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 습관 표현 마스터하기: Used to와 Would의 차이점 완벽 정복
과거를 회상하며 “예전엔 ~하곤 했지”라고 말하고 싶을 때, ‘used to’와 ‘would’ 중 어떤 표현을 써야 할지 헷갈렸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비슷해 보이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는 이 두 표현 때문에 영어로 과거 이야기를 할 때 자신감이 떨어지셨을지도 모릅니다. 걱정 마세요! 이 글을 통해 ‘used to’와 ‘would’의 정확한 쓰임새와 뉘앙스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표현을 사용해야 하는지 확실히 알게 되실 거예요. 복잡하게 느껴졌던 과거 습관 표현, 이제 쉽고 재미있게 마스터해서 영어 회화 실력을 한 단계 끌어올려 보자고요!
목차
- ‘Used to’와 ‘Would’ 차이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Used to’: 과거의 습관과 상태 모두 표현하기
- ‘Would’: 과거의 반복적인 행동 묘사하기 (주로 회상)
- ‘Used to’ vs ‘Would’ 비교: 언제 무엇을 쓸까?
- 부정문과 의문문 만들기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어린 시절 추억 이야기하기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1. ‘Be used to’ vs. ‘Get used to’
- 2. 과거 습관을 나타내는 다른 방법들: Simple Past
- 3. 강조: ‘Did use to’
-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Used to’의 핵심 기능: 과거의 상태와 행동 (현재와의 단절)
- 2. ‘Would’의 핵심 기능: 과거의 반복적 행동 (회상과 스토리텔링)
- 3. 결정적 차이: 상태 동사(Stative Verbs) 사용 여부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Used to’와 ‘Would’ 차이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를 이야기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표현은 ‘used to’입니다. 이 표현 하나만 잘 알아두어도 과거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할 수 있습니다.
-
표현: used to [verb]
발음: [유스 투 동사원형]
뜻: ~하곤 했다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
‘Used to’는 과거에 규칙적으로 했던 행동이나 과거에 지속되었던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현재는 더 이상 그렇지 않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과거와 현재의 변화를 명확하게 보여줄 때 유용합니다. 이 표현은 과거의 ‘반복적인 행동’과 ‘지속적인 상태’ 모두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습니다. 예를 들어, “어렸을 때 이 공원에서 놀곤 했지” (행동) 또는 “예전에는 저기에 큰 나무가 있었지” (상태) 와 같은 말을 영어로 표현할 때 ‘used to’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Used to’와 ‘would’는 모두 과거의 일을 이야기할 때 사용되지만, 쓰임새에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상황에 맞게 정확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예문을 통해 그 차이를 익혀보겠습니다.
‘Used to’: 과거의 습관과 상태 모두 표현하기
‘Used to’는 과거에 반복적으로 했던 행동이나 과거에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하며, 현재는 그렇지 않다는 의미를 포함합니다.
-
표현: I used to play the piano every day.
발음: [아이 유스 투 플레이 더 피애노 에브리 데이]
뜻: 나는 매일 피아노를 치곤 했다. (지금은 치지 않음) -
표현: She used to live in London.
발음: [쉬 유스 투 리브 인 런던]
뜻: 그녀는 런던에 살았었다. (지금은 살지 않음) -
표현: We used to go camping every summer.
발음: [위 유스 투 고 캠핑 에브리 서머]
뜻: 우리는 매년 여름 캠핑을 가곤 했다. -
표현: There used to be a big tree in front of my house.
발음: [데어 유스 투 비 어 빅 트리 인 프런트 오브 마이 하우스]
뜻: 우리 집 앞에는 큰 나무가 있었다. (지금은 없음) -
표현: He used to be very shy.
발음: [히 유스 투 비 베리 샤이]
뜻: 그는 예전에 매우 수줍음이 많았다. (상태) -
표현: They used to visit their grandparents on weekends.
발음: [데이 유스 투 비짓 데어 그랜페어런츠 온 위켄즈]
뜻: 그들은 주말마다 조부모님을 찾아뵙곤 했다.
‘Would’: 과거의 반복적인 행동 묘사하기 (주로 회상)
‘Would’는 과거에 반복적으로 했던 행동을 묘사할 때 사용합니다. ‘Used to’와 달리 과거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주로 과거를 회상하며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며, 좀 더 문학적이거나 감성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Would’를 사용할 때는 보통 문맥상 과거 시점임이 명확해야 합니다.
