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과를 강조하는 ‘So…That’ 구문 완벽 마스터하기
결과를 강조하며 원인과 결과를 명확하게 연결하고 싶을 때, 어떤 영어 표현을 써야 할지 막막하셨나요? 너무 피곤해서 일찍 잠자리에 들었다거나, 시험이 너무 어려워서 망쳤다는 등 일상적인 상황부터 중요한 설명까지, 원인과 그로 인한 결과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영어 실력 향상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걱정 마세요! 이 글에서는 원인과 결과를 세련되게 연결하며 결과를 강조하는 핵심 구문인 ‘so + 형용사/부사 + that’ 사용법을 아주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 이 구문 하나만 제대로 익혀도 여러분의 영어 표현력이 훨씬 풍부해질 거예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so…that’ 구문의 달인이 되어봅시다!
목차
- ‘So…That’ 구문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So…That’ 영어 문장
- ‘So + 형용사 + That’ 사용 예시
- ‘So + 부사 + That’ 사용 예시
- 구어체 및 기타 활용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영화 감상 후 대화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유사 표현과의 비교
- 1. ‘So…that’ vs. ‘Such…that’
- 2. ‘So…that’ vs. ‘Too…to’
- 3. ‘So…that’ vs. ‘Enough…to’
- ‘So…That’ 구문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So’의 역할: 강조 부사 (Intensifier)
- 2. 형용사/부사의 역할: 원인의 구체화
- 3. ‘That’ 절의 역할: 결과의 명시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So…That’ 표현하기
‘So…That’ 구문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원인으로 인한 결과를 강조하여 표현할 때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강력한 구조는 바로 ‘so + 형용사/부사 + that’입니다. 이 구조는 특정 상태나 행동의 정도가 매우 커서(so + 형용사/부사) 그 결과로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that 절)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
표현: so + adjective/adverb + that
발음: 쏘우 + 형용사/부사 + 댓
뜻: 너무 ~해서 ~하다
이 구문은 영어에서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가장 흔하고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형용사나 부사를 ‘so’ 뒤에 넣어 그 정도를 강조하고, ‘that’ 뒤에는 그 결과로 나타나는 상황이나 행동을 설명하는 절이 따릅니다. 일상 대화는 물론 글쓰기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므로 반드시 익혀두어야 할 필수 구문입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So…That’ 영어 문장
‘so…that’ 구문은 다양한 상황에서 원인과 결과를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형용사를 사용하는 경우와 부사를 사용하는 경우로 나누어 구체적인 예문들을 살펴보겠습니다.
‘So + 형용사 + That’ 사용 예시
상태나 성질의 정도가 매우 커서 어떤 결과가 발생했는지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
표현: The weather was so cold that we decided to stay indoors.
발음: 더 웨더 워즈 쏘우 콜드 댓 위 디사이디드 투 스테이 인도어즈.
뜻: 날씨가 너무 추워서 우리는 실내에 머물기로 결정했다. -
표현: She was so tired that she fell asleep immediately.
발음: 쉬 워즈 쏘우 타이어드 댓 쉬 펠 어슬립 이미디어틀리.
뜻: 그녀는 너무 피곤해서 즉시 잠들었다. -
표현: The book was so interesting that I couldn’t put it down.
발음: 더 북 워즈 쏘우 인터레스팅 댓 아이 쿠든트 풋 잇 다운.
뜻: 그 책은 너무 재미있어서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다. -
표현: He is so tall that he can easily reach the top shelf.
발음: 히 이즈 쏘우 톨 댓 히 캔 이질리 리치 더 탑 쉘프.
뜻: 그는 키가 너무 커서 맨 위 선반에 쉽게 닿을 수 있다. -
표현: The movie was so sad that many people cried.
발음: 더 무비 워즈 쏘우 새드 댓 매니 피플 크라이드.
뜻: 그 영화는 너무 슬퍼서 많은 사람들이 울었다. -
표현: The problem was so difficult that nobody could solve it.
발음: 더 프라블럼 워즈 쏘우 디피컬트 댓 노바디 쿠드 솔브 잇.
뜻: 그 문제는 너무 어려워서 아무도 풀 수 없었다. -
표현: It was so dark that I couldn’t see anything.
