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디어 제시의 핵심: ‘Come up with’ 완벽 마스터하기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거나 문제 해결책을 찾아야 할 때, 영어로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막막했던 경험 있으신가요? 특히 회의나 브레인스토밍 상황에서 적절한 표현을 찾지 못해 답답함을 느끼셨을 수도 있습니다. 걱정 마세요! ‘생각해 내다’, ‘제안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핵심 구동사 ‘come up with’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면,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훨씬 더 명확하고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come up with’의 다양한 쓰임새를 익히고, 실제 대화에서 자신감 있게 활용하는 방법을 쉽고 체계적으로 알려드릴게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아이디어 표현의 달인이 되어봅시다!
목차
‘아이디어 제시’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아이디어나 해결책 등을 ‘생각해 내다’ 또는 ‘제안하다’라는 의미를 전달하고 싶을 때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핵심 표현은 바로 ‘come up with’입니다.
-
표현: come up with
발음: [컴 업 윋]
뜻: (아이디어, 계획, 해결책 등을) 생각해 내다, 제안하다
이 표현은 일상 대화부터 비즈니스 미팅까지 매우 폭넓게 사용되는 구동사입니다. 단순히 ‘think of'(~을 생각하다)와는 달리, 어떤 노력이나 과정을 통해 새로운 생각이나 해결 방안을 ‘만들어내거나 찾아내는’ 뉘앙스를 가지고 있어 아이디어 구상 및 문제 해결 상황에서 아주 유용하게 쓰입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Come up with’는 다양한 상황에서 아이디어, 해결책, 계획, 심지어 변명이나 돈까지 ‘만들어내거나 찾아내는’ 과정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상황별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인 문장들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1. 아이디어 및 계획 구상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거나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때 자주 사용됩니다.
-
표현: We need to come up with a new marketing strategy.
발음: [위 니드 투 컴 업 윋 어 뉴 마케팅 스트래터지]
뜻: 우리는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생각해 내야 합니다. -
표현: She came up with a brilliant idea for the project.
발음: [쉬 케임 업 윋 어 브릴리언트 아이디어 포 더 프로젝트]
뜻: 그녀는 그 프로젝트를 위한 기발한 아이디어를 생각해 냈습니다. -
표현: Let’s try to come up with a catchy slogan for our product.
발음: [렛츠 트라이 투 컴 업 윋 어 캐치 슬로건 포 아워 프로덕트]
뜻: 우리 제품을 위한 기억하기 쉬운 슬로건을 생각해 내도록 노력해 봅시다. -
표현: Can you come up with a plan by tomorrow morning?
발음: [캔 유 컴 업 윋 어 플랜 바이 투모로우 모닝?]
뜻: 내일 아침까지 계획을 세워 주실 수 있나요? -
표현: He always comes up with interesting topics for discussion.
발음: [히 올웨이즈 컴즈 업 윋 인터레스팅 토픽스 포 디스커션]
뜻: 그는 항상 흥미로운 토론 주제를 생각해 냅니다.
2. 문제 해결 및 대안 제시
어려운 상황에 대한 해결책이나 대안을 찾아낼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
표현: They couldn’t come up with a solution to the problem.
발음: [데이 쿠든트 컴 업 윋 어 솔루션 투 더 프라블럼]
뜻: 그들은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생각해 내지 못했습니다. -
표현: We need someone who can come up with creative solutions.
발음: [위 니드 썸원 후 캔 컴 업 윋 크리에이티브 솔루션스]
뜻: 우리는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
표현: What alternatives can we come up with?
발음: [왓 얼터너티브스 캔 위 컴 업 윋?]
뜻: 우리가 어떤 대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을까요? -
표현: I hope we can come up with an answer soon.
발음: [아이 호프 위 캔 컴 업 윋 언 앤서 순]
뜻: 우리가 곧 답을 찾아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
표현: The committee came up with several recommendations.
발음: [더 커미티 케임 업 윋 세버럴 레코멘데이션스]
뜻: 위원회는 몇 가지 권고안을 제시했습니다.
3. 필요한 것이나 정보 찾아내기
아이디어나 해결책 외에도 필요한 자금, 이름, 변명 등을 ‘마련하거나 생각해 낼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표현: How can we come up with the funding for this initiative?
발음: [하우 캔 위 컴 업 윋 더 펀딩 포 디스 이니셔티브?]
뜻: 이 계획을 위한 자금을 어떻게 마련할 수 있을까요? -
표현: He had to come up with an excuse for being late.
발음: [히 해드 투 컴 업 윋 언 익스큐즈 포 빙 레이트]
뜻: 그는 지각한 것에 대한 변명을 생각해 내야 했습니다. -
표현: Let’s come up with a name for the new puppy.