-
표현: When I was young, I would visit my grandmother every Sunday.
발음: [웬 아이 워즈 영, 아이 우드 비짓 마이 그랜마더 에브리 선데이]
뜻: 어렸을 때, 나는 매주 일요일 할머니 댁을 방문하곤 했다. -
표현: Every morning, he would walk his dog in the park.
발음: [에브리 모닝, 히 우드 워크 히즈 도그 인 더 파크]
뜻: 매일 아침, 그는 공원에서 개를 산책시키곤 했다. -
표현: During the holidays, we would gather and sing songs together.
발음: [듀어링 더 할리데이즈, 위 우드 개더 앤 싱 송즈 투게더]
뜻: 휴일이면, 우리는 모여서 함께 노래를 부르곤 했다. -
표현: My father would read me a bedtime story every night.
발음: [마이 파더 우드 리드 미 어 베드타임 스토리 에브리 나잇]
뜻: 아버지는 매일 밤 나에게 잠자리 이야기를 읽어주시곤 했다. -
표현: She would often bring homemade cookies to the office.
발음: [쉬 우드 오픈 브링 홈메이드 쿠키즈 투 디 오피스]
뜻: 그녀는 종종 직접 만든 쿠키를 사무실에 가져오곤 했다. -
표현: In the summer, they would spend hours playing by the river.
발음: [인 더 서머, 데이 우드 스펜드 아워즈 플레잉 바이 더 리버]
뜻: 여름이면, 그들은 강가에서 몇 시간씩 놀곤 했다.
‘Used to’ vs ‘Would’ 비교: 언제 무엇을 쓸까?
가장 큰 차이점은 ‘used to’는 과거의 행동과 상태 모두에 사용 가능하지만, ‘would’는 주로 과거의 반복적인 행동에만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상태 동사(live, be, have, know, believe 등)와 함께 과거를 이야기할 때는 ‘used to’를 사용해야 합니다.
-
표현: I used to live in Busan. (O) / I would live in Busan. (X – 상태)
발음: [아이 유스 투 리브 인 부산] / [아이 우드 리브 인 부산]
뜻: 나는 부산에 살았었다. -
표현: He used to have long hair. (O) / He would have long hair. (X – 상태)
발음: [히 유스 투 해브 롱 헤어] / [히 우드 해브 롱 헤어]
뜻: 그는 머리가 길었었다. -
표현: We used to play hide-and-seek. (O) / We would play hide-and-seek. (O – 행동)
발음: [위 유스 투 플레이 하이드 앤 시크] / [위 우드 플레이 하이드 앤 시크]
뜻: 우리는 숨바꼭질을 하곤 했다. -
표현: My grandfather used to tell me stories. (O) / My grandfather would tell me stories. (O – 행동)
발음: [마이 그랜파더 유스 투 텔 미 스토리즈] / [마이 그랜파더 우드 텔 미 스토리즈]
뜻: 할아버지는 나에게 이야기를 해주시곤 했다. -
표현: There used to be a cinema here. (O) / There would be a cinema here. (X – 상태)
발음: [데어 유스 투 비 어 시네마 히어] / [데어 우드 비 어 시네마 히어]
뜻: 여기에는 영화관이 있었다.
부정문과 의문문 만들기
‘Used to’의 부정문과 의문문은 ‘did’를 사용합니다. ‘Used to’가 ‘use to’로 바뀌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Would’의 부정문은 ‘would not’ 또는 ‘wouldn’t’, 의문문은 ‘Would + 주어 ~?’ 형태로 만듭니다.
-
표현: I didn’t use to like vegetables.
발음: [아이 디든트 유즈 투 라이크 베지터블즈]
뜻: 나는 예전에 채소를 좋아하지 않았다. -
표현: Did you use to live here?
발음: [디드 유 유즈 투 리브 히어?]
뜻: 당신은 예전에 여기에 살았었나요? -
표현: He wouldn’t talk much about his past.
발음: [히 우든트 토크 머치 어바웃 히즈 패스트]
뜻: 그는 자신의 과거에 대해 말을 많이 하지 않곤 했다. -
표현: Would you visit them often when you were a child?
발음: [우드 유 비짓 뎀 오픈 웬 유 워 어 차일드?]
뜻: 어렸을 때 그들을 자주 방문하곤 했나요?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Used to’와 ‘would’를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영어 구사에 중요합니다. 다음 포인트들을 기억하면 실수를 줄이고 더 능숙하게 과거 이야기를 할 수 있습니다.