발음: 잇 워즈 쏘우 다크 댓 아이 쿠든트 씨 애니씽.
뜻: 너무 어두워서 나는 아무것도 볼 수 없었다.
‘So + 부사 + That’ 사용 예시
행동의 방식이나 정도가 매우 커서 어떤 결과가 발생했는지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
표현: He ran so quickly that I couldn’t catch him.
발음: 히 랜 쏘우 퀴클리 댓 아이 쿠든트 캐치 힘.
뜻: 그는 너무 빨리 달려서 나는 그를 잡을 수 없었다. -
표현: She spoke so softly that I could barely hear her.
발음: 쉬 스포크 쏘우 소프틀리 댓 아이 쿠드 베얼리 히어 허.
뜻: 그녀는 너무 작게 말해서 나는 그녀의 말을 거의 들을 수 없었다. -
표현: He worked so hard that he achieved great success.
발음: 히 웍트 쏘우 하드 댓 히 어치브드 그레잇 석세스.
뜻: 그는 너무 열심히 일해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
표현: They played so well that they won the championship.
발음: 데이 플레이드 쏘우 웰 댓 데이 원 더 챔피언십.
뜻: 그들은 너무 잘해서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
표현: The car drove so fast that it disappeared in seconds.
발음: 더 카 드로우브 쏘우 패스트 댓 잇 디서피어드 인 세컨즈.
뜻: 그 차는 너무 빨리 달려서 순식간에 사라졌다. -
표현: She sang so beautifully that everyone was moved.
발음: 쉬 생 쏘우 뷰티풀리 댓 에브리원 워즈 무브드.
뜻: 그녀는 너무 아름답게 노래해서 모두가 감동받았다. -
표현: He explained the concept so clearly that even beginners understood it.
발음: 히 익스플레인드 더 컨셉트 쏘우 클리얼리 댓 이븐 비기너스 언더스투드 잇.
뜻: 그는 그 개념을 너무 명확하게 설명해서 초보자들조차 그것을 이해했다.
구어체 및 기타 활용
일상 대화에서는 ‘that’이 생략되기도 하며, 다양한 시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표현: I was so hungry (that) I ate everything on the plate.
발음: 아이 워즈 쏘우 헝그리 (댓) 아이 에이트 에브리씽 온 더 플레이트.
뜻: 나는 너무 배고파서 접시에 있는 모든 것을 먹었다. (구어체에서는 that 생략 가능) -
표현: The traffic will be so bad that we might be late.
발음: 더 트래픽 윌 비 쏘우 배드 댓 위 마이트 비 레이트.
뜻: 교통 체증이 너무 심해서 우리는 늦을지도 모른다. (미래 시제 활용) -
표현: It rained so heavily that the streets were flooded.
발음: 잇 레인드 쏘우 헤빌리 댓 더 스트리츠 워 플러디드.
뜻: 비가 너무 세차게 와서 거리들이 침수되었다. (부사 heavily 사용)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so…that’ 구문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아두면 좋습니다. 이 포인트들을 기억하면 더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이 구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형용사 vs. 부사 구분하기: ‘so’ 다음에는 문맥에 맞는 형용사나 부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설명할 때는 형용사 (e.g., He is so kind that…), 동사의 방식이나 정도를 설명할 때는 부사 (e.g., He speaks so kindly that…)를 사용합니다. Be 동사나 감각 동사 뒤에는 형용사가, 일반 동사를 수식할 때는 부사가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 ‘That’ 절의 역할 이해하기: ‘that’ 뒤에는 완전한 절(주어 + 동사…)이 와야 합니다. 이 절은 ‘so + 형용사/부사’로 표현된 원인의 ‘결과’를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The coffee was so hot that…” 까지만 말하면 문장이 완성되지 않습니다. “…that I burned my tongue.” 와 같이 결과를 나타내는 절이 필요합니다.
- 자주 쓰이는 형용사/부사 익숙해지기: ‘so…that’ 구문과 자주 함께 쓰이는 형용사(tired, happy, sad, busy, difficult, easy, expensive, cheap 등)와 부사(quickly, slowly, well, badly, hard, early, late 등)를 익혀두면 표현력이 풍부해집니다.
