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것을 고려할 때: 영어로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 완벽 마스터하기
결정을 내리거나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할 때, 어떤 영어 표현을 써야 할지 막막했던 경험 있으신가요? 여러 요소를 모두 고려했다는 것을 명확하게 전달하고 싶은데, 적절한 단어나 구문이 떠오르지 않아 답답하셨을 겁니다. 걱정 마세요! 이 글을 통해 복잡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생각을 논리 정연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모든 것을 고려할 때’라는 의미를 전달하는 핵심 표현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와 다양한 관련 표현들을 쉽고 명확하게 배울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저와 함께 이 유용한 표현들을 익혀 영어 회화 실력을 한 단계 끌어올려 보아요!
목차
- ‘모든 것을 고려할 때’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결론 도출 및 요약 시
- 의견 제시 및 판단 근거 설명 시
- 격식 있는 상황 (보고서, 발표 등)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1. 문장 내 위치에 따른 뉘앙스 차이
- 2. 유사 표현 간의 미묘한 의미 차이
- 3. 흔히 저지르는 실수와 주의점
-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종합적 사고의 중요성 전달
- 2. 균형 잡힌 시각 제시
- 3. 논리적 구조 형성 및 결론 도출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모든 것을 고려할 때’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상황의 모든 측면을 고려하여 결론을 내리거나 의견을 제시할 때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표현은 바로 이것입니다.
-
표현: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
발음: 테이킹 에브리띵 인투 어카운트
뜻: 모든 것을 고려해 볼 때
이 표현은 대화나 글에서 여러 가지 정보, 사실,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음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문장의 시작이나 중간, 끝에 위치하여 논리적인 흐름을 만들고 설득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즈니스 미팅, 학술적 토론, 혹은 일상적인 의사결정 상황 등 다양한 맥락에서 활용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구문입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는 매우 유용하지만, 상황이나 뉘앙스에 따라 조금씩 다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양한 관련 표현들을 익혀두면 더욱 풍부하고 자연스러운 영어 구사가 가능해집니다. 여기서는 비슷한 의미를 전달하는 여러 표현들을 상황별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결론 도출 및 요약 시
여러 논의나 분석 끝에 최종적인 결론이나 요약을 제시할 때 자주 사용되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 we’ve decided to postpone the project.
발음: 테이킹 에브리띵 인투 어카운트, 위브 디사이디드 투 포스트폰 더 프로젝트.
뜻: 모든 것을 고려해 볼 때, 저희는 프로젝트를 연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표현: All things considered, it was a successful event.
발음: 올 띵스 컨시더드, 잇 워즈 어 석세스풀 이벤트.
뜻: 모든 점을 고려해 보면, 성공적인 행사였습니다. -
표현: Considering all factors, this seems to be the best option.
발음: 컨시더링 올 팩터스, 디스 심즈 투 비 더 베스트 옵션.
뜻: 모든 요인을 고려할 때, 이것이 최선의 선택인 것 같습니다. -
표현: On balance, the benefits outweigh the risks.
발음: 온 밸런스, 더 베네핏츠 아웃웨이 더 리스크스.
뜻: 모든 것을 감안할 때, 이익이 위험보다 큽니다. -
표현: Overall, I think we made the right choice.
발음: 오버롤, 아이 띵크 위 메이드 더 라잇 초이스.
뜻: 전반적으로, 우리가 올바른 선택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의견 제시 및 판단 근거 설명 시
자신의 의견이나 판단이 여러 근거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임을 나타낼 때 유용한 표현들입니다.
-
표현: Factoring everything in, I believe she is the most qualified candidate.
발음: 팩터링 에브리띵 인, 아이 빌리브 쉬 이즈 더 모스트 퀄리파이드 캔디데이트.
뜻: 모든 것을 고려하면, 그녀가 가장 자격 있는 후보라고 생각합니다. -
표현: When you consider everything, his actions were understandable.
발음: 웬 유 컨시더 에브리띵, 히즈 액션스 워 언더스탠더블.
뜻: 모든 것을 고려해 보면, 그의 행동은 이해할 만했습니다. -
표현: Looking at the big picture, this investment makes sense.
발음: 루킹 앳 더 빅 픽처, 디스 인베스트먼트 메이크스 센스.
뜻: 전체적인 상황을 보면, 이 투자는 타당합니다. -
표현: After careful consideration of all aspects, we recommend proceeding with caution.