1. **상태 vs. 행동 구분하기:** 이것이 가장 핵심적인 차이입니다. 과거의 ‘상태'(~에 살았다, ~였다, ~을 가지고 있었다 등)를 말할 때는 반드시 ‘used to’를 사용해야 합니다. ‘Would’는 상태를 나타낼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I used to be a student” (나는 학생이었다)는 가능하지만, “I would be a student”는 어색합니다.
2. **’Would’는 명확한 과거 시점 필요:** ‘Would’를 사용하여 과거 습관을 이야기할 때는 문맥상 과거의 특정 시기(예: “When I was a child…”, “Every summer…”)가 명확하게 제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Used to’는 이러한 명시적인 시간 부사 없이도 단독으로 사용되어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반복 횟수:** ‘Would’는 여러 번 반복된 행동을 강조하는 뉘앙스가 강합니다. 반면 ‘Used to’는 단순히 과거에 그랬다는 사실을 전달하는 데 더 초점을 맞춥니다. 물론 ‘used to’도 반복된 행동에 쓰이지만, ‘would’만큼 그 반복성을 강하게 내포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4. **스토리텔링에서의 ‘Would’:** 과거의 경험을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나갈 때 ‘would’를 사용하면 좀 더 생생하고 감성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마치 과거의 장면을 그리듯이 묘사할 때 효과적입니다. “On rainy days, we would sit by the window and watch the raindrops race.” (비 오는 날이면, 우리는 창가에 앉아 빗방울 경주를 지켜보곤 했다.)
5. **부정문/의문문 형태 주의:** ‘Used to’의 부정문과 의문문에서는 ‘did’ 조동사를 사용하고 ‘use to'(d 제외) 형태로 바뀐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Did you use to…? / I didn’t use to…) ‘Would’는 조동사이므로 ‘wouldn’t’, ‘Would you…?’ 형태로 간단히 변형됩니다.
6. **’Used to’ 발음:** ‘Used to’ [juːstə]는 d 발음이 거의 들리지 않고 ‘유스터’처럼 발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의문문이나 부정문에서 ‘use to’ [juːz tə]는 z 발음이 약간 들릴 수 있습니다. 자연스러운 발음을 위해 유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7. **혼용 가능성 (행동 묘사 시):** 과거의 반복적인 ‘행동’을 묘사할 때는 ‘used to’와 ‘would’ 모두 사용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는 뉘앙스 차이(would가 좀 더 회상적이거나 반복성 강조)를 고려하여 선택하거나, 더 일반적으로는 ‘used to’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어린 시절 추억 이야기하기
* **상황:** 친구 사이인 A와 B가 오랜만에 만나 어린 시절 살던 동네를 거닐며 추억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 **역할:**
* A: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이야기를 주도하는 친구
* B: A의 이야기에 공감하며 자신의 기억을 덧붙이는 친구
-
표현: A: Wow, this street hasn’t changed much, has it? I remember we used to play soccer right here after school.
발음: [와우, 디스 스트릿 해즌트 체인지드 머치, 해즈 잇? 아이 리멤버 위 유스 투 플레이 사커 라잇 히어 애프터 스쿨.]
뜻: 와, 이 거리 별로 안 변했네, 그렇지? 우리 방과 후에 바로 여기서 축구하곤 했던 거 기억나. -
표현: B: Yeah, I remember that! And remember old Mr. Henderson? He used to sit on his porch and watch us.
발음: [예, 아이 리멤버 댓! 앤 리멤버 올드 미스터 헨더슨? 히 유스 투 싯 온 히즈 포치 앤 와치 어스.]
뜻: 응, 기억나! 그리고 헨더슨 할아버지 기억나? 현관에 앉아서 우리를 지켜보곤 하셨잖아. -
표현: A: Oh yeah! Sometimes, he would offer us lemonade on hot days. He was so kind.
발음: [오 예! 썸타임즈, 히 우드 오퍼 어스 레모네이드 온 핫 데이즈. 히 워즈 소 카인드.]
뜻: 아 맞아! 가끔 더운 날에는 우리에게 레모네이드를 주시곤 했지. 정말 친절하셨어. -
표현: B: He really was. And remember that big oak tree that used to be on the corner? It’s gone now.
발음: [히 리얼리 워즈. 앤 리멤버 댓 빅 오크 트리 댓 유스 투 비 온 더 코너? 잇츠 곤 나우.]