발음: [렛츠 컴 업 윋 어 네임 포 더 뉴 퍼피]
뜻: 새로 온 강아지 이름을 지어줍시다. -
표현: I need to come up with $500 by Friday.
발음: [아이 니드 투 컴 업 윋 파이브 헌드레드 달러즈 바이 프라이데이]
뜻: 나는 금요일까지 500달러를 마련해야 합니다. -
표현: Can you come up with the necessary information?
발음: [캔 유 컴 업 윋 더 네세서리 인포메이션?]
뜻: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 주실 수 있나요?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Come up with’를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아두면 실전 회화에서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브레인스토밍 상황에서 적극 활용하기: 회의나 토론 중 아이디어를 모집할 때 “Let’s come up with some ideas.” (아이디어를 좀 내봅시다.) 또는 “Does anyone have anything they’ve come up with?” (혹시 생각해 낸 아이디어가 있는 분 계신가요?) 와 같이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 발상 자체를 장려하는 긍정적인 분위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2. 질문 형태로 활용하여 상대방의 아이디어 구하기: 상대방에게 아이디어나 해결책을 물어볼 때 유용합니다. “What did you come up with?” (어떤 생각을 해냈나요?), “Can you come up with a better plan?” (더 나은 계획을 생각해 낼 수 있나요?) 처럼 질문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시제와 함께 사용하기: 과거에 생각해 낸 것은 “came up with”, 미래에 생각해 낼 것은 “will come up with” 또는 “going to come up with”, 현재 진행 중인 노력은 “trying to come up with” 등으로 시제에 맞게 활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She came up with the answer yesterday.” (그녀는 어제 답을 생각해 냈다.), “We will come up with a solution soon.” (우리는 곧 해결책을 찾아낼 것이다.) 처럼 사용합니다.
4. ‘Think of’와의 미묘한 차이 이해하기: ‘Think of’는 단순히 어떤 생각이나 아이디어가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come up with’는 어떤 문제나 필요에 대응하여 아이디어나 해결책을 ‘만들어내거나 찾아내는’ 과정과 노력이 조금 더 강조됩니다. “I thought of a good restaurant.” (좋은 식당이 생각났어.) 와 “I came up with a solution to our budget problem.” (우리 예산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생각해 냈어.)의 차이를 느껴보세요.
5. 주어는 주로 사람 또는 그룹: 아이디어나 해결책을 생각해 내는 주체는 보통 사람(I, you, she, John)이나 그룹(we, they, the team, the committee)이 됩니다. 사물이 주어가 되어 ‘come up with’를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6. 결과물(목적어) 명시하기: ‘Come up with’ 다음에는 주로 생각해 낸 결과물, 즉 아이디어(idea), 계획(plan), 해결책(solution), 이름(name), 변명(excuse), 돈(money), 제안(suggestion), 답변(answer) 등의 명사가 목적어로 따라옵니다. “He came up with…” 까지만 말하면 문장이 불완전하게 느껴지므로, 무엇을 생각해 냈는지 명확히 밝혀주는 것이 좋습니다.
7. 긍정문, 부정문, 의문문 모두 활용 가능: “We came up with a great plan.” (긍정문), “They couldn’t come up with any ideas.” (부정문), “Did you come up with anything?” (의문문) 처럼 다양한 문장 형태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됩니다. 부정문에서는 ‘couldn’t’나 ‘didn’t’와 함께 쓰여 ‘생각해 내지 못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상황:** 마케팅 팀 회의에서 신제품 출시를 위한 홍보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하고 있습니다. 팀장(A)과 팀원(B)이 대화를 나눕니다.
-
표현: A: Okay team, let’s brainstorm some promotional ideas for our new product launch next month. We need something fresh and exciting.
발음: [오케이 팀, 렛츠 브레인스톰 썸 프로모셔널 아이디어스 포 아워 뉴 프로덕트 런치 넥스트 먼쓰. 위 니드 썸띵 프레쉬 앤 익사이팅.]
뜻: 자, 팀원 여러분, 다음 달 신제품 출시를 위한 홍보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해 봅시다. 신선하고 흥미로운 것이 필요해요. -
표현: B: Right. I was thinking about social media campaigns. Maybe we can come up with a catchy hashtag?
발음: [라잇. 아이 워즈 띵킹 어바웃 소셜 미디어 캠페인스. 메이비 위 캔 컴 업 윋 어 캐치 해시태그?]