발음: 애프터 케어풀 컨시더레이션 오브 올 애스펙츠, 위 레커멘드 프로시딩 윋 코션.
뜻: 모든 측면을 신중하게 고려한 후, 신중하게 진행할 것을 권고합니다. -
표현: Weighing up all the pros and cons, it’s still a difficult decision.
발음: 웨잉 업 올 더 프로즈 앤 콘즈, 잇츠 스틸 어 디피컬트 디시전.
뜻: 모든 장단점을 따져봐도, 여전히 어려운 결정입니다.
격식 있는 상황 (보고서, 발표 등)
공식적인 문서나 발표에서 종합적인 고려를 나타낼 때 사용하기 적합한 표현들입니다.
-
표현: Having taken all relevant factors into consideration, the committee reached a consensus.
발음: 해빙 테이큰 올 렐러번트 팩터스 인투 컨시더레이션, 더 커미티 리치드 어 컨센서스.
뜻: 모든 관련 요인을 고려한 후, 위원회는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
표현: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data, our conclusion is as follows.
발음: 베이스드 온 어 컴프리헨시브 리뷰 오브 더 데이터, 아워 컨클루전 이즈 애즈 팔로우즈.
뜻: 데이터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우리의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
표현: In light of all the evidence presented, the initial hypothesis appears correct.
발음: 인 라이트 오브 올 디 에비던스 프리젠티드, 디 이니셜 하이포씨시스 어피어즈 커렉트.
뜻: 제시된 모든 증거에 비추어 볼 때, 초기 가설은 옳은 것으로 보입니다. -
표현: Upon reviewing all the circumstances, the board decided against the merger.
발음: 어폰 리뷰잉 올 더 서컴스탠시즈, 더 보드 디사이디드 어게인스트 더 머저.
뜻: 모든 상황을 검토한 결과, 이사회는 합병에 반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표현: Taking a holistic view, the proposed changes should benefit the entire organization.
발음: 테이킹 어 홀리스틱 뷰, 더 프로포즈드 체인지스 슈드 베네핏 디 인타이어 오거니제이션.
뜻: 전체적인 관점에서 볼 때, 제안된 변경 사항은 조직 전체에 이익이 될 것입니다.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와 관련 표현들을 자연스럽게 사용하려면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실제 대화나 글쓰기에서 이 표현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팁입니다.
- 문장의 시작에서 사용하기: 결론이나 요약을 제시하기 전에 이 표현을 사용하면 듣는 사람이 ‘아, 이제 종합적인 판단을 이야기하겠구나’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가령,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 I think we should choose Plan B.” 와 같이 문장 맨 앞에 두어 명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의견의 근거 강조하기: 자신의 주장이 단순한 감정이나 추측이 아니라 여러 요소를 고려한 결과임을 보여주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Considering her experience and skills, and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 she’s the best fit for the job.” 처럼 근거와 함께 제시하면 설득력이 높아집니다.
- 다양한 동의어 활용하기: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만 반복해서 사용하면 단조롭게 들릴 수 있습니다. ‘All things considered’, ‘Considering all factors’, ‘On balance’, ‘Overall’ 등 상황에 맞는 다양한 표현을 번갈아 사용하여 언어 구사력을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 격식 수준 맞추기: 친구와의 대화에서는 ‘Overall’이나 ‘Basically’ 같은 좀 더 편한 표현을, 공식적인 보고서나 발표에서는 ‘Having taken all relevant factors into consideration’이나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같은 격식 있는 표현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쉼표(Comma) 사용에 유의하기: 이 표현들이 문장 앞에 올 때는 보통 뒤에 쉼표를 찍어줍니다. (예: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 we decided…”) 문장 중간에 삽입될 경우 앞뒤로 쉼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The decision,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 was difficult.”)
- 과용하지 않기: 매우 유용한 표현이지만, 너무 자주 사용하면 오히려 강조 효과가 떨어지거나 장황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정말로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음을 나타내야 하는 중요한 순간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문화적 뉘앙스 이해하기: 이 표현은 신중하고 사려 깊은 태도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결정을 내리기 전에 충분히 생각했음을 어필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긍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너무 조심스럽거나 결단력이 부족해 보일 수도 있으니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구체적인 상황 대화 예시
새로운 마케팅 캠페인 전략을 결정하기 위해 팀 회의를 하는 상황을 가정해 봅시다. 팀원 A와 팀장 B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며 의견을 나누고 있습니다.