뜻: 정말 그러셨지. 그리고 저기 모퉁이에 있던 큰 떡갈나무 기억나? 지금은 없어졌네. -
표현: A: I know, it’s sad. We used to climb that tree all the time. I can’t believe it’s not here anymore.
발음: [아이 노우, 잇츠 새드. 위 유스 투 클라임 댓 트리 올 더 타임. 아이 캔트 빌리브 잇츠 낫 히어 애니모어.]
뜻: 알아, 슬프다. 우리 맨날 저 나무에 오르곤 했었는데. 더 이상 여기 없다니 믿기지가 않아. -
표현: B: Me neither. And do you remember the ice cream truck? Every afternoon around 4 PM, it would come down this street playing that catchy tune.
발음: [미 니더. 앤 두 유 리멤버 디 아이스크림 트럭? 에브리 애프터눈 어라운드 포 피엠, 잇 우드 컴 다운 디스 스트릿 플레잉 댓 캐치 튠.]
뜻: 나도 그래. 그리고 아이스크림 트럭 기억나? 매일 오후 4시쯤이면, 그 중독성 있는 멜로디를 틀면서 이 길로 내려오곤 했잖아. -
표현: A: Haha, yes! We would beg our moms for money and run out as fast as we could.
발음: [하하, 예스! 위 우드 베그 아워 맘즈 포 머니 앤 런 아웃 애즈 패스트 애즈 위 쿠드.]
뜻: 하하, 맞아! 엄마들한테 돈 달라고 조르고 최대한 빨리 뛰쳐나가곤 했지. -
표현: B: Those were the days. We didn’t use to have smartphones or fancy gadgets, but we had so much fun.
발음: [도우즈 워 더 데이즈. 위 디든트 유즈 투 해브 스마트폰즈 오어 팬시 개짓츠, 벗 위 해드 소 머치 펀.]
뜻: 그때가 좋았지. 스마트폰이나 멋진 기기들은 없었지만, 정말 재미있었어. -
표현: A: Definitely. On weekends, my family and I would often go for a picnic in the park nearby.
발음: [데피니틀리. 온 위켄즈, 마이 패밀리 앤 아이 우드 오픈 고 포 어 피크닉 인 더 파크 니어바이.]
뜻: 그럼. 주말이면, 우리 가족은 근처 공원으로 자주 소풍을 가곤 했어. -
표현: B: Oh, that sounds lovely. My dad used to take me fishing at the lake sometimes. I didn’t use to catch much, though!
발음: [오, 댓 사운즈 러블리. 마이 대드 유스 투 테이크 미 피싱 앳 더 레이크 썸타임즈. 아이 디든트 유즈 투 캐치 머치, 도우!]
뜻: 와, 좋았겠다. 우리 아빠는 가끔 나를 호수로 낚시 데려가곤 하셨어. 근데 많이 잡지는 못했었지!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1. **’Used to’ for Past Habits and States:** 대화 곳곳에서 과거의 습관(“used to play soccer”, “used to climb that tree”)과 상태(“used to sit on his porch”, “used to be on the corner”, “didn’t use to have smartphones”)를 나타내기 위해 ‘used to’가 자연스럽게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used to’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입니다.
2. **’Would’ for Repeated Actions in Reminiscence:** 과거를 회상하며 반복적인 행동을 묘사할 때 ‘would’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he would offer us lemonade”, “it would come down this street”, “We would beg our moms”, “my family and I would often go”). 이는 ‘used to’로 바꿔 써도 문법적으로 틀리지는 않지만, ‘would’를 사용함으로써 좀 더 생생하고 회상적인 느낌을 줍니다.
3. **Context for ‘Would’:** ‘Would’가 사용된 문장들을 보면, “Sometimes”, “Every afternoon”, “On weekends” 와 같이 특정 상황이나 시간적 배경이 함께 제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would’가 문맥 속에서 과거의 반복적 행동을 나타내는 데 더 자연스럽기 때문입니다.
4. **”Those were the days.”**: [도우즈 워 더 데이즈] “그때가 좋았지.” 과거를 그리워하며 자주 사용하는 관용적인 표현입니다. 친구와 추억을 이야기할 때 사용하기 좋습니다.
5. **”Didn’t use to…”**: [디든트 유즈 투] ‘~하곤 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used to’의 부정형입니다. ‘didn’t used to’가 아니라 ‘didn’t use to’ 형태임에 유의해야 합니다. B는 과거에는 스마트폰이 없었다는 상태를 말하기 위해 이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Used to’와 ‘would’ 외에도 과거 습관이나 익숙함과 관련된 유용한 표현들이 있습니다. 이 표현들을 함께 알아두면 영어 표현의 폭을 더욱 넓힐 수 있습니다.
