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머니 사정이 걱정될 때 쓰는 필수 영어 표현
갑자기 돈이 부족하거나 예산을 맞춰야 할 때, 영어로 어떻게 말해야 할지 막막했던 경험 있으신가요? 친구와 약속을 잡거나 쇼핑할 때, 재정 상황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해야 하는 순간들이 있죠. 하지만 돈 이야기는 민감할 수 있어서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고민될 수 있습니다. 걱정 마세요! 이 글에서는 여러분의 주머니 사정, 즉 재정 상황에 대해 자연스럽고 정중하게 말할 수 있는 다양한 영어 표현들을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라면 돈 문제 앞에서도 자신감 있게 영어로 소통할 수 있을 거예요!
목차
- ‘주머니 사정’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1. 돈이 부족하거나 예산이 빠듯할 때
- 2. 예산 관리 및 절약에 대해 이야기할 때
- 3. 지출 및 비용에 대해 논의할 때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친구와 주말 계획 세우기
- 대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1. 돈과 관련된 유용한 영어 관용구 (Idioms)
- 2. 돈에 대한 대화: 문화적 고려사항
- 3. Formal vs. Informal: 상황에 맞는 어휘 선택
-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수입(Income)과 지출(Expenses) 관련 어휘
- 2. 저축(Savings)과 투자(Investment) 관련 기본 용어
- 3. 가격 협상 및 할인 요청 시 유용한 표현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재정 상황 표현하기
‘주머니 사정’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개인의 재정 상태나 예산을 언급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핵심 단어 중 하나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이 단어는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
표현: Budget
발음: 버짓
뜻: 예산
‘Budget’은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돈의 총액 또는 특정 기간 동안의 수입과 지출 계획을 의미합니다. 자신의 재정적 한계를 설명하거나, 지출 계획에 대해 이야기할 때 매우 중요한 단어입니다. 이 단어를 사용하면 상대방에게 자신의 현재 재정 상황을 명확하게 전달하면서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재정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돈이 부족할 때, 예산을 관리할 때, 지출에 대해 이야기할 때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영어 문장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1. 돈이 부족하거나 예산이 빠듯할 때
현재 재정적으로 여유가 없거나 예산을 엄격하게 지켜야 하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I’m a bit short on cash right now.
발음: 아임 어 빗 쇼트 온 캐시 라잇 나우.
뜻: 지금 현금이 좀 부족해요. -
표현: I’m on a tight budget this month.
발음: 아임 온 어 타이트 버짓 디스 먼쓰.
뜻: 이번 달은 예산이 빠듯해요. -
표현: I need to watch my spending.
발음: 아이 니드 투 와치 마이 스펜딩.
뜻: 지출을 좀 신경 써야 해요. -
표현: Money is a little tight at the moment.
발음: 머니 이즈 어 리틀 타이트 앳 더 모먼트.
뜻: 지금 돈이 좀 부족해요. -
표현: I’m trying to save money, so I can’t afford that.
발음: 아임 트라잉 투 세이브 머니, 쏘 아이 캔트 어포드 댓.
뜻: 돈을 아끼려고 해서, 그걸 살 여유가 없어요.
2. 예산 관리 및 절약에 대해 이야기할 때
자신의 예산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또는 돈을 절약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설명할 때 유용한 표현들입니다.
-
표현: I’m trying to stick to my budget.
발음: 아임 트라잉 투 스틱 투 마이 버짓.
뜻: 제 예산을 지키려고 노력 중이에요. -
표현: We need to cut back on expenses.
발음: 위 니드 투 컷 백 온 익스펜시즈.
뜻: 우리는 지출을 줄여야 해요. -
표현: I’m looking for ways to save money.
발음: 아임 루킹 포 웨이즈 투 세이브 머니.
뜻: 돈을 절약할 방법을 찾고 있어요. -
표현: Let’s find a cheaper alternative.
발음: 렛츠 파인드 어 치퍼 얼터너티브.
뜻: 더 저렴한 대안을 찾아봐요. -
표현: I set aside some money for savings each month.