뜻: 맞아요. 소셜 미디어 캠페인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어요. 기억하기 쉬운 해시태그를 생각해 내는 건 어떨까요? -
표현: A: That’s a good starting point. What kind of hashtag did you have in mind? Did you come up with any specific ideas?
발음: [댓츠 어 굿 스타팅 포인트. 왓 카인드 오브 해시태그 디드 유 해브 인 마인드? 디드 유 컴 업 윋 애니 스페시픽 아이디어스?]
뜻: 좋은 시작이네요. 어떤 종류의 해시태그를 염두에 두고 있나요?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 낸 것이 있나요? -
표현: B: Not yet, but I think we should focus on the product’s unique selling proposition. We need to come up with something short and memorable.
발음: [낫 옛, 벗 아이 띵크 위 슈드 포커스 온 더 프로덕츠 유니크 셀링 프로포지션. 위 니드 투 컴 업 윋 썸띵 쇼트 앤 메모러블.]
뜻: 아직요, 하지만 제품의 고유한 판매 제안(특장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생각해요. 짧고 기억하기 쉬운 것을 생각해 내야 해요. -
표현: A: Agreed. How about collaborating with influencers? Can we come up with a list of potential influencers in our niche?
발음: [어그리드. 하우 어바웃 컬래버레이팅 윋 인플루언서스? 캔 위 컴 업 윋 어 리스트 오브 포텐셜 인플루언서스 인 아워 니치?]
뜻: 동의해요. 인플루언서와 협업하는 건 어때요? 우리 분야의 잠재적인 인플루언서 목록을 만들어 볼 수 있을까요? -
표현: B: Definitely. I can start researching and try to come up with a preliminary list by the end of the day.
발음: [데피니틀리. 아이 캔 스타트 리서칭 앤 트라이 투 컴 업 윋 어 프릴리미너리 리스트 바이 디 엔드 오브 더 데이.]
뜻: 그럼요. 제가 조사를 시작해서 오늘 중으로 예비 목록을 만들어 보도록 노력할게요. -
표현: A: Excellent. Also, think about launch events. We need to come up with an engaging event concept that generates buzz.
발음: [엑설런트. 올소, 띵크 어바웃 런치 이벤츠. 위 니드 투 컴 업 윋 언 인게이징 이벤트 콘셉트 댓 제너레이츠 버즈.]
뜻: 훌륭해요. 그리고 론칭 행사도 생각해 보세요. 입소문을 낼 수 있는 매력적인 행사 컨셉을 생각해 내야 해요. -
표현: B: Okay, I’ll put some thought into that too. Maybe a virtual event combined with some interactive elements? I’ll try to come up with a few options.
발음: [오케이, 아일 풋 썸 똣 인투 댓 투. 메이비 어 버추얼 이벤트 컴바인드 윋 썸 인터랙티브 엘리먼츠? 아일 트라이 투 컴 업 윋 어 퓨 옵션스.]
뜻: 알겠습니다, 그것도 좀 생각해 볼게요. 가상 이벤트에 인터랙티브 요소를 결합하는 건 어떨까요? 몇 가지 옵션을 생각해 보도록 노력할게요. -
표현: A: Sounds promising. Let’s regroup tomorrow afternoon and see what ideas everyone has come up with.
발음: [사운즈 프라미싱. 렛츠 리그룹 투모로우 애프터눈 앤 씨 왓 아이디어스 에브리원 해즈 컴 업 윋.]
뜻: 괜찮은 것 같네요. 내일 오후에 다시 모여서 각자 어떤 아이디어를 생각해 냈는지 봅시다. -
표현: B: Will do. Hopefully, we can come up with a solid plan together.
발음: [윌 두. 호프풀리, 위 캔 컴 업 윋 어 솔리드 플랜 투게더.]
뜻: 그렇게 할게요. 바라건대, 우리가 함께 탄탄한 계획을 세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1. “Come up with a catchy hashtag” / “come up with something short and memorable”: 아이디어나 구체적인 결과물(해시태그, 짧고 기억하기 쉬운 것)을 ‘생각해 내다’는 의미로 자연스럽게 사용되었습니다. ‘Catchy’는 ‘기억하기 쉬운, 사람들의 주의를 끄는’ 이라는 뜻입니다.
2. “Did you come up with any specific ideas?”: 과거 시제로 질문하여 이전에 생각해 둔 아이디어가 있는지 묻고 있습니다. ‘Come up with’는 이렇게 의문문에서도 자주 쓰입니다.
