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브릭, 영어로 어떻게 말할까요? 원단 관련 필수 영어 표현 총정리
옷이나 가구를 고를 때 ‘패브릭’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지만, 막상 영어로는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다양한 원단의 종류와 특징을 영어로 정확하게 설명하고 싶거나, 해외에서 원단을 구매해야 할 때 어떤 말을 써야 할지 고민되셨을 겁니다. 걱정 마세요! 이 글을 통해 패브릭과 관련된 필수 영어 표현들을 쉽고 명확하게 익힐 수 있습니다. 복잡하게 느껴졌던 원단 관련 용어부터 실생활 대화까지, 지금부터 저와 함께 패브릭 영어 표현을 마스터해 보세요!
목차
- 패브릭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패브릭 관련 영어 문장
- 원단 종류 및 재질 문의하기
- 원단의 특징 및 질감 설명하기
- 원단 구매 및 관리 관련 표현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패브릭 영어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패브릭 쇼핑 대화 예시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패브릭 관련 지식
- 1. 흔히 사용되는 원단 혼방 (Common Fabric Blends)
- 2. 원단의 직조 방식 이해하기 (Understanding Fabric Weaves)
- 3. 패션 및 인테리어 디자인 속 패브릭 용어 (Fabric Terminology in Fashion and Interior Design)
- 패브릭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섬유의 종류: 천연 섬유 vs. 인조 섬유 (Fiber Types: Natural vs. Synthetic)
- 2. 원단 구조: 직물 vs. 편물 vs. 부직포 (Fabric Construction: Woven vs. Knit vs. Non-woven)
- 3. 원단 마감 및 가공 처리 (Fabric Finishes and Treatments)
- 마치며: 패브릭 관련 영어, 이제 자신 있게 사용하세요!
패브릭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패브릭에 해당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포괄적인 영어 단어는 무엇일까요? 바로 이 단어입니다.
-
표현: Fabric
발음: [패브릭]
뜻: 직물, 천, 원단
Fabric은 옷감, 커튼, 가구 덮개 등 실로 짜거나 엮어서 만든 모든 종류의 천을 아우르는 가장 일반적인 단어입니다. 섬유의 종류(면, 실크, 폴리에스터 등)나 직조 방식(평직, 능직 등)에 관계없이 널리 사용되죠. 따라서 어떤 종류의 천이든 기본적으로 ‘fabric’이라고 부르면 의미가 통합니다. 일상 대화는 물론, 전문적인 상황에서도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핵심 어휘이므로 반드시 기억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패브릭 관련 영어 문장
패브릭과 관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영어 표현은 매우 다양합니다. 원단의 종류를 묻거나, 재질의 특징을 설명하거나, 세탁 방법을 문의하는 등 상황에 따라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영어 문장들을 소개합니다.
원단 종류 및 재질 문의하기
상점에서 원하는 원단을 찾거나 옷의 소재를 물어볼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What kind of fabric is this?
발음: [왓 카인드 오브 패브릭 이즈 디스?]
뜻: 이건 어떤 종류의 원단인가요? -
표현: What is this material made of?
발음: [왓 이즈 디스 머티리얼 메이드 오브?]
뜻: 이 소재는 무엇으로 만들어졌나요? -
표현: Is this 100% cotton?
발음: [이즈 디스 원 헌드레드 퍼센트 코튼?]
뜻: 이거 100% 면인가요? -
표현: Do you have this in silk?
발음: [두 유 해브 디스 인 실크?]
뜻: 이거 실크 소재로 있나요? -
표현: I’m looking for a lightweight fabric for summer clothes.
발음: [아임 루킹 포 어 라이트웨이트 패브릭 포 썸머 클로즈.]
뜻: 여름 옷에 쓸 가벼운 원단을 찾고 있어요.
원단의 특징 및 질감 설명하기
원단의 부드러움, 신축성, 두께 등 구체적인 특징이나 만졌을 때의 느낌을 표현할 때 유용합니다.