1. ‘Be used to’ vs. ‘Get used to’
‘Used to’와 형태는 비슷하지만 의미는 완전히 다른 표현들입니다.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Be used to + (동)명사:** ‘~에 익숙하다’는 의미로, 현재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여기서 ‘to’는 전치사이므로 뒤에 명사나 동명사(ing 형태)가 옵니다.
* *예문:* I **am used to** waking up early. (나는 일찍 일어나는 것에 익숙하다.)
* *예문:* She **is used to** the noisy environment. (그녀는 시끄러운 환경에 익숙하다.)
* **Get used to + (동)명사:** ‘~에 익숙해지다’는 의미로,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익숙한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to’ 역시 전치사입니다.
* *예문:* It took me a while to **get used to** living alone. (혼자 사는 것에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좀 걸렸다.)
* *예문:* You will **get used to** the new software soon. (당신은 곧 새로운 소프트웨어에 익숙해질 것입니다.)
‘Used to + 동사원형’ (과거 습관)과 ‘Be/Get used to + (동)명사’ (익숙함)는 형태와 의미가 다르므로 명확히 구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2. 과거 습관을 나타내는 다른 방법들: Simple Past
과거의 습관적인 행동은 ‘used to’나 ‘would’ 없이 단순 과거 시제(Simple Past)와 빈도 부사(always, often, sometimes, never 등)를 함께 사용하여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 *예문:* When I was a student, I **always walked** to school. (학생이었을 때, 나는 항상 걸어서 학교에 갔다.) – ‘I used to always walk…’ 또는 ‘I would always walk…’ 와 비슷한 의미를 전달합니다.
* *예문:* My grandmother **often told** me fascinating stories. (할머니는 종종 나에게 흥미로운 이야기를 해주셨다.) – ‘My grandmother used to tell…’ 또는 ‘My grandmother would often tell…’ 과 유사합니다.
단순 과거 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간단한 방법일 수 있지만, ‘used to’는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의미를, ‘would’는 회상적인 느낌을 더 명확하게 전달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문맥과 전달하고자 하는 뉘앙스에 따라 적절한 표현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강조: ‘Did use to’
‘Used to’를 사용하여 말한 과거의 사실을 강조하거나, 상대방이 믿지 못할 때 “정말로 그랬었다!”라고 힘주어 말하고 싶을 때 ‘did use to’ 형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 You didn’t use to like coffee, did you? (너 예전에 커피 안 좋아했지, 그렇지?)
* *B:* Actually, I **did use to** drink it occasionally, but I prefer tea now. (사실, 가끔 마시긴 했었어. 그런데 지금은 차를 더 좋아해.)
* *예문:* I know it sounds strange, but I **did use to** have a pet snake! (이상하게 들리는 거 알지만, 나 정말로 애완 뱀을 키웠었어!)
이때 ‘did’가 조동사 역할을 하므로 뒤에는 ‘use to’ (d 없이) 형태가 옵니다. 발음할 때는 ‘did’를 강하게 말하여 강조의 의미를 살립니다.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Used to’와 ‘would’의 차이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각 표현의 핵심 기능과 사용 조건을 세부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Used to’의 핵심 기능: 과거의 상태와 행동 (현재와의 단절)
‘Used to’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과거에는 사실이었지만 현재는 더 이상 그렇지 않은 상태나 행동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과거와 현재 사이의 ‘단절’ 또는 ‘변화’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 **과거의 상태 (Past States):** ‘Used to’는 ‘live’, ‘be’, ‘have’, ‘know’, ‘believe’, ‘like’ 등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stative verbs)와 함께 쓰여 과거의 지속적인 상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would’로는 불가능한 ‘used to’만의 중요한 기능입니다.
* *예시:* I **used to believe** in Santa Claus. (나는 산타클로스를 믿었었다. – 지금은 믿지 않음)
* *예시:* This building **used to be** a library. (이 건물은 도서관이었다. – 지금은 아님)
* **과거의 반복적 행동 (Past Habits/Actions):** ‘Used to’는 과거에 규칙적으로 또는 습관적으로 했던 행동을 나타낼 때도 사용됩니다.