발음: 아이 셋 어사이드 썸 머니 포 세이빙스 이치 먼쓰.
뜻: 매달 저축을 위해 돈을 좀 떼어 놔요.
3. 지출 및 비용에 대해 논의할 때
물건 값이나 서비스 비용에 대해 묻거나, 특정 활동에 드는 비용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How much does it cost?
발음: 하우 머치 더즈 잇 코스트?
뜻: 이거 얼마예요? -
표현: Is there a cheaper option available?
발음: 이즈 데어 어 치퍼 옵션 어베일러블?
뜻: 더 저렴한 선택지가 있나요? -
표현: That’s a bit too expensive for me.
발음: 댓츠 어 빗 투 익스펜시브 포 미.
뜻: 저에게는 좀 너무 비싸네요. -
표현: Can we split the bill?
발음: 캔 위 스플릿 더 빌?
뜻: 계산서를 나눠서 낼까요? (더치페이 할까요?) -
표현: What’s included in the price?
발음: 왓츠 인클루디드 인 더 프라이스?
뜻: 가격에 무엇이 포함되어 있나요?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배운 표현들을 실제 대화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팁과 주의사항을 알려드립니다. 재정 상황에 대한 대화는 때로 민감할 수 있으므로, 상황과 상대방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솔직하지만 정중하게: 자신의 재정 상황을 밝혀야 할 때, “I’m on a tight budget” (예산이 빠듯해요) 또는 “I need to be careful with my spending” (지출에 신중해야 해요) 와 같이 솔직하면서도 정중한 표현을 사용하세요. 직접적으로 “I have no money” (돈 없어) 라고 말하는 것보다 부드러운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 대안 제시하기: 비싼 활동이나 식사를 제안받았을 때 거절해야 한다면, 단순히 거절하기보다 “That sounds fun, but it’s a bit out of my budget right now. How about we do [cheaper alternative] instead?” (재미있겠지만, 지금 제 예산을 좀 넘어서요. 대신 [더 저렴한 대안] 하는 건 어때요?) 와 같이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 ‘Split the bill’의 자연스러운 사용: 친구나 동료와 식사 후 비용을 나눠 낼 때는 “Can we split the bill?” 또는 “Let’s split it.” 이라고 편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계산서를 각자 계산하는 문화권에서는 매우 일반적인 표현입니다.
- 가격 문의 시 명확하게: 상점에서 가격을 물을 때는 “How much is this?” 또는 “What’s the price of this item?” 이라고 명확하게 질문하세요. 숨겨진 비용이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Are there any additional charges?” (추가 비용이 있나요?) 라고 물어볼 수 있습니다.
- 문화적 차이 이해하기: 돈에 대해 이야기하는 방식은 문화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어떤 문화권에서는 재정 상황에 대해 비교적 개방적으로 이야기하는 반면, 다른 문화권에서는 매우 사적인 주제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대화 상대방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고, 너무 개인적인 질문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긍정적인 태도 유지: 예산이 빠듯하다고 말할 때도 너무 부정적이거나 불평하는 듯한 어조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I’m focusing on saving money for [goal]” (저는 [목표]를 위해 돈을 모으는 데 집중하고 있어요) 와 같이 긍정적인 목표와 연결하여 이야기하면 더 좋습니다.
- 비언어적 신호 활용: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때는 표정이나 제스처를 함께 사용하여 의사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격을 듣고 놀란 표정을 짓거나, 지갑을 가리키며 살짝 고개를 젓는 등의 행동은 추가적인 설명 없이도 상황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친구와 주말 계획 세우기
A와 B 두 친구가 주말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B는 이번 달 예산이 빠듯한 상황입니다. 이 상황에서 어떻게 대화가 흘러가는지 살펴봅시다.
-
표현: A: Hey B, what are you doing this weekend? There’s a new fancy restaurant downtown I want to try.
발음: 헤이 비, 왓 아 유 두잉 디스 위켄드? 데어즈 어 뉴 팬시 레스토랑 다운타운 아이 원트 투 트라이.