3. “Can we come up with a list…?”: 제안이나 요청의 형태로, 목록을 ‘만들어 낼 수 있는지’ 묻고 있습니다. ‘Come up with’는 단순히 생각하는 것뿐만 아니라, 필요한 것을 ‘만들어내거나 준비하는’ 뉘앙스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4. “Try to come up with a preliminary list / a few options”: ‘Try to’와 함께 쓰여 ‘~을 생각해 내려고 노력하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아직 확정된 아이디어가 아니거나, 노력이 필요함을 나타낼 때 유용합니다. ‘Preliminary’는 ‘예비의, 임시의’라는 뜻입니다.
5. “See what ideas everyone has come up with”: 현재완료 시제(has come up with)를 사용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 각자 생각해 낸 아이디어들을 확인하겠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Come up with’ 외에도 아이디어를 내거나 제안하는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표현들이 있습니다.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사용하면 더욱 풍부한 영어 표현이 가능해집니다.
1. ‘Come up with’ vs. ‘Think of’ vs. ‘Generate’ vs. ‘Propose’
* Come up with: (노력을 통해) 아이디어, 해결책, 계획 등을 생각해 내다, 찾아내다, 마련하다. 가장 일반적이고 폭넓게 사용됩니다. (예: We need to come up with a solution quickly.)
* Think of: 어떤 생각이나 아이디어가 머릿속에 자연스럽게 떠오르다. ‘Come up with’보다 덜 의도적이거나 노력이 덜 들어간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예: I just thought of a great name for the project.) 또한, 단순히 ‘~에 대해 생각하다’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예: What do you think of this idea?)
* Generate: (주로 많은 수의) 아이디어, 데이터, 에너지 등을 만들어내다, 발생시키다. 브레인스토밍처럼 많은 아이디어를 내는 상황이나, 좀 더 공식적인 느낌을 줄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 The workshop is designed to generate new business ideas.)
* Propose: (공식적으로) 계획, 아이디어, 해결책 등을 제안하다. ‘Come up with’보다 격식 있는 표현으로, 회의나 공식적인 문서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 The committee proposed several changes to the plan.)
이 네 가지 표현의 핵심 차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표현 | 주요 의미 | 뉘앙스 | 사용 맥락 예시 |
| :———- | :—————————————– | :——————————————————— | :————————————————- |
| Come up with | (노력하여) 생각해 내다, 찾아내다, 마련하다 | 일반적, 문제 해결, 아이디어 구상, 필요한 것 마련 | Brainstorming, problem-solving, finding resources |
| Think of | (문득) 떠오르다, ~에 대해 생각하다 | 덜 의도적, 자연스러운 발상, 의견 묻기 | Casual conversation, expressing opinions |
| Generate | (다수를) 만들어내다, 발생시키다 | 다량 생산, 공식적 느낌, 창의적 과정 강조 | Idea generation sessions, reports, technical contexts |
| Propose | (공식적으로) 제안하다 | 격식, 공식적인 제안, 계획이나 변경 사항 제시 | Meetings, formal proposals, academic papers |
이처럼 각 표현은 미묘한 의미 차이와 사용되는 맥락이 다르므로,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Come up with’와 자주 함께 쓰이는 명사 (Collocations)
‘Come up with’는 특정 명사들과 함께 자주 사용되어 자연스러운 표현을 만듭니다. 이러한 연어(collocation)를 익혀두면 표현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Come up with an idea/ideas:**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다 (가장 흔한 조합)
* **Come up with a solution/solutions:** 해결책을 생각해 내다
* **Come up with a plan/plans:** 계획을 세우다
* **Come up with a suggestion/suggestions:** 제안을 하다
* **Come up with a proposal:** 제안(서)을 내놓다
* **Come up with an answer/answers:** 답을 찾아내다
* **Come up with a name:** 이름을 생각해 내다 (짓다)
* **Come up with an excuse:** 변명을 생각해 내다
* **Come up with the money/funding/resources:** 돈/자금/자원을 마련하다
* **Come up with a reason:** 이유를 생각해 내다 (대다)
* **Come up with a strategy:** 전략을 생각해 내다
* **Come up with a concept:** 컨셉을 생각해 내다
이러한 조합들을 통째로 익혀두면 문장을 더 빠르고 자연스럽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
3. ‘Come up with’ 사용 시 문화적 고려사항 및 팁