-
표현: This fabric feels very soft.
발음: [디스 패브릭 필즈 베리 소프트.]
뜻: 이 원단은 감촉이 아주 부드럽네요. -
표현: It has a nice texture.
발음: [잇 해즈 어 나이스 텍스처.]
뜻: 질감이 좋네요. -
표현: Is this fabric stretchy?
발음: [이즈 디스 패브릭 스트레치?]
뜻: 이 원단은 신축성이 있나요? -
표현: This material is quite thick and durable.
발음: [디스 머티리얼 이즈 콰이트 씩 앤 듀러블.]
뜻: 이 소재는 꽤 두껍고 튼튼해요. -
표현: I prefer breathable fabrics like linen or cotton.
발음: [아이 프리퍼 브리더블 패브릭스 라이크 리넨 오어 코튼.]
뜻: 저는 리넨이나 면처럼 통기성이 좋은 원단을 선호해요.
원단 구매 및 관리 관련 표현
원단을 구매할 때 필요한 양을 말하거나, 세탁 및 관리 방법을 문의할 때 사용하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How much is this fabric per yard/meter?
발음: [하우 머치 이즈 디스 패브릭 퍼 야드/미터?]
뜻: 이 원단은 1야드/미터당 얼마인가요? -
표현: I need three yards of this fabric.
발음: [아이 니드 쓰리 야즈 오브 디스 패브릭.]
뜻: 이 원단 3야드 주세요. -
표현: How should I wash this fabric?
발음: [하우 슈드 아이 워시 디스 패브릭?]
뜻: 이 원단은 어떻게 세탁해야 하나요? -
표현: Is this machine washable?
발음: [이즈 디스 머신 워셔블?]
뜻: 이거 기계 세탁 가능한가요? -
표현: Does this fabric shrink after washing?
발음: [더즈 디스 패브릭 슈링크 애프터 워싱?]
뜻: 이 원단은 세탁 후에 줄어드나요? -
표현: Can this fabric be ironed?
발음: [캔 디스 패브릭 비 아이언드?]
뜻: 이 원단 다림질해도 되나요?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패브릭 영어 핵심 포인트
패브릭 관련 영어 표현을 익혔다면 이제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패브릭 영어를 사용할 때 기억하면 좋은 몇 가지 핵심 포인트입니다.
- 구체적인 원단 이름 사용하기: ‘Fabric’은 일반적인 용어이지만, 가능하면 cotton(면), silk(실크), wool(울), linen(리넨), polyester(폴리에스터), nylon(나일론), rayon(레이온) 등 구체적인 원단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더 명확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I’m looking for a cotton fabric” (면 원단을 찾고 있어요) 처럼 말할 수 있습니다.
- 질감과 느낌 묘사하기: 원단을 직접 만져보고 느낌을 표현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Soft(부드러운), rough(거친), smooth(매끄러운), textured(질감이 있는), stretchy(신축성 있는), stiff(뻣뻣한) 등의 형용사를 활용하면 좋습니다. “This silk feels very smooth” (이 실크는 아주 매끄럽네요)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용도 설명하기: 어떤 용도로 원단을 찾는지 명확히 밝히면 상대방이 더 적합한 원단을 제안해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 need fabric for curtains” (커튼용 원단이 필요해요), “This is for a summer dress” (이건 여름 원피스용이에요), “I’m looking for upholstery fabric” (가구 덮개용 원단을 찾고 있어요) 처럼 구체적으로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단위 확인하기: 원단을 구매할 때는 길이를 재는 단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국 등에서는 주로 야드(yard)를 사용하고, 미터법을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미터(meter)를 사용합니다. “How much is it per yard?” 또는 “How much is it per meter?” 라고 정확히 물어보세요. (1야드는 약 0.914미터입니다.)