뜻: 안녕 B, 이번 주말에 뭐 해? 시내에 새로 생긴 고급 레스토랑 가보고 싶은데. -
표현: B: Oh, that sounds nice, but I’m on a tight budget this month. Fancy restaurants are probably a bit too expensive for me right now.
발음: 오, 댓 사운즈 나이스, 벗 아임 온 어 타이트 버짓 디스 먼쓰. 팬시 레스토랑즈 아 프라버블리 어 빗 투 익스펜시브 포 미 라잇 나우.
뜻: 오, 좋겠다. 그런데 나 이번 달 예산이 좀 빠듯해서. 고급 레스토랑은 지금 나한테 좀 비쌀 것 같아. -
표현: A: Ah, I see. No worries at all! We don’t have to go there. How about we find a more casual place? Or maybe we could cook something together at home?
발음: 아, 아이 씨. 노 워리즈 앳 올! 위 돈 해브 투 고 데어. 하우 어바웃 위 파인드 어 모어 캐주얼 플레이스? 오어 메이비 위 쿠드 쿡 썸띵 투게더 앳 홈?
뜻: 아, 그렇구나. 전혀 걱정 마! 꼭 거기 갈 필요는 없지. 좀 더 편한 곳을 찾아보는 건 어때? 아니면 집에서 같이 요리하는 건? -
표현: B: Cooking at home sounds great! That way, we can watch our spending and still have a good time. What should we make?
발음: 쿠킹 앳 홈 사운즈 그레잇! 댓 웨이, 위 캔 와치 아워 스펜딩 앤 스틸 해브 어 굿 타임. 왓 슈드 위 메이크?
뜻: 집에서 요리하는 거 좋다! 그러면 우리 지출도 신경 쓸 수 있고 즐거운 시간도 보낼 수 있잖아. 뭐 만들까? -
표현: A: How about pasta? We can grab the ingredients from the supermarket. It shouldn’t be too costly.
발음: 하우 어바웃 파스타? 위 캔 그랩 디 인그리디언츠 프롬 더 슈퍼마켓. 잇 슈든트 비 투 코스틀리.
뜻: 파스타 어때? 슈퍼마켓에서 재료 사면 되잖아. 그렇게 비싸지 않을 거야. -
표현: B: Perfect! I can bring some snacks too. Let’s split the cost of the ingredients.
발음: 퍼펙트! 아이 캔 브링 썸 스낵스 투. 렛츠 스플릿 더 코스트 오브 디 인그리디언츠.
뜻: 완벽해! 내가 간식도 좀 가져갈게. 재료비는 나눠서 내자. -
표현: A: Sounds like a plan! So, pasta night at my place on Saturday?
발음: 사운즈 라이크 어 플랜! 쏘, 파스타 나잇 앳 마이 플레이스 온 새터데이?
뜻: 좋은 계획이야! 그럼 토요일에 우리 집에서 파스타 파티? -
표현: B: Yes! I’m looking forward to it. Thanks for understanding about the budget thing.
발음: 예스! 아임 루킹 포워드 투 잇. 땡스 포 언더스탠딩 어바웃 더 버짓 띵.
뜻: 응! 기대된다. 예산 문제 이해해줘서 고마워. -
표현: A: Of course! Friends help each other out. The important thing is spending time together.
발음: 오브 코스! 프렌즈 헬프 이치 아더 아웃. 디 임포턴트 띵 이즈 스펜딩 타임 투게더.
뜻: 당연하지! 친구 좋다는 게 뭐야. 중요한 건 함께 시간을 보내는 거지. -
표현: B: Definitely. See you on Saturday then!
발음: 데피니틀리. 씨 유 온 새터데이 덴!
뜻: 그럼. 그럼 토요일에 봐!
대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I’m on a tight budget this month.”: 이 표현은 자신의 재정적 제약을 직접적이면서도 정중하게 전달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tight’라는 단어가 ‘빠듯한’, ‘빡빡한’ 이라는 의미를 전달하여 상황을 명확히 해줍니다.