- 구어체에서의 ‘That’ 생략: 비공식적인 대화에서는 ‘that’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I was so tired I went straight to bed.” 처럼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식적인 글쓰기나 발표에서는 ‘that’을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 ‘So’와 ‘Very’의 차이 인지하기: ‘Very’는 단순히 정도를 강조하지만(‘very tired’ – 매우 피곤한), ‘so’는 ‘so…that’ 구문에서 결과를 이끌어내는 강한 원인을 나타냅니다(‘so tired that…’ – 너무 피곤해서 ~하다). ‘So’는 결과와의 연결성을 내포합니다.
- 부정문과의 결합: ‘so…that’ 구문은 부정문과도 자연스럽게 결합됩니다. “He wasn’t so sick that he needed to go to the hospital.” (그는 병원에 갈 필요가 있을 정도로 그렇게 아프지는 않았다.) 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감탄문과의 연관성: “He is so kind!” 와 같은 감탄문은 종종 ‘so…that’ 구문의 원인 부분을 함축적으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듣는 사람은 그 친절함으로 인해 어떤 긍정적인 결과가 있었을지 예상할 수 있습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영화 감상 후 대화
친구와 함께 최근에 본 영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상황입니다. 영화가 너무 감동적이어서 눈물을 흘렸다는 내용을 ‘so…that’ 구문을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
표현: A: Hey, did you enjoy the movie last night?
발음: 헤이, 디쥬 인조이 더 무비 라스트 나잇?
뜻: 이봐, 어젯밤 영화 재미있었어? -
표현: B: Oh, absolutely! It was fantastic. But honestly, it was so moving that I actually cried a little.
발음: 오, 앱솔루틀리! 잇 워즈 판타스틱. 벗 아너스틀리, 잇 워즈 쏘우 무빙 댓 아이 액추얼리 크라이드 어 리틀.
뜻: 오, 그럼! 정말 멋졌어. 근데 솔직히, 너무 감동적이어서 나 사실 조금 울었어. -
표현: A: Really? I didn’t see you crying! I thought the ending was quite powerful too.
발음: 리얼리? 아이 디든트 씨 유 크라잉! 아이 똣 디 엔딩 워즈 콰이트 파워풀 투.
뜻: 정말? 네가 우는 걸 못 봤는데! 나도 결말이 꽤 강력하다고 생각했어. -
표현: B: Yeah, I tried to hide it. The main character’s final speech was so emotional that I couldn’t help myself.
발음: 예아, 아이 트라이드 투 하이드 잇. 더 메인 캐릭터스 파이널 스피치 워즈 쏘우 이모셔널 댓 아이 쿠든트 헬프 마이셀프.
뜻: 응, 숨기려고 했지. 주인공의 마지막 연설이 너무 감정적이어서 어쩔 수가 없었어. -
표현: A: I know what you mean. The actor delivered his lines so convincingly that it felt incredibly real.
발음: 아이 노우 왓 유 민. 디 액터 딜리버드 히즈 라인즈 쏘우 컨빈싱리 댓 잇 펠트 인크레더블리 리얼.
뜻: 무슨 말인지 알아. 그 배우가 대사를 너무 설득력 있게 전달해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현실감 있게 느껴졌어. -
표현: B: Exactly! And the music was so beautiful that it amplified all the feelings.
발음: 이그잭틀리! 앤 더 뮤직 워즈 쏘우 뷰티풀 댓 잇 앰플리파이드 올 더 필링스.
뜻: 맞아! 그리고 음악이 너무 아름다워서 모든 감정을 증폭시켰어. -
표현: A: Definitely. Some scenes were so intense that I was on the edge of my seat.
발음: 데피니틀리. 썸 씬즈 워 쏘우 인텐스 댓 아이 워즈 온 디 에지 오브 마이 싯.
뜻: 그럼. 어떤 장면들은 너무 긴장감 넘쳐서 정말 조마조마했어. -
표현: B: Me too! It was so well-made that I’d definitely watch it again.
발음: 미 투! 잇 워즈 쏘우 웰-메이드 댓 아이드 데피니틀리 와치 잇 어게인.