-
표현: A: Okay, we’ve discussed the budget constraints, the target audience research, and the competitor analysis.
발음: 오케이, 위브 디스커스드 더 버짓 컨스트레인츠, 더 타겟 오디언스 리서치, 앤 더 컴페티터 어낼리시스.
뜻: 네, 예산 제약, 타겟 고객 조사, 경쟁사 분석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
표현: B: Right. So,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 which strategy do you think is the most viable?
발음: 라잇. 쏘, 테이킹 에브리띵 인투 어카운트, 위치 스트래터지 두 유 띵크 이즈 더 모스트 바이어블?
뜻: 맞아요. 그럼, 모든 것을 고려해 볼 때, 어떤 전략이 가장 실행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나요? -
표현: A: Well, Strategy X has a higher potential reach, but it’s also significantly more expensive. Strategy Y is safer budget-wise, but might not generate as much buzz.
발음: 웰, 스트래터지 엑스 해즈 어 하이어 포텐셜 리치, 벗 잇츠 올소 시그니피컨틀리 모어 익스펜시브. 스트래터지 와이 이즈 세이퍼 버짓-와이즈, 벗 마잇 낫 제너레이트 애즈 머치 버즈.
뜻: 음, X 전략은 잠재적 도달 범위가 더 넓지만, 비용도 상당히 많이 듭니다. Y 전략은 예산 면에서는 더 안전하지만, 그다지 큰 화제를 불러일으키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
표현: B: I see your point. Considering all factors, especially the current market volatility, perhaps the safer option is wiser for now.
발음: 아이 씨 유어 포인트. 컨시더링 올 팩터스, 이스페셜리 더 커런트 마켓 볼러틸러티, 퍼햅스 더 세이퍼 옵션 이즈 와이저 포 나우.
뜻: 무슨 말인지 알겠습니다. 모든 요인을 고려할 때, 지금 시장 변동성을 감안하면 아마도 더 안전한 옵션이 현재로서는 더 현명할 것 같습니다. -
표현: A: That’s true. On balance, the risk associated with Strategy X might be too high at this moment, even with the potential rewards.
발음: 댓츠 트루. 온 밸런스, 더 리스크 어소시에이티드 윋 스트래터지 엑스 마잇 비 투 하이 앳 디스 모먼트, 이븐 윋 더 포텐셜 리워즈.
뜻: 맞습니다. 모든 것을 감안할 때, 잠재적인 보상이 있더라도 X 전략과 관련된 위험이 현시점에서는 너무 클 수 있습니다. -
표현: B: Exactly. We need a solid return, but we also need to be mindful of our resources.
발음: 이그잭틀리. 위 니드 어 솔리드 리턴, 벗 위 올소 니드 투 비 마인드풀 오브 아워 리소시스.
뜻: 바로 그거예요. 확실한 수익도 필요하지만, 우리 자원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표현: A: So, factoring in the budget, market conditions, and our team’s capacity, Strategy Y seems more practical.
발음: 쏘, 팩터링 인 더 버짓, 마켓 컨디션스, 앤 아워 팀즈 커패서티, 스트래터지 와이 심즈 모어 프랙티컬.
뜻: 그럼, 예산, 시장 상황, 우리 팀의 역량을 고려하면 Y 전략이 더 실용적으로 보입니다. -
표현: B: Agreed. All things considered, let’s proceed with developing Strategy Y further. We can revisit Strategy X when the market stabilizes.
발음: 어그리드. 올 띵스 컨시더드, 렛츠 프로시드 윋 디벨로핑 스트래터지 와이 퍼더. 위 캔 리비짓 스트래터지 엑스 웬 더 마켓 스테빌라이지즈.
뜻: 동의합니다. 모든 점을 고려해 보면, Y 전략을 더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진행합시다. 시장이 안정되면 X 전략을 다시 검토할 수 있을 겁니다. -
표현: A: Sounds like a plan. I’ll start drafting the detailed proposal for Strategy Y.
발음: 사운즈 라이크 어 플랜. 아일 스타트 드래프팅 더 디테일드 프로포절 포 스트래터지 와이.
뜻: 좋은 계획이네요. Y 전략에 대한 상세 제안서 초안 작성을 시작하겠습니다. -
표현: B: Excellent. Let’s ensure we’ve covered all bases before the final presentation.