- 관리 방법 질문하기: 옷이나 원단을 구매할 때는 세탁 및 관리 방법을 꼭 확인하세요. “How should I care for this fabric?” (이 원단은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 “Is it dry clean only?” (드라이클리닝만 가능한가요?) 등의 질문은 옷을 오랫동안 좋은 상태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케어 라벨(care label)을 확인하는 습관도 중요합니다.
- 색상과 패턴 표현 익히기: 원하는 색상이나 패턴을 설명하는 표현도 알아두면 유용합니다. Solid color(단색), striped(줄무늬), floral print(꽃무늬), geometric pattern(기하학적 무늬), polka dot(물방울 무늬) 등의 표현을 사용해 보세요. “Do you have this in a solid blue color?” (이거 단색 파란색으로 있나요?) 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혼방(Blend) 이해하기: 많은 원단은 여러 종류의 섬유를 섞어 만듭니다 (혼방). 예를 들어 ‘cotton-polyester blend’는 면과 폴리에스터 혼방을 의미합니다. 혼방 원단은 각 섬유의 장점을 결합하여 내구성, 관리 용이성 등을 높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분표(content label)를 확인하여 어떤 섬유가 혼합되었는지 알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패브릭 쇼핑 대화 예시
상황: 고객(A)이 커튼을 만들기 위해 원단 가게에 방문하여 점원(B)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상황입니다.
-
표현: A: Excuse me, I’m looking for some fabric for curtains.
발음: [익스큐즈 미, 아임 루킹 포 썸 패브릭 포 커튼즈.]
뜻: 실례합니다, 커튼 만들 원단을 좀 찾고 있어요. -
표현: B: Sure, I can help you with that. What kind of style or color are you thinking of?
발음: [슈어, 아이 캔 헬프 유 윗 댓. 왓 카인드 오브 스타일 오어 컬러 아 유 씽킹 오브?]
뜻: 그럼요, 도와드릴게요. 어떤 스타일이나 색상을 생각하고 계신가요? -
표현: A: I want something modern and preferably in a neutral color, like beige or light gray.
발음: [아이 원트 썸띵 모던 앤 프리퍼러블리 인 어 뉴트럴 컬러, 라이크 베이지 오어 라이트 그레이.]
뜻: 모던한 스타일이 좋고, 베이지나 라이트 그레이 같은 무난한 색상이면 좋겠어요. -
표현: B: Okay, we have a great selection of neutral fabrics over here. Are you looking for a specific material? Like cotton, linen, or maybe something heavier like velvet for blackout curtains?
발음: [오케이, 위 해브 어 그레이트 셀렉션 오브 뉴트럴 패브릭스 오버 히어. 아 유 루킹 포 어 스페시픽 머티리얼? 라이크 코튼, 리넨, 오어 메이비 썸띵 헤비어 라이크 벨벳 포 블랙아웃 커튼즈?]
뜻: 네, 이쪽에 무난한 색상의 원단들이 많이 있습니다. 혹시 특정 소재를 찾으시나요? 면, 리넨, 아니면 암막 커튼용으로 벨벳처럼 좀 더 두꺼운 걸 원하시나요? -
표현: A: I think linen would be nice for a natural look. Does it let some light through? I don’t want complete blackout.
발음: [아이 띵크 리넨 우드 비 나이스 포 어 내추럴 룩. 더즈 잇 렛 썸 라이트 쓰루? 아이 돈트 원트 컴플리트 블랙아웃.]
뜻: 자연스러운 느낌을 위해 리넨이 좋을 것 같아요. 빛이 좀 들어오나요? 완전한 암막은 원하지 않거든요. -
표현: B: Yes, linen typically allows some natural light to filter through, creating a soft ambiance. We have some beautiful linen blends as well, which are often easier to care for. Look at this one, it’s a linen-cotton blend.