뜻: 나도! 너무 잘 만들어져서 꼭 다시 볼 거야. -
표현: A: Same here. It’s been a while since a movie affected me so much.
발음: 세임 히어. 잇츠 빈 어 와일 신스 어 무비 어펙티드 미 쏘우 머치.
뜻: 나도 그래. 영화가 나에게 이렇게 큰 영향을 준 건 오랜만이야. -
표현: B: Agreed. It was so thought-provoking that I’m still thinking about it today.
발음: 어그리드. 잇 워즈 쏘우 똣-프로보킹 댓 아임 스틸 띵킹 어바웃 잇 투데이.
뜻: 동의해. 너무 생각을 많이 하게 만들어서 오늘까지도 계속 생각하고 있어.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so moving that…’: ‘moving’은 ‘감동적인’이라는 뜻의 형용사입니다. 영화나 이야기 등이 너무 감동적이어서(so moving) 그 결과로 울었다(that I cried)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so emotional that…’: ’emotional’은 ‘감정을 자극하는’, ‘감정적인’이라는 뜻입니다. 연설이 너무 감정적이어서(so emotional) 자신을 주체할 수 없었다(that I couldn’t help myself)는 결과를 설명합니다. ‘couldn’t help oneself’는 ‘어쩔 수 없었다’는 관용 표현입니다.
- ‘so convincingly that…’: ‘convincingly’는 ‘설득력 있게’라는 뜻의 부사입니다. 배우가 대사를 너무 설득력 있게 전달해서(so convincingly) 그 결과로 매우 현실감 있게 느껴졌다(that it felt incredibly real)는 의미입니다. 부사 ‘convincingly’가 동사 ‘delivered’를 수식합니다.
- ‘so beautiful that…’: 음악이 너무 아름다워서(so beautiful) 그 결과로 감정을 증폭시켰다(that it amplified all the feelings)는 관계를 보여줍니다.
- ‘so well-made that…’: ‘well-made’는 ‘잘 만들어진’이라는 뜻의 형용사입니다. 영화가 너무 잘 만들어져서(so well-made) 다시 보고 싶다(that I’d watch it again)는 결과를 나타냅니다.
이 대화에서는 다양한 형용사(moving, emotional, beautiful, intense, well-made, thought-provoking)와 부사(convincingly)가 ‘so…that’ 구문과 함께 사용되어 감상평을 풍부하고 구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유사 표현과의 비교
‘so…that’ 구문은 원인과 결과를 강조하는 유용한 표현이지만, 비슷한 의미를 전달하는 다른 구조들과의 차이점을 이해하면 더욱 정확한 영어 구사가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such…that’, ‘too…to’, ‘enough…to’ 와의 차이점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So…that’ vs. ‘Such…that’
‘So…that’과 ‘Such…that’은 둘 다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지만, 문법적 구조와 강조하는 바가 약간 다릅니다. ‘So’ 다음에는 형용사나 부사가 오지만, ‘Such’ 다음에는 명사구(형용사 + 명사)가 옵니다. ‘Such’는 명사가 포함된 구 전체의 성질이나 정도를 강조합니다.
- So…that: The test was so difficult that many students failed. (시험이 너무 어려워서 많은 학생들이 낙제했다. – ‘difficult’라는 형용사 강조)
- Such…that: It was such a difficult test that many students failed. (그것은 너무 어려운 시험이어서 많은 학생들이 낙제했다. – ‘a difficult test’라는 명사구 강조)
‘Such’ 다음에는 관사(a/an)가 필요할 수 있으며, 명사가 복수이거나 셀 수 없는 명사일 경우 관사 없이 사용됩니다.
- She has such beautiful eyes that everyone notices them. (그녀는 너무 아름다운 눈을 가져서 모두가 그것을 알아챈다. – 복수 명사)
- He showed such kindness that we were all impressed. (그는 너무나 친절함을 보여서 우리 모두 감명받았다. – 셀 수 없는 명사)
결론적으로, 강조하려는 것이 형용사나 부사 자체의 정도라면 ‘so…that’을, 명사를 포함한 구 전체의 성격이라면 ‘such…that’을 사용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의미상 큰 차이는 없지만 문법 구조에 맞춰 사용해야 합니다.