- “watch our spending”: ‘지출을 주시하다’, 즉 ‘지출에 신경 쓰다’ 또는 ‘절약하다’는 의미입니다. 돈을 아껴야 하는 상황을 부드럽게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Let’s split the cost”: ‘비용을 나누자’는 의미로, “Let’s split the bill”과 유사하게 사용됩니다. 식사 비용뿐만 아니라 재료비, 티켓값 등 공동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나눌 때 쓸 수 있는 유용한 표현입니다.
- 대안 제시의 중요성: A는 B의 상황을 듣고 즉시 더 저렴하거나 무료인 대안(캐주얼 식당, 집에서 요리)을 제시합니다. 이는 상대방의 상황을 배려하고 함께 즐길 방법을 찾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줍니다.
- 이해와 공감 표현: A의 “No worries at all!” 이나 “Of course! Friends help each other out.” 같은 반응은 B의 부담을 덜어주고 우정을 확인시켜 줍니다. 재정적인 문제로 계획을 변경해야 할 때 이러한 이해와 공감은 관계 유지에 중요합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재정 상황과 관련된 대화를 더 풍부하게 만들어 줄 추가적인 정보와 표현들을 소개합니다. 돈과 관련된 영어 관용구, 문화적 차이, 그리고 미묘한 뉘앙스를 이해하면 더욱 자연스러운 소통이 가능해집니다.
1. 돈과 관련된 유용한 영어 관용구 (Idioms)
원어민들은 대화에서 관용구를 자주 사용합니다. 돈과 관련된 몇 가지 흔한 관용구를 알아두면 대화를 더 잘 이해하고 표현력도 높일 수 있습니다.
- Cost an arm and a leg: ‘매우 비싸다’는 뜻입니다. 어떤 물건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터무니없이 높다고 느껴질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The repairs for my car cost an arm and a leg.” (내 차 수리비가 엄청나게 많이 나왔어.) 처럼 사용합니다. 이 표현은 가격에 대한 놀라움이나 불만을 나타낼 때 효과적입니다. 약 250단어 설명 추가 필요. 이 표현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 과거 초상화를 그릴 때 팔이나 다리까지 포함하면 더 비쌌다는 설, 또는 전쟁에서 팔다리를 잃는 큰 희생을 치르는 것에 비유했다는 설 등이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매우 큰 비용’을 의미한다는 점입니다. 친구가 새로 산 명품 가방을 보여주며 가격을 이야기할 때 “Wow, that must have cost an arm and a leg!” (와, 그거 진짜 비쌌겠다!) 라고 반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식적인 자리나 비즈니스 상황에서는 사용하기에 너무 비격식적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가격 협상을 할 때 이 표현을 사용하면 자칫 무례하게 들릴 수도 있습니다. 대신 “That’s significantly over our budget.” (그것은 저희 예산을 상당히 초과합니다.) 와 같이 좀 더 정중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Make ends meet: ‘수입과 지출의 균형을 맞춰 겨우 살아가다’, 즉 ‘근근이 먹고 살다’는 의미입니다. 재정적으로 여유롭지 못한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It’s hard to make ends meet on my current salary.” (현재 월급으로는 생계를 유지하기가 어려워.) 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단순히 돈이 부족하다는 것을 넘어, 기본적인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 애쓰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약 230단어 설명 추가 필요. 이 표현은 17세기부터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ends’는 수입과 지출이라는 양 끝을 의미합니다. 이 두 끝을 ‘meet'(만나게 하다)한다는 것은 수입으로 지출을 감당할 수 있다는 뜻이 됩니다. 따라서 ‘can’t make ends meet’는 수입이 지출을 따라가지 못하는 적자 상태를 의미합니다. 사회적 이슈나 경제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물가 상승에 대해 이야기하며 “Many families are struggling to make ends meet due to rising living costs.” (많은 가정이 생활비 상승으로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어려움을 토로할 때도 사용될 수 있지만, 너무 자주 사용하면 불평처럼 들릴 수 있으니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Break the bank: ‘파산하다’, ‘가산을 탕진하다’ 또는 ‘너무 많은 돈을 쓰다’는 의미입니다. 주로 어떤 것을 사거나 하는 데 예상보다 훨씬 많은 돈이 들어서 재정적으로 부담이 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Let’s find a restaurant that won’t break the bank.” (너무 비싸지 않은 식당을 찾아보자.) 처럼 쓸 수 있습니다. 약 260단어 설명 추가 필요. 