발음: [예스, 리넨 티피컬리 얼라우즈 썸 내추럴 라이트 투 필터 쓰루, 크리에이팅 어 소프트 앰비언스. 위 해브 썸 뷰티풀 리넨 블렌즈 애즈 웰, 위치 아 오픈 이지어 투 케어 포. 룩 앳 디스 원, 잇츠 어 리넨-코튼 블렌드.]
뜻: 네, 리넨은 보통 자연광이 어느 정도 투과되어 부드러운 분위기를 만듭니다. 관리가 더 쉬운 아름다운 리넨 혼방 원단도 있어요. 이걸 보세요, 리넨-면 혼방이에요. -
표현: A: Oh, this feels nice. It has a lovely texture. How wide is this fabric?
발음: [오, 디스 필즈 나이스. 잇 해즈 어 러블리 텍스처. 하우 와이드 이즈 디스 패브릭?]
뜻: 오, 감촉이 좋네요. 질감이 아주 마음에 들어요. 이 원단 폭은 얼마나 되나요? -
표현: B: This one is 54 inches wide. How many yards do you think you’ll need?
발음: [디스 원 이즈 피프티-포 인치즈 와이드. 하우 매니 야즈 두 유 띵크 유일 니드?]
뜻: 이건 폭이 54인치입니다. 몇 야드 정도 필요하실 것 같으세요? -
표현: A: I need to measure my windows again, but probably around 6 yards. How much is it per yard?
발음: [아이 니드 투 메저 마이 윈도우즈 어게인, 벗 프라버블리 어라운드 식스 야즈. 하우 머치 이즈 잇 퍼 야드?]
뜻: 창문 사이즈를 다시 재봐야 하는데, 아마 6야드 정도 필요할 것 같아요. 1야드당 가격은 얼마인가요? -
표현: B: This blend is $25 per yard. And regarding care, it’s best to machine wash cold on a gentle cycle or hand wash.
발음: [디스 블렌드 이즈 트웬티-파이브 달러즈 퍼 야드. 앤 리가딩 케어, 잇츠 베스트 투 머신 워시 콜드 온 어 젠틀 사이클 오어 핸드 워시.]
뜻: 이 혼방 원단은 1야드당 25달러입니다. 관리에 관해서는, 찬물에 약하게 기계 세탁하거나 손세탁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표현: A: Okay, that sounds manageable. I’ll take 6 yards of this light gray linen-cotton blend, please.
발음: [오케이, 댓 사운즈 매니저블. 아일 테이크 식스 야즈 오브 디스 라이트 그레이 리넨-코튼 블렌드, 플리즈.]
뜻: 네, 관리할 만하네요. 이 라이트 그레이 색상 리넨-면 혼방 원단으로 6야드 주세요. -
표현: B: Great choice! Let me cut that for you right away.
발음: [그레이트 초이스! 렛 미 컷 댓 포 유 라이트 어웨이.]
뜻: 훌륭한 선택입니다! 바로 잘라 드릴게요.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Neutral color: ‘중립적인 색’, 즉 베이지, 회색, 흰색, 검은색 등 다른 색과 무난하게 잘 어울리는 색을 의미합니다. 인테리어나 패션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 Blackout curtains: 빛을 완전히 차단하는 암막 커튼을 의미합니다. 소재가 두껍거나 특수 처리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Filter through: ‘~을 통해 여과되다’, ‘스며들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는 빛이 커튼을 통해 부드럽게 들어오는 것을 묘사합니다.
- Linen blend: 리넨 혼방. 다른 섬유(주로 면이나 폴리에스터)와 섞어 리넨의 단점(구김 등)을 보완하고 장점(통기성, 자연스러운 질감)을 살린 원단입니다.
- Manageable: ‘관리할 수 있는’, ‘다룰 수 있는’ 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는 세탁 방법이 복잡하지 않고 감당할 만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패브릭 관련 지식
패브릭의 세계는 매우 넓고 깊습니다. 기본적인 표현 외에도 알아두면 유용한 추가 정보들을 통해 패브릭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습니다.