* *예시:* We **used to eat** out every Friday. (우리는 매주 금요일 외식을 하곤 했다. – 지금은 아님)
* **현재와의 대조 강조:** ‘Used to’는 종종 ‘but now…’ 와 함께 쓰여 과거와 현재의 차이를 명확하게 부각합니다.
* *예시:* She **used to** play tennis, but now she prefers swimming. (그녀는 테니스를 치곤 했지만, 지금은 수영을 더 좋아한다.)
2. ‘Would’의 핵심 기능: 과거의 반복적 행동 (회상과 스토리텔링)
‘Would’는 과거의 특정 시점에 반복적으로 일어났던 ‘행동’을 묘사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Used to’와 달리 상태 동사와는 함께 쓰일 수 없습니다.
* **반복적 행동 (Repeated Actions Only):** ‘Would’는 오직 동작 동사(action verbs)와 함께 사용되어 과거의 습관적인 행동을 나타냅니다.
* *예시:* Every summer, my family **would rent** a cabin by the lake. (매년 여름, 우리 가족은 호숫가 오두막을 빌리곤 했다.)
* *예시:* He **would always forget** his keys. (그는 항상 열쇠를 잊어버리곤 했다.)
* **회상과 묘사 (Reminiscence and Description):** ‘Would’는 과거를 회상하며 이야기할 때 자주 사용되며, 듣는 사람이 그 장면을 상상하도록 생생하게 묘사하는 느낌을 줍니다. 특히 개인적인 추억이나 과거의 일상을 이야기할 때 문장에 감성적인 분위기를 더합니다.
* *예시:* My grandmother **would bake** cookies for us whenever we visited. (우리가 방문할 때마다 할머니는 우리를 위해 쿠키를 구워주시곤 했다.)
* **문맥 의존성 (Context Dependency):** ‘Would’를 과거 습관의 의미로 사용하려면, 문맥상 과거 시점임이 분명해야 합니다. 주로 ‘When I was…’, ‘In those days…’, ‘Every [시간 단위]…’ 등 과거를 나타내는 표현과 함께 쓰입니다. 단독으로 쓰이면 미래의 추측이나 가정법 등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3. 결정적 차이: 상태 동사(Stative Verbs) 사용 여부
‘Used to’와 ‘would’를 구분하는 가장 명확하고 결정적인 기준은 상태 동사와의 결합 가능 여부입니다.
* **’Used to’ + 상태 동사 (O):** 가능합니다. (예: I used to know him. 나는 그를 알았었다.)
* **’Would’ + 상태 동사 (X):** 불가능합니다. (예: I would know him. – 과거 습관의 의미로는 사용 불가)
따라서 과거의 ‘상태’ (어디에 살았다, 무엇을 가지고 있었다, 무엇을 믿었다, 어떠했다 등)를 말하고 싶을 때는 고민 없이 ‘used to’를 사용해야 합니다. 과거의 ‘행동’을 말할 때는 ‘used to’와 ‘would’ 모두 가능하지만, ‘would’는 반복적인 행동을 회상하며 묘사하는 뉘앙스가 더 강하다는 점을 기억하면 좋습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자, 이제 ‘used to’와 ‘would’의 차이점이 명확하게 그려지시나요? 과거의 습관이나 상태를 이야기할 때 이 두 표현을 정확히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은 여러분의 영어 실력을 한층 더 자연스럽고 세련되게 만들어 줄 거예요!
핵심은 ‘used to’는 과거의 행동과 상태 모두에 사용 가능하며 현재와의 단절을 나타내는 반면, ‘would’는 주로 과거의 반복적인 행동을 회상하며 묘사할 때 사용되고 상태 동사와는 쓰일 수 없다는 점입니다! 이 차이만 확실히 기억해도 많은 혼동을 줄일 수 있답니다.
처음에는 조금 헷갈릴 수 있지만,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자꾸 연습하다 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여러분의 어린 시절 추억이나 예전에 자주 했던 일들을 영어로 한번 적어보세요. “I used to…” 와 “When I was young, I would…” 로 시작하는 문장들을 만들어보는 거죠. 친구나 스터디 파트너와 과거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좋은 연습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꾸준히 복습하고 실제 대화에서 사용해 보세요. 작은 실수에 너무 좌절하지 말고, 자신감을 가지고 계속 시도하는 것이 중요해요. 여러분도 곧 ‘used to’와 ‘would’를 자유자재로 사용하며 과거 이야기를 능숙하게 풀어내는 영어 실력자가 될 수 있을 거예요! 파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