발음: 엑설런트. 렛츠 인슈어 위브 커버드 올 베이시스 비포 더 파이널 프리젠테이션.
뜻: 좋습니다. 최종 발표 전에 모든 부분을 확실히 다루도록 합시다.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다양한 표현 사용: 대화에서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 ‘Considering all factors’, ‘On balance’, ‘Factoring in’, ‘All things considered’ 등 다양한 표현이 자연스럽게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대화를 풍부하게 하고 반복을 피하는 좋은 예시입니다.
- 논리적 흐름: 각 표현은 논의된 내용(예산, 시장 상황 등)을 바탕으로 다음 단계의 생각이나 결정을 이끌어내는 연결고리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대화가 논리적으로 진행됩니다.
- Viable (실행 가능한): ‘Viable’은 어떤 계획이나 아이디어가 성공적으로 실행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형용사입니다. 비즈니스 맥락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 “Is this plan financially viable?”)
- Budget-wise (예산 면에서는): ‘-wise’ 접미사는 ‘~의 관점에서’, ‘~면에서는’ 이라는 의미를 더합니다. ‘Cost-wise'(비용 면에서), ‘Time-wise'(시간 면에서)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편리한 표현입니다.
- Mindful of (염두에 두는, 유념하는): ‘Be mindful of something’은 어떤 것을 잊지 않고 주의하거나 고려한다는 의미입니다. (예: “Please be mindful of the noise.”)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와 비슷한 의미를 전달하지만, 뉘앙스나 사용 맥락이 조금씩 다른 표현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들을 알아두면 더욱 정교한 영어 구사가 가능해집니다.
1. 문장 내 위치에 따른 뉘앙스 차이
이 구문들은 문장의 시작, 중간, 끝 어디에나 위치할 수 있으며, 위치에 따라 강조점이나 문맥적 흐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문장 시작에 올 경우 (예: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 we should proceed.”)는 보통 결론을 도입하는 역할을 합니다. 청자가 이후 나올 내용이 종합적인 판단임을 인지하게 합니다.
문장 중간에 삽입될 경우 (예: “The project, all things considered, was a major success.”)는 부가적인 설명이나 판단의 근거를 제시하는 느낌을 줍니다. 주된 내용의 흐름을 잠시 끊고 고려 사항을 언급하는 방식입니다.
문장 끝에 올 경우 (예: “We decided to hire him,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는 이미 내려진 결정이나 진술에 대한 최종적인 정당화나 요약으로 기능합니다. 앞에서 말한 내용이 모든 것을 고려한 결과임을 마무리하며 강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각 위치에 따른 미묘한 뉘앙스를 이해하면 글이나 말의 흐름을 더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2. 유사 표현 간의 미묘한 의미 차이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 ‘All things considered’, ‘Considering all factors’, ‘On balance’ 등은 모두 ‘모든 것을 고려할 때’라는 기본 의미를 공유하지만, 약간의 뉘앙스 차이가 존재합니다.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와 ‘Considering all factors’는 과정 자체, 즉 여러 요소를 고려하는 행위에 조금 더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All things considered’는 좀 더 결과 지향적이며, 모든 것을 고려한 후의 최종적인 상태나 결론을 나타내는 데 자주 쓰입니다. 약간 더 구어적인 느낌을 줄 수도 있습니다.
‘On balance’는 상반되는 요소들(장단점, 이익과 손해 등)을 저울질한 후 균형점을 찾아 결론을 내릴 때 사용됩니다. 찬반 양론이 뚜렷한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Overall’이나 ‘In general’은 세부 사항보다는 전반적인 그림이나 경향을 요약할 때 적합합니다. 덜 형식적이고 포괄적인 느낌을 줍니다. 이러한 미묘한 차이를 인지하고 상황에 맞게 선택하면 더욱 정확한 의사 전달이 가능합니다.