이 표현은 도박판에서 은행(bank, 판돈을 대는 역할)을 파산시킨다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즉, 가진 돈을 모두 잃게 만들 정도의 큰 비용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현대 영어에서는 꼭 파산까지 가지 않더라도 ‘예산을 크게 초과하다’ 또는 ‘지갑에 큰 부담을 주다’ 정도의 의미로 더 흔하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휴가 계획을 세우면서 “We want a nice vacation, but we don’t want to break the bank.” (우리는 멋진 휴가를 원하지만, 너무 많은 돈을 쓰고 싶지는 않아.)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cost an arm and a leg’와 비슷하게 비싸다는 의미를 전달하지만, ‘break the bank’는 특정 지출 행위가 재정에 미치는 영향에 좀 더 초점을 맞춥니다. 쇼핑할 때 친구에게 “This dress is beautiful, but I’m afraid it might break the bank.” (이 드레스 예쁘긴 한데, 너무 비싸서 내 재정에 부담이 될까 봐 걱정돼.) 라고 말하며 구매를 망설이는 상황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돈에 대한 대화: 문화적 고려사항
돈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문화적으로 매우 민감한 주제일 수 있습니다. 국가나 사회적 배경에 따라 허용되는 대화의 범위나 방식이 크게 다릅니다. 예를 들어, 미국과 같은 일부 서구 문화권에서는 특정 상황(가까운 친구 사이 등)에서 소득이나 부채에 대해 비교적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이를 사적인 정보로 여깁니다. 반면, 일부 아시아 문화권에서는 직접적으로 돈에 대해 묻거나 자신의 재정 상황을 드러내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더 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어로 대화할 때는 상대방의 문화적 배경을 존중하고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 만난 사람에게 소득이나 집값을 묻는 것은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무례하게 여겨질 수 있습니다. 친구 사이라도 상대방이 먼저 이야기를 꺼내지 않는 이상, 너무 깊이 파고드는 질문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정적인 도움을 제안하거나 거절할 때도 상대방의 자존심을 상하지 않도록 신중한 표현을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re you struggling financially?” (재정적으로 힘드신가요?) 보다는 “Is there anything I can help you with?” (제가 도와드릴 일이 있을까요?) 와 같이 간접적으로 묻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약 280단어 설명 추가 필요. 영미권 내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미국보다 돈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더 꺼리는 경향이 있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계급 사회의 영향으로 소득이나 재산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것이 불편하게 여겨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국인과 대화할 때는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상황에서는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협상이나 계약과 관련된 경우가 아니라면, 동료나 비즈니스 파트너에게 개인적인 재정 상황을 묻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급여 수준에 대한 이야기도 회사 문화에 따라 매우 민감하게 다뤄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돈 이야기는 항상 조심스럽게 다뤄야 하며, 상대방의 반응을 살피면서 대화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불확실할 때는 간접적인 표현을 사용하거나 아예 그 주제를 피하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3. Formal vs. Informal: 상황에 맞는 어휘 선택
재정 상황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어휘는 대화 상대방과 상황의 공식성 정도에 따라 달라져야 합니다. 친구와 편하게 이야기할 때는 비격식적인 표현이나 관용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은행 직원이나 직장 상사와 같은 공식적인 관계에서는 보다 정중하고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 비격식 (Informal): 친구나 가족과 대화할 때는 “I’m broke.” (나 빈털터리야.), “I’m short on cash.” (현금이 부족해.), “That costs a fortune!” (그거 엄청 비싸!) 와 같은 직접적이고 편한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Let’s go dutch.” (더치페이 하자.) 와 같은 표현도 흔히 쓰입니다.
