는 것을 멈출 수가 없었다. (≒ She couldn’t help smiling…)
이 표현은 ‘can’t help -ing’보다 행동을 멈추려는 시도나 내부적인 갈등이 조금 더 내포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주어에 맞춰 ‘myself’, ‘yourself’, ‘himself’, ‘herself’, ‘itself’, ‘ourselves’, ‘yourselves’, ‘themselves’와 같은 재귀대명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Can’t help -ing’ 구문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이 구문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구성 요소를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각 요소가 어떤 의미와 기능을 하는지 알면 구문의 본질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 ‘Can’t’ (Cannot): 능력의 부재 또는 불가능성
이 구문의 시작인 ‘can’t’는 ‘can not’의 축약형으로, 능력의 부재나 어떤 일을 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단순히 물리적인 능력이 없다는 의미를 넘어, 특정 행동이나 감정을 ‘억제할’ 능력이 없거나 ‘피할’ 수 없다는 의미로 확장됩니다. 즉, 의지력으로 통제할 수 없는 상황임을 내포합니다. ‘I can’t lift this box'(나는 이 상자를 들 수 없다)에서의 ‘can’t’는 물리적 능력의 부재이지만, ‘I can’t help laughing'(나는 웃지 않을 수 없다)에서의 ‘can’t’는 웃음을 억제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2. ‘Help’: 돕다가 아닌 ‘피하다, 막다’의 의미
일반적으로 ‘help’는 ‘돕다’라는 의미로 가장 많이 쓰이지만, ‘can’t help -ing’ 구문에서는 ‘피하다(avoid)’, ‘막다(prevent)’, ‘억제하다(refrain from)’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can’t help -ing’는 ‘~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또는 ‘~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특별한 의미의 ‘help’는 주로 부정문이나 의문문에서 ‘can’이나 ‘could’와 함께 쓰여 이러한 관용적인 표현을 만듭니다. 예를 들어, “It can’t be helped.”는 “어쩔 수 없는 일이다.”라는 의미로, 여기서도 ‘help’는 ‘피하다’ 또는 ‘막다’의 의미로 쓰였습니다.
3. 동명사 (-ing): 어쩔 수 없이 하게 되는 ‘행동’ 또는 ‘감정’
구문의 마지막 요소인 동명사(-ing 형태)는 ‘can’t help’의 대상이 되는 구체적인 행동이나 감정을 나타냅니다. ‘laughing'(웃는 것), ‘crying'(우는 것), ‘thinking'(생각하는 것), ‘eating'(먹는 것) 등 다양한 동사가 동명사 형태로 올 수 있습니다. 이 동명사가 바로 주어가 통제할 수 없이 하게 되는 그 ‘무엇’을 명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동명사는 동사의 성질을 가지면서 명사처럼 쓰이기 때문에, ‘can’t help’라는 동사구의 목적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자리에 동사원형이나 to부정사가 오면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이 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Can’t help + 동명사’는 [~하는 것을 피하거나 막을(help) 능력이 없다(can’t)]는 의미 구조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어쩔 수 없이 ~하게 되다’라는 뜻을 전달합니다. 각 구성 요소의 의미를 이해하면 이 구문이 왜 이런 뜻을 가지게 되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자, 이제 ‘can’t help + 동명사’ 구문에 대해 확실히 알게 되셨죠? 처음에는 조금 낯설게 느껴졌을지 몰라도, 오늘 배운 내용들을 차근차근 복습하고 예문들을 소리 내어 읽어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나도 모르게 나오는 웃음, 멈출 수 없는 생각, 참기 힘든 유혹 등 우리의 일상 속 ‘어쩔 수 없는’ 순간들을 영어로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게 된 것이랍니다!
이 표현을 마스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역시 직접 사용해보는 것이겠죠? 오늘부터 일상생활 속에서 ‘어쩔 수 없이 ~하게 되는’ 순간들을 영어로 한번 표현해보세요. 예를 들어, 재미있는 영상을 보고 웃음이 터졌을 때 “Oh, I can’t help laughing!”이라고 혼잣말을 해보거나, 자꾸만 간식이 생각날 때 “I can’t help thinking about snacks.”라고 일기에 적어보는 거예요. 작은 시도들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can’t help but + 동사원형’이나 ‘can’t stop oneself from -ing’ 같은 유사 표현들도 함께 연습해보면 표현력이 훨씬 풍부해질 거예요. 다양한 표현을 알고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영어 공부는 꾸준함이 생명!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감을 갖고 꾸준히 연습하셔서, 여러분의 감정과 생각을 영어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날이 오기를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