1. 흔히 사용되는 원단 혼방 (Common Fabric Blends)
현대 섬유 산업에서는 단일 소재보다는 두 가지 이상의 섬유를 섞어 만든 혼방(blend) 원단이 널리 사용됩니다. 혼방은 각 섬유의 장점을 결합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기능성과 실용성을 높이는 목적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면(Cotton)은 통기성과 흡습성이 좋지만 구김이 잘 가고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반면 폴리에스터(Polyester)는 내구성이 강하고 구김이 적으며 빨리 마르지만, 통기성이 떨어지고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 둘을 섞은 면-폴리에스터 혼방(Cotton-Polyester Blend)은 면의 부드러움과 통기성을 유지하면서 폴리에스터의 구김 방지 및 속건성 장점을 더해 관리하기 편한 원단이 됩니다. 티셔츠, 셔츠, 침구류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됩니다. 또 다른 예로, 울-아크릴 혼방(Wool-Acrylic Blend)은 따뜻하고 고급스러운 울의 장점과 가볍고 저렴하며 관리가 용이한 아크릴의 장점을 결합하여 스웨터나 겨울 의류에 많이 쓰입니다. 스판덱스(Spandex, 또는 Lycra/Elastane)는 신축성이 매우 뛰어나 다른 섬유와 소량 혼방되어 활동성을 높여줍니다. 청바지(면-스판덱스 혼방), 운동복(폴리에스터-스판덱스 혼방) 등이 대표적입니다. 원단의 혼용률(%)을 확인하면 그 특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원단의 직조 방식 이해하기 (Understanding Fabric Weaves)
원단의 질감, 외관, 내구성 등은 섬유를 어떤 방식으로 엮어 만들었는지, 즉 직조 방식(weave)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가장 기본적인 직조 방식은 평직(Plain Weave)으로, 날실(warp)과 씨실(weft)이 한 올씩 번갈아 교차하는 가장 간단하고 일반적인 구조입니다. 표면이 매끄럽고 튼튼하며, 면 캔버스, 리넨, 쉬폰 등이 평직으로 만들어집니다. 능직(Twill Weave)은 씨실이 두 올 이상의 날실 위아래를 교차하며 지나가 사선 무늬(diagonal lines)를 만드는 것이 특징입니다. 평직보다 부드럽고 유연하며 구김이 덜 가고 내구성이 좋습니다. 데님(청바지 원단), 개버딘, 치노 등이 대표적인 능직물입니다. 수자직(Satin Weave)은 날실 또는 씨실이 4올 이상 건너뛰어 교차하여 한쪽 면에 광택이 매우 부드럽게 나타나는 방식입니다. 매우 매끄럽고 드레이프성(drape, 옷감이 자연스럽게 늘어지는 성질)이 좋지만, 마찰에 약하고 올이 걸리기 쉬운 단점이 있습니다. 실크 새틴, 공단 등이 수자직으로 만들어집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변형 직조 방식이 존재하며, 직조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면 원단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패션 및 인테리어 디자인 속 패브릭 용어 (Fabric Terminology in Fashion and Interior Design)
패션이나 인테리어 분야에서는 패브릭의 특성을 묘사하는 전문 용어들이 사용됩니다. Hand는 원단을 만졌을 때 느껴지는 전반적인 감촉이나 질감을 의미합니다. ‘This fabric has a soft hand’는 ‘이 원단은 감촉이 부드럽다’는 뜻입니다. Drape은 원단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늘어지거나 주름지는 방식을 말합니다. 실크나 레이온처럼 드레이프성이 좋은 원단은 우아한 실루엣을 만드는 데 적합합니다. 반면 캔버스처럼 뻣뻣한 원단은 드레이프성이 낮습니다. Texture는 원단 표면의 시각적, 촉각적 질감을 의미하며, smooth(매끄러운), rough(거친), bumpy(울퉁불퉁한), ribbed(골지 무늬의) 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Weight는 원단의 무게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제곱미터당 그램(grams per square meter, gsm) 또는 야드당 온스(ounces per yard)로 표시됩니다. Lightweight(가벼운), medium-weight(중간 무게), heavyweight(무거운) 등으로 구분하며, 계절이나 용도에 맞는 원단을 선택하는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여름 옷에는 lightweight fabric, 겨울 코트에는 heavyweight fabric이 적합합니다. 이러한 용어들을 알아두면 전문가와 소통하거나 제품 설명을 이해하는 데 유용합니다.