- 격식 (Formal): 은행에서 대출 상담을 하거나, 회사에서 예산 관련 논의를 할 때는 “I’m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ies.”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We need to manage our expenditures carefully.” (우리는 지출을 신중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The price is quite substantial.” (가격이 상당히 높습니다.) 와 같이 격식 있는 어휘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비용 분담에 대해서도 “Could we arrange for separate billing?” (개별 청구를 준비해 주실 수 있나요?) 와 같이 정중하게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 250단어 설명 추가 필요.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budget’ (예산), ‘income’ (소득), ‘expenses/expenditure’ (지출), ‘debt’ (부채), ‘savings’ (저축), ‘financial statement’ (재무제표) 와 같은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예산 부족을 설명해야 할 때 친구에게는 “I can’t afford it, I’m saving up.” (나 그거 살 여유 없어, 돈 모으는 중이야.) 라고 말할 수 있지만, 공식적인 보고서나 회의에서는 “We currently have insufficient funds allocated for this project.” (현재 이 프로젝트에 할당된 자금이 부족합니다.) 또는 “This expenditure exceeds our current budgetary constraints.” (이 지출은 현재 저희 예산 제약을 초과합니다.) 와 같이 표현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가격이 비싸다는 것을 표현할 때도 친구에게는 “It’s way too pricey!” (너무 비싸!) 라고 할 수 있지만, 비즈니스 파트너에게는 “The proposed cost seems higher than anticipated.” (제안된 비용이 예상보다 높은 것 같습니다.) 또는 “We may need to explore more cost-effective solutions.” (우리는 좀 더 비용 효율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프로페셔널합니다. 상황에 맞는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전문성과 신뢰도를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영어 로 재정 상황에 대해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알아두면 좋은 핵심 요소들을 더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수입과 지출 관련 어휘, 저축과 투자 관련 기본 용어, 그리고 가격 협상 시 유용한 표현들을 익혀두면 다양한 상황에 더욱 잘 대처할 수 있습니다.
1. 수입(Income)과 지출(Expenses) 관련 어휘
개인의 재정 상태를 파악하고 설명하는 데 기본이 되는 것은 수입과 지출입니다. 이와 관련된 다양한 영어 어휘를 알아두면 자신의 상황을 더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수입 관련 어휘:
- Salary: (주로 월 단위로 받는) 급여, 봉급
- Wages: (주로 시간당 또는 주 단위로 받는) 임금
- Income: 소득, 수입 (급여 외 다른 수입원 포함)
- Revenue: (주로 기업의) 수익, 총수입
- Earnings: 소득, 벌이
- Allowance: 용돈, 수당
- 지출 관련 어휘:
- Expenses/Expenditure: 지출, 비용
- Spending: 소비, 지출
- Costs: 비용, 원가
- Bills: 청구서 (전기세, 수도세, 통신비 등)
- Rent: 집세, 임대료
- Mortgage: 주택 담보 대출 (융자금)
- Groceries: 식료품비
- Utilities: 공과금 (전기, 수도, 가스 등)
- Transportation costs: 교통비
- Discretionary spending: 자유재량 지출 (필수적이지 않은 지출)
이러한 어휘들을 사용하여 “My monthly expenses exceed my salary.” (제 월 지출이 급여를 초과해요.) 또는 “We need to track our spending on groceries.” (우리는 식료품비 지출을 추적해야 해요.) 와 같이 구체적인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자신의 재정 흐름을 파악하고 예산을 세울 때 이 단어들을 활용하여 수입과 지출 항목을 영어로 정리해보는 것도 좋은 연습이 됩니다. 약 240단어 설명 추가 필요. 예를 들어, 예산을 짤 때 “Let’s list all our sources of income, including salary and any side jobs.” (급여와 부업을 포함한 모든 수입원을 나열해 봅시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지출을 분석할 때는 “Fixed expenses like rent and mortgage payments are easier to predict than variable expenses like entertainment or dining out.” (집세나 주택 담보 대출 상환금과 같은 고정 지출은 오락비나 외식비 같은 변동 지출보다 예측하기 쉽습니다.) 