2. ‘So…that’ vs. ‘Too…to’
‘Too + 형용사/부사 + to 부정사’ 구문은 어떤 것이 ‘지나치게 ~해서 …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됩니다. ‘so…that’ 구문은 긍정적인 결과와 부정적인 결과 모두를 나타낼 수 있지만, ‘too…to’는 거의 항상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집니다.
- So…that (부정 결과): The coffee was so hot that I couldn’t drink it. (커피가 너무 뜨거워서 마실 수 없었다.)
- Too…to: The coffee was too hot to drink. (커피가 마시기에는 너무 뜨거웠다.)
두 문장은 비슷한 의미를 전달하지만, ‘too…to’가 구조적으로 더 간결합니다. 하지만 ‘so…that’은 결과를 나타내는 ‘that’ 절에 주어를 명시할 수 있어 의미를 더 명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he box is so heavy that *I* can’t lift it.” 처럼 누가 들 수 없는지를 명확히 할 수 있지만, “The box is too heavy to lift.”는 일반적인 사실을 말하거나 문맥상 주어가 분명할 때 사용됩니다.
‘So…that’은 긍정적인 결과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He is so smart that he can solve any problem.” (그는 너무 똑똑해서 어떤 문제든 풀 수 있다.) 하지만 ‘too…to’로는 이런 긍정적인 의미를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3. ‘So…that’ vs. ‘Enough…to’
‘형용사/부사 + enough + to 부정사’ 구문은 어떤 것을 하기에 ‘충분히 ~하다’는 긍정적인 가능성이나 능력을 나타냅니다. 이는 ‘so…that’ 구문이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때와 유사한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강조점과 구조가 다릅니다.
- So…that (긍정 결과): He is so strong that he can lift the heavy box. (그는 너무 힘이 세서 그 무거운 상자를 들 수 있다.)
- Enough…to: He is strong enough to lift the heavy box. (그는 그 무거운 상자를 들기에 충분히 힘이 세다.)
‘So…that’은 ‘strong’이라는 성질의 ‘정도’를 강조하여 그 결과로 상자를 들 수 있음을 나타내는 반면, ‘enough…to’는 상자를 드는 행위를 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졌다는 ‘조건 충족’에 초점을 맞춥니다. ‘Enough’는 형용사나 부사 뒤에 위치하며, 명사와 함께 쓰일 때는 ‘enough + 명사’ 형태로 명사 앞에 옵니다 (e.g., enough money, enough time).
부정형으로 쓰일 때는 ‘not + 형용사/부사 + enough + to 부정사’ 형태가 되며, 이는 ‘too…to’와 비슷한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 He is not strong enough to lift the box. (그는 상자를 들기에 충분히 힘이 세지 않다.)
- He is too weak to lift the box. (그는 너무 약해서 상자를 들 수 없다.)
이처럼 각 구문은 미묘한 뉘앙스와 구조적 차이를 가지므로,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와 강조점에 가장 적합한 표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o…That’ 구문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so…that’ 구문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구성 요소들을 하나씩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 구조를 이루는 각 부분의 역할과 기능을 알면 더욱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So’의 역할: 강조 부사 (Intensifier)
구문에서 ‘so’는 뒤따르는 형용사나 부사를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단순히 ‘매우(very)’라는 의미를 넘어서, 어떤 상태나 행동의 정도가 매우 커서 특정 결과를 초래할 정도임을 나타냅니다. ‘So’는 이어지는 ‘that’ 절의 결과와 직접적인 인과 관계를 형성하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 예시: “The music was loud.” (음악 소리가 컸다.) – 단순 사실 전달.
- 예시: “The music was very loud.” (음악 소리가 매우 컸다.) – 정도 강조.
- 예시: “The music was so loud that we couldn’t hear each other speak.” (음악 소리가 너무 커서 그 결과로 우리는 서로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없었다.) – 결과와 연결된 강한 정도 강조.