* 협업 강조: 비즈니스 환경에서 “Let’s come up with…” 또는 “We need to come up with…” 와 같이 ‘우리’를 주어로 사용하면 팀워크와 공동의 노력을 강조하는 긍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아이디어 존중: 다른 사람이 “I came up with an idea.”라고 말했을 때, 그 아이디어가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즉각적으로 비판하기보다는 “Okay, let’s hear it.” 또는 “Interesting, tell me more.” 와 같이 일단 들어보겠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디어를 내는 행위 자체를 존중하는 문화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부정적인 결과 표현 시 주의: “He came up with a terrible excuse.” (그는 형편없는 변명을 생각해 냈다.) 처럼 부정적인 결과물을 표현할 수도 있지만, 직접적인 비판이 될 수 있으므로 상황과 상대방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 압박감 표현 가능성: “You need to come up with a solution by tomorrow!” 와 같이 강한 어조로 사용될 경우, 상대방에게 상당한 압박감을 줄 수 있습니다. 요청이나 제안을 할 때는 “Could we try to come up with…?” 와 같이 좀 더 부드러운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Come up with’라는 표현이 가진 의미와 기능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세 가지 핵심 요소로 나누어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생성(Generation)’의 요소: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과정
‘Come up with’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이전에 없던 것을 ‘만들어내거나 생성하는’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머릿속에 있던 것을 꺼내는 것 이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나 해결책을 적극적으로 구상하고 형성하는 과정을 내포합니다. 예를 들어, “The design team came up with a completely new concept for the product packaging.” (디자인 팀은 제품 포장을 위한 완전히 새로운 컨셉을 생각해 냈다.) 라는 문장에서 ‘come up with’는 기존에 없던 독창적인 컨셉을 창조해냈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브레인스토밍 세션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쏟아내는’ 행위 역시 이 ‘생성’의 요소와 관련이 깊습니다. 이는 문제 해결이나 창의적인 작업에서 필수적인 능력이며, ‘come up with’는 이러한 창조적 과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도구입니다.
2. ‘해결(Solution)’ 지향성: 문제나 필요에 대한 반응
‘Come up with’는 종종 특정 문제, 질문, 또는 필요에 대한 ‘답변’이나 ‘해결책’을 찾는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단순히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것을 넘어, 구체적인 상황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Scientists are working hard to come up with a cure for the disease.” (과학자들은 그 질병의 치료법을 찾아내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와 같은 문장은 명확한 목표(치료법 발견)를 가지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마찬가지로, “I couldn’t come up with an answer to his question.” (나는 그의 질문에 대한 답을 생각해 낼 수 없었다.) 는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찾아내지’ 못했음을 나타냅니다. 이처럼 ‘come up with’는 문제 인식과 그에 따른 해결 노력이라는 중요한 연결고리를 표현합니다.
3. ‘노력(Effort)’의 함의: 과정에 수반되는 정신적 활동
‘Come up with’는 종종 어느 정도의 정신적 노력이나 시간이 수반됨을 암시합니다. 아이디어나 해결책이 단순히 ‘뿅’하고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고, 조사하고, 고민하는 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결과물이라는 뉘앙스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It took us several hours to come up with a viable plan.” (우리가 실행 가능한 계획을 세우는 데 몇 시간이 걸렸다.) 라는 문장은 계획을 수립하기까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들었음을 시사합니다. 물론 항상 큰 노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I just came up with this idea.” (나 방금 이 아이디어가 떠올랐어.) 라고 말할 때조차도, 그 순간적인 발상 이전에 잠재적인 고민이나 문제 인식이 있었을 가능성을 내포합니다. 따라서 이 표현은 결과물뿐만 아니라 그것을 얻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암시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이제 ‘come up with’라는 표현이 훨씬 가깝게 느껴지시나요? 단순히 ‘생각해 내다’라는 뜻을 넘어,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고, 문제를 해결하며, 필요한 것을 마련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얼마나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지 확인하셨을 거예요! 처음에는 조금 어색할 수 있지만, 오늘 배운 다양한 예문과 표현들을 떠올리며 실제 대화에서 사용해 보세요.
회의 중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할 때, 친구와 문제 해결 방법을 고민할 때, 혹은 필요한 무언가를 궁리할 때 “I came up with…”, “Let’s come up with…”, “Can you come up with…?” 와 같이 자신감 있게 활용해 보세요! 작은 성공 경험들이 쌓이면 어느새 ‘come up with’는 여러분의 영어 무기고에서 가장 강력하고 자주 사용하는 도구 중 하나가 되어 있을 거랍니다.
여기서 멈추지 마세요! ‘come up with’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 ‘generate’, ‘propose’, ‘devise’ 등의 다른 동사들도 함께 공부하면서 표현의 폭을 넓혀보는 것도 좋습니다. 각 단어가 가진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이해하면 더욱 정교하고 세련된 영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될 거예요.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아이디어를 떠올릴 때마다 ‘come up with’를 사용해서 영어로 문장을 만들어보는 연습을 꾸준히 해보세요. 여러분의 영어 실력 향상을 항상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