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Discretionary spending’은 예산을 절약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줄일 수 있는 항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개념입니다. “Cutting back on discretionary spending, such as buying new clothes or gadgets, can significantly improve our savings.” (새 옷이나 기기를 사는 것과 같은 자유재량 지출을 줄이면 저축을 크게 늘릴 수 있습니다.) 처럼 활용 가능합니다. 공과금을 의미하는 ‘Utilities’는 보통 전기, 수도, 가스 요금을 포함하며, 때로는 인터넷이나 케이블 TV 요금까지 포함하기도 합니다. 청구서를 받았을 때는 “I need to pay the electricity bill by the end of the week.” (이번 주말까지 전기 요금 청구서를 내야 해요.)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2. 저축(Savings)과 투자(Investment) 관련 기본 용어
재정 관리의 중요한 부분인 저축과 투자에 관련된 기본적인 영어 용어를 알아두면 재정 목표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관련 정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Savings account: 보통 예금 계좌
- Emergency fund: 비상 자금
- Retirement plan: 은퇴 계획 (예: 401(k), IRA 등)
- Investment: 투자
- Stocks: 주식
- Bonds: 채권
- Mutual funds: 뮤추얼 펀드
- Real estate: 부동산
- Interest rate: 이자율
- Return on investment (ROI): 투자 수익률
이러한 용어들은 재정 상담을 받거나 관련 기사, 서적을 읽을 때 자주 접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I’m trying to build up my emergency fund to cover six months of expenses.” (6개월치 생활비를 충당할 비상 자금을 마련하려고 노력 중이에요.) 또는 “Investing in stocks can be risky, but potentially offers higher returns than savings accounts.” (주식 투자는 위험할 수 있지만, 잠재적으로 보통 예금 계좌보다 높은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어요.) 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용어를 이해하는 것은 장기적인 재정 계획을 세우고 관리하는 첫걸음입니다. 약 260단어 설명 추가 필요. ‘Savings account’는 일반적으로 은행에서 쉽게 개설할 수 있으며, 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약간의 이자를 얻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Emergency fund’는 실직, 질병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따로 마련해 두는 자금으로, 보통 접근성이 좋은 예금 계좌에 보관합니다. ‘Retirement plan’은 노후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제도로, 국가나 회사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미국의 401(k)나 IRA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Investment’는 단순히 돈을 모으는 것을 넘어, 자산을 증식시키기 위해 돈을 활용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Stocks'(주식)는 회사의 소유권 일부를 나타내며, ‘Bonds'(채권)는 정부나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방식입니다. ‘Mutual funds’는 여러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전문가가 주식, 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Real estate'(부동산) 투자는 집이나 건물을 구매하여 임대 수익을 얻거나 가치 상승을 기대하는 방식입니다. ‘Interest rate'(이자율)은 돈을 빌리거나 빌려줄 때 적용되는 비율이며, ‘Return on investment (ROI)’는 투자한 금액 대비 얼마나 많은 수익을 얻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러한 용어들을 이해하면 자신의 재정 목표와 위험 감수 능력에 맞는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가격 협상 및 할인 요청 시 유용한 표현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가격을 협상하거나 할인을 요청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정중하면서도 효과적인 영어 표현들을 알아봅시다.
- Is there any room for negotiation on the price? (가격 협상의 여지가 있나요?) – 직접적으로 협상 가능성을 묻는 표현입니다.
- Is this the best price you can offer? (이게 제시해주실 수 있는 최상의 가격인가요?) – 더 나은 가격이 있는지 정중하게 묻는 방법입니다.
- Would you be willing to offer a discount if I buy [quantity]? ([수량]개를 사면 할인을 해주실 의향이 있으신가요?) – 대량 구매 시 할인을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 Do you offer any discounts for students/seniors? (학생/노인 할인이 있나요?) – 특정 대상 할인이 있는지 물을 때 사용합니다.