패브릭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우리가 매일 접하는 패브릭은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하여 만들어집니다. 섬유의 종류부터 구조, 가공 방식까지, 패브릭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섬유의 종류: 천연 섬유 vs. 인조 섬유 (Fiber Types: Natural vs. Synthetic)
패브릭을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재료는 섬유(fiber)입니다. 섬유는 크게 천연 섬유와 인조 섬유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천연 섬유(Natural Fibers)는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얻어집니다. 대표적인 식물성 섬유로는 목화씨에서 얻는 면(Cotton)과 아마 줄기에서 얻는 리넨(Linen, 마)이 있습니다. 면은 부드럽고 흡습성과 통기성이 뛰어나며, 리넨은 시원하고 내구성이 좋지만 구김이 잘 갑니다. 동물성 섬유로는 양털에서 얻는 울(Wool)과 누에고치에서 얻는 실크(Silk, 견)가 있습니다. 울은 보온성이 뛰어나고 탄력성이 좋으며, 실크는 특유의 광택과 부드러움, 우수한 드레이프성을 자랑합니다.
인조 섬유(Man-made Fibers)는 화학적인 공정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인조 섬유는 다시 재생 섬유와 합성 섬유로 나뉩니다. 재생 섬유는 목재 펄프 등 천연 원료를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만듭니다. 레이온(Rayon)과 모달(Modal), 텐셀(Tencel/Lyocell) 등이 대표적이며, 실크와 유사한 광택과 부드러움, 좋은 흡습성을 가집니다. 합성 섬유는 석유나 석탄 등을 원료로 하여 완전히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만듭니다. 폴리에스터(Polyester), 나일론(Nylon), 아크릴(Acrylic), 스판덱스(Spandex)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내구성이 강하고 구김이 적으며 관리가 용이하지만, 흡습성이나 통기성은 천연 섬유보다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각 섬유의 특성을 이해하면 용도에 맞는 최적의 패브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원단 구조: 직물 vs. 편물 vs. 부직포 (Fabric Construction: Woven vs. Knit vs. Non-woven)
섬유를 실(yarn)로 만든 후, 이 실을 어떤 방식으로 결합하여 면 형태의 원단을 만드느냐에 따라 구조가 달라집니다. 크게 직물, 편물, 부직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직물(Woven Fabric)은 날실(세로 방향 실)과 씨실(가로 방향 실)을 직각으로 교차시켜 짠 원단입니다. 앞서 설명한 평직, 능직, 수자직이 모두 직물의 종류입니다. 직물은 일반적으로 형태 안정성이 좋고 튼튼하며, 신축성은 적은 편입니다 (스판덱스 혼방 제외). 셔츠, 바지, 재킷, 침구, 커튼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편물(Knit Fabric)은 뜨개질처럼 실의 고리(loop)를 연속적으로 엮어서 만든 원단입니다. 직물보다 신축성이 뛰어나고 부드러우며 통기성이 좋은 장점이 있습니다. 티셔츠, 스웨터, 양말, 운동복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편물은 구조적으로 직물보다 올이 풀리기 쉽고 형태 변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부직포(Non-woven Fabric)는 실을 사용하지 않고 섬유 자체를 물리적, 화학적 또는 열적 방법으로 직접 결합시켜 만든 시트 형태의 원단입니다. 생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며, 일회용 마스크, 물티슈, 필터, 포장재, 의료용 가운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내구성이나 강도는 직물이나 편물보다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단의 구조를 알면 그 원단의 신축성, 내구성, 적합한 용도 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원단 마감 및 가공 처리 (Fabric Finishes and Treatments)