3. 흔히 저지르는 실수와 주의점
이 표현들을 사용할 때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첫째, ‘account’ 대신 ‘consideration’을 사용하여 “Taking everything into consideration”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으며 의미는 거의 동일합니다. 둘째, ‘All things considered’는 수동적인 형태이므로 주어가 ‘all things’인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독립 분사 구문처럼 사용되어 문장 전체를 수식합니다. 셋째, 이 표현들은 이미 여러 요소를 고려했음을 전제하므로, 뒤따르는 내용이 너무 단편적이거나 편향된 시각을 제시하면 어색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즉, 표현에 걸맞게 균형 잡힌 시각이나 종합적인 결론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서 언급했듯이 과용을 피해야 합니다. 모든 문장이나 단락마다 사용하는 것은 부자연스러우며, 표현의 무게감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꼭 필요한 맥락에서 전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 구문은 단순한 표현을 넘어,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논리적 사고방식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들을 담고 있습니다. 이 구문의 핵심적인 가치를 세 가지 측면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종합적 사고의 중요성 전달
이 표현은 말하는 사람이 단편적인 정보나 한쪽 측면에 치우치지 않고, 관련된 모든 요소와 정보를 폭넓게 고려했음을 명확하게 전달합니다.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들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 협상, 연구 결과 발표, 정책 결정, 심지어 개인적인 문제 해결 과정에서도 여러 각도에서 상황을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은 필수적입니다.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라는 말은 듣는 사람에게 ‘나는 이 문제의 여러 측면을 충분히 검토했습니다’라는 신호를 보내 신뢰도를 높입니다. 이는 피상적인 판단을 넘어 깊이 있는 분석을 바탕으로 한 의견임을 보여주며, 의사결정 과정의 투명성과 합리성을 강조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2. 균형 잡힌 시각 제시
어떤 사안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이 표현을 사용하면 주관적인 감정이나 편견에 치우치지 않고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려 노력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세상의 많은 일들은 명확한 흑백논리로 설명하기 어렵고, 다양한 장단점이나 상반된 의견이 공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On balance’나 ‘All things considered’와 같은 표현은 이러한 복잡성을 인정하고, 여러 상충하는 요소들을 신중하게 저울질한 후 내린 결론임을 보여줍니다. 이는 독단적인 주장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을 포용한 합리적인 판단임을 시사하며,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과의 건설적인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이 됩니다. 특히 논쟁적인 주제를 다루거나 여러 이해관계자가 얽힌 상황에서 이러한 표현은 중립적이고 공정한 태도를 보여주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논리적 구조 형성 및 결론 도출
글이나 말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볼 때,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는 서론이나 본론에서 제시된 다양한 정보와 논거들을 하나로 묶어 최종적인 결론으로 나아가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복잡한 내용을 설명한 후 이 표현을 사용하면, ‘지금까지 논의한 모든 것을 바탕으로 이제 결론을 내리겠습니다’라는 명확한 신호가 됩니다. 이는 듣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이 정보의 흐름을 따라가고 핵심 메시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가령, 보고서의 결론 부분이나 프레젠테이션의 요약 슬라이드에서 이 표현으로 시작하면, 앞서 제시된 데이터와 분석들이 어떻게 최종 권고 사항이나 결정으로 이어지는지를 논리적으로 연결해 줍니다. 이는 주장의 설득력을 높이고,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마무리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자, 이제 ‘Taking everything into account’라는 표현이 더 이상 낯설거나 어렵게 느껴지지 않으시죠? 이 표현과 다양한 관련 구문들은 여러분이 복잡한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전달하는 데 큰 힘이 되어줄 거예요! 여러 요소를 고려해서 신중하게 결정을 내렸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을 때, 혹은 다양한 정보를 종합해서 결론을 이야기해야 할 때, 오늘 배운 표현들을 자신감 있게 사용해 보세요.
처음에는 어떤 상황에 어떤 표현을 써야 할지 조금 망설여질 수도 있어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오늘 배운 다양한 예문들을 참고하고, 실제 대화나 글쓰기에서 조금씩 적용해 보는 것이 중요해요. 가령, 다음번 팀 회의에서 의견을 제시할 때 “Considering all the feedback…” 라고 시작해 보거나, 친구와 여행 계획을 세울 때 “On balance, this option seems better.” 라고 말해보는 거죠. 작은 시도들이 모여 자연스러운 영어 실력으로 이어질 거예요!
여기서 멈추지 않고, 관련된 다른 표현들, 가령 ‘In conclusion’, ‘To sum up’, ‘Ultimately’ 등 결론을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들도 함께 익혀두시면 더욱 풍부한 영어 표현이 가능해질 겁니다. 꾸준한 연습과 실제 사용을 통해 ‘모든 것을 고려하는’ 스마트한 영어 사용자 되시길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