- I saw this advertised for a lower price elsewhere. Can you match it? (다른 곳에서 더 낮은 가격으로 광고하는 것을 봤습니다. 가격을 맞춰주실 수 있나요?) – 가격 경쟁력을 이용해 할인을 요청하는 방법입니다. (Price matching)
- That’s a little more than I was hoping to spend. Is there anything you can do about the price?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조금 비싸네요. 가격 조정이 가능할까요?) – 예산 초과를 언급하며 가격 조정을 부드럽게 요청하는 표현입니다.
가격 협상은 모든 상황에서 가능한 것은 아니며, 문화나 상점의 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백화점이나 대형 마트에서는 정찰제로 운영되어 가격 협상이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시장이나 개인 상점, 중고 거래 등에서는 협상이 더 흔하게 이루어집니다. 협상을 시도할 때는 항상 정중하고 예의 바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리한 요구보다는 합리적인 선에서 제안하는 것이 성공 가능성을 높입니다. 약 270단어 설명 추가 필요. 가격 협상 시에는 단순히 가격을 깎아달라고 하기보다, 그 이유를 함께 제시하는 것이 설득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m working with a tight budget for this project. Would it be possible to get a slightly better price?” (이 프로젝트 예산이 빠듯해서요. 혹시 가격을 조금 더 좋게 해주실 수 있을까요?) 와 같이 상황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금 결제를 제안하며 할인을 요청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If I pay in cash, could you offer a small discount?” (현금으로 결제하면 약간의 할인이 가능할까요?) 와 같이 물어볼 수 있습니다. (단, 이는 판매자의 정책에 따라 다릅니다.) 할인을 요청할 때는 ‘discount’라는 단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거나, ‘better price’, ‘lower price’ 와 같은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an you give me a discount?’ 보다는 ‘Is it possible to get a discount?’ 또는 ‘Are there any available discounts?’ 와 같이 좀 더 공손하게 묻는 것이 좋습니다. 협상이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감사를 표하는 것이 좋습니다. “Thank you for considering it anyway.” (어쨌든 고려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와 같이 마무리하면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재정 상황 표현하기
자, 이제 주머니 사정이나 예산에 대해 영어로 이야기하는 것이 조금은 편안해지셨나요? 돈 이야기는 때로 어렵고 민감할 수 있지만, 오늘 배운 표현들을 활용하면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재정 상태를 솔직하고 정중하게 전달할 수 있을 거예요. “I’m on a tight budget” 이나 “I need to watch my spending” 같은 표현들은 친구와의 약속 조절부터 쇼핑 시 예산 관리까지 정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답니다!
핵심은 상황에 맞는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에요. 오늘 배운 표현들을 그냥 머릿속에만 두지 마시고, 실제 대화에서 조금씩 사용해보세요. 처음에는 어색할 수 있지만, 연습하다 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예를 들어, 다음번에 친구와 식사 약속을 잡을 때 “Let’s find a place that’s not too expensive.” 라고 먼저 제안해보는 건 어떨까요? 작은 시도들이 모여 영어 실력 향상으로 이어질 거랍니다!
여기서 멈추지 마세요! 돈과 관련된 더 많은 영어 표현이나 관용구를 찾아보거나, 금융 관련 뉴스나 기사를 영어로 읽어보는 것도 좋은 학습 방법이 될 수 있어요. 자신만의 재정 관련 영어 단어장을 만들어보는 것도 재미있을 거고요. 꾸준히 연습하고 적용하다 보면, 재정 상황에 대해서도 영어로 자신감 있게 소통하는 여러분을 발견하게 될 거예요. 힘내세요!
![호텔 체크인 시 알아두면 좋은 영어 표현 모음[영어회화] 호텔 체크인 유용한 영어회화 만나보기](http://harueng.eventlong.com/wp-content/uploads/2024/02/호텔-체크인-유용한-영어회화-만나보기-150x150.webp)

![미용실에서 알아두어야 할 필수 영어회화 표현 [직원편] 미용실 영어회화, 손님이 서비스를 받고 있다](http://harueng.eventlong.com/wp-content/uploads/2024/02/미용실-영어회화-손님이-서비스를-받고-있다-150x150.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