원단은 만들어진 상태 그대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특정한 목적이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마감(finishing) 및 가공 처리(treatment)를 거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가공은 염색(Dyeing)과 날염(Printing)입니다. 염색은 원단 전체를 특정 색상으로 물들이는 것이고, 날염은 원단 표면에 무늬나 그림을 찍어내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다채로운 색상과 디자인의 패브릭을 만들 수 있습니다. 기능성을 높이기 위한 가공도 다양합니다. 방수 가공(Waterproofing/Water-repellent finish)은 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아주어 아웃도어 의류나 우산 등에 사용됩니다. 방오 가공(Stain-resistant finish)은 오염 물질이 쉽게 묻거나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카펫이나 가구용 원단에 적용됩니다. 구김 방지 가공(Wrinkle-resistant/Crease-resistant finish)은 면이나 리넨처럼 구김이 잘 가는 원단의 관리를 용이하게 해줍니다. 방축 가공(Shrink-resistant finish)은 세탁 시 원단이 줄어드는 것을 최소화합니다. 이 외에도 자외선 차단(UV protection), 항균(Antibacterial), 방염(Flame retardant) 등 다양한 기능성 가공이 존재합니다. 원단에 어떤 가공 처리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면 사용 목적에 더 적합한 제품을 선택하고 올바르게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마치며: 패브릭 관련 영어, 이제 자신 있게 사용하세요!
패브릭의 세계, 생각보다 흥미롭지 않으셨나요? 오늘 우리는 ‘Fabric’이라는 기본 단어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원단의 종류, 특징, 구매 및 관리에 필요한 영어 표현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또한 실전 대화 예시를 통해 실제 상황에서의 쓰임새를 익히고, 원단의 종류와 구조, 가공법 등 심도 있는 정보까지 알아보았어요.
처음에는 ‘Fabric’ 외에 어떤 단어를 써야 할지 막막했을 수 있지만, 이제는 면(Cotton), 리넨(Linen), 울(Wool), 실크(Silk) 등 구체적인 원단 이름을 자신 있게 말하고, ‘soft’, ‘stretchy’, ‘durable’ 같은 형용사로 그 특징을 묘사할 수 있게 되셨을 거예요! 쇼핑할 때 원하는 원단을 정확히 요청하고, 관리 방법을 묻는 것도 훨씬 수월해지겠죠?
언어 학습은 꾸준함이 중요해요. 오늘 배운 표현들을 잊지 않도록 실생활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해 보세요. 옷장의 옷들을 보며 영어로 소재를 말해보거나, 온라인 쇼핑몰의 영문 상품 설명을 읽어보는 것도 좋은 연습이 될 거예요. 작은 시도들이 모여 큰 자신감으로 이어질 거랍니다!
패브릭에 대한 영어 표현은 패션, 인테리어, 취미 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더 다양한 원단의 세계를 영어로 탐구해 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다시 찾아주시고요. 여러분의 영어 실력 향상을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호텔 체크인 시 알아두면 좋은 영어 표현 모음[영어회화] 호텔 체크인 유용한 영어회화 만나보기](http://harueng.eventlong.com/wp-content/uploads/2024/02/호텔-체크인-유용한-영어회화-만나보기-150x150.webp)

![미용실에서 알아두어야 할 필수 영어회화 표현 [직원편] 미용실 영어회화, 손님이 서비스를 받고 있다](http://harueng.eventlong.com/wp-content/uploads/2024/02/미용실-영어회화-손님이-서비스를-받고-있다-150x150.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