‘So’는 이 구문에서 단순한 강조를 넘어 결과절을 이끌어내는 강력한 원인을 제시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2. 형용사/부사의 역할: 원인의 구체화
‘So’ 바로 뒤에는 문맥에 따라 형용사 또는 부사가 위치합니다. 이 형용사나 부사는 결과를 초래한 구체적인 원인(상태, 성질, 방식)을 설명합니다.
- 형용사 사용 시: 주어의 상태나 성질을 설명합니다. (e.g., “She was so happy that she jumped for joy.” – 그녀가 ‘행복한’ 상태가 원인)
- 부사 사용 시: 동사가 나타내는 행동의 방식이나 정도를 설명합니다. (e.g., “He drove so carelessly that he caused an accident.” – 그가 ‘부주의하게’ 운전한 방식이 원인)
어떤 형용사나 부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문장의 의미가 크게 달라지므로, 전달하고자 하는 원인을 가장 잘 나타내는 단어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Be 동사나 seem, feel, look 등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 뒤에는 주로 형용사가 오고, 일반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동사를 수식할 때는 부사가 사용됩니다.
3. ‘That’ 절의 역할: 결과의 명시
‘That’은 결과를 나타내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입니다. ‘That’ 뒤에는 주어와 동사를 갖춘 완전한 문장 형태의 절이 와서, ‘so + 형용사/부사’로 표현된 원인 때문에 발생한 구체적인 결과를 설명합니다.
- 원인: The soup was so salty… (수프가 너무 짰다…)
- 결과 (That 절): …that I couldn’t eat it. (…그래서 나는 그것을 먹을 수 없었다.)
이 ‘that’ 절은 ‘so’로 강조된 원인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결과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구어체에서는 가끔 ‘that’이 생략되기도 하지만, 문장의 완전한 의미 전달과 구조적 명확성을 위해서는 ‘that’을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That’ 절의 내용은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습니다.
- 긍정 결과: The explanation was so clear that everyone understood. (설명이 너무 명확해서 모두가 이해했다.)
- 부정 결과: He spoke so quickly that I couldn’t understand him. (그가 너무 빨리 말해서 나는 그를 이해할 수 없었다.)
이 세 가지 요소(‘so’, 형용사/부사, ‘that’ 절)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원인과 그로 인한 결과를 강조하는 강력하고 명확한 표현인 ‘so…that’ 구문을 형성합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So…That’ 표현하기
자, 이제 ‘so + 형용사/부사 + that’ 구문에 대해 확실히 알게 되셨죠!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졌을 수도 있지만, 원인과 결과를 명확하게 연결하고 싶을 때 이 구문이 얼마나 유용한지 느끼셨을 거예요. “날씨가 너무 좋아서 공원에 갔다” (The weather was so nice that I went to the park) 라거나, “그녀는 너무 친절해서 모두가 그녀를 좋아한다” (She is so kind that everyone likes her) 처럼, 일상에서 정말 자주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랍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그냥 머릿속에만 두지 마세요! 가장 좋은 학습 방법은 직접 사용해보는 것이니까요. 주변 친구나 동료에게 오늘 있었던 일을 이야기할 때, 또는 영어 일기를 쓸 때 ‘so…that’ 구문을 의식적으로 사용해보세요. 처음에는 어색할 수 있지만, 몇 번 사용하다 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예를 들어, “오늘 일이 너무 많아서 정말 피곤했어!”라고 말하고 싶을 때, “I had so much work today that I felt really tired!”라고 바꿔 말해보는 거죠.
혹시 ‘so…that’과 ‘such…that’, ‘too…to’의 차이가 아직 헷갈리시나요? 괜찮아요! 오늘 배운 내용을 다시 한번 복습하고, 다양한 예문을 접하면서 그 미묘한 차이를 느껴보는 것이 중요해요. 여러 문장을 직접 만들어보는 연습을 하면 더욱 확실하게 감을 잡을 수 있을 겁니다.
영어를 배운다는 것은 단순히 단어와 문법 규칙을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더 풍부하고 정확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이에요. ‘so…that’ 구문은 여러분의 표현력을 한 단계 끌어올려 줄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자신감을 가지고 꾸준히 연습하면, 어느새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이 구문을 사용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거예요. 포기하지 말고 계속 도전하세요! 여러분의 영어 학습 여정을 항상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