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 완료 시제 마스터하기: Will Have + 과거분사 완벽 정복 가이드
미래의 특정 시점까지 어떤 일이 완료될 것이라고 말하고 싶은데, 영어로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막막했던 경험 있으신가요? “그때쯤이면 나는 이미 ~했을 거야” 같은 말을 자연스럽게 하고 싶지만, 정확한 시제 사용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걱정 마세요! 복잡하게 느껴지는 미래 완료 시제 ‘will have + 과거분사’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자신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핵심 개념부터 실용적인 예문까지 쉽고 체계적으로 알려드릴게요. 이 글을 통해 미래의 완료된 행동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영어 실력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지금부터 저와 함께 미래 완료 시제 전문가가 되어보자고요!
목차
- ‘미래 완료’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 특정 미래 시점까지의 완료 (Completion by a Specific Future Time)
- 다른 미래 사건 이전의 완료 (Completion Before Another Future Event)
- 미래에 대한 가정 또는 추측 (Assumption or Prediction about the Future)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프로젝트 마감 기한 논의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 1. 미래 완료 vs. 미래 단순
- 2. 미래 완료 진행 시제 (Future Perfect Continuous)
- 3. 자주 함께 쓰이는 시간 표현 (Common Time Expressions)
-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구조적 요소: Will + Have + Past Participle
- 2. 의미적 핵심: 미래 시점에서의 완료 (Completion at a Future Point)
- 3. 사용 맥락: 언제, 왜 사용하는가?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미래 완료’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미래의 특정 시점 이전에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완료될 것임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핵심적인 영어 구조가 있습니다. 바로 ‘will have + 과거분사’ 형태입니다. 이 구조는 미래의 완료된 상태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표현: Will have + [Past Participle]
발음: [윌 해브 + 과거분사]
뜻: [미래 특정 시점까지] ~했을 것이다 / ~해 놓았을 것이다
이 표현은 미래의 기준 시점을 설정하고, 그 시점까지 어떤 일이 마무리될 것임을 예측하거나 계획할 때 사용됩니다. 단순히 미래에 할 일을 말하는 것(‘will + 동사원형’)과는 달리, 완료의 의미를 강조하여 표현을 더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만들어 줍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다양한 영어 문장
미래 완료 시제 ‘will have + 과거분사’는 다양한 상황에서 미래의 완료된 행동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정 시점까지의 완료, 다른 미래 사건 이전의 완료, 또는 미래에 대한 추측 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아래 예문들을 통해 구체적인 사용법을 익혀보세요.
특정 미래 시점까지의 완료 (Completion by a Specific Future Time)
가장 일반적인 용법으로, ‘by + 미래 시점’ 또는 ‘in + 기간’과 같은 시간 표현과 함께 쓰여 특정 시간까지 일이 완료될 것임을 나타냅니다.
-
표현: I will have finished my homework by 8 PM.
발음: [아이 윌 해브 피니쉬드 마이 홈워크 바이 에잇 피엠]
뜻: 나는 저녁 8시까지 숙제를 끝냈을 것이다. -
표현: She will have graduated from university by next year.
발음: [쉬 윌 해브 그래쥬에이티드 프롬 유니버시티 바이 넥스트 이어]
뜻: 그녀는 내년까지 대학을 졸업했을 것이다. -
표현: They will have built the bridge by the end of the month.
발음: [데이 윌 해브 빌트 더 브릿지 바이 디 엔드 오브 더 먼쓰]
뜻: 그들은 이달 말까지 그 다리를 건설했을 것이다. -
표현: We will have saved enough money for a new car in two years.
발음: [위 윌 해브 세이브드 이너프 머니 포 어 뉴 카 인 투 이어스]
뜻: 우리는 2년 안에 새 차를 살 충분한 돈을 모았을 것이다. -
표현: By the time you arrive, I will have cleaned the entire house.
발음: [바이 더 타임 유 어라이브, 아이 윌 해브 클린드 디 인타이어 하우스]
뜻: 네가 도착할 때쯤이면, 나는 집 전체를 청소해 놓았을 것이다.
다른 미래 사건 이전의 완료 (Completion Before Another Future Event)
‘by the time + 주어 + 현재 시제 동사’ 구문과 함께 자주 사용되어, 미래의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다른 일이 이미 완료될 것임을 나타냅니다.
-
표현: The movie will have started by the time we get to the cinema.
발음: [더 무비 윌 해브 스타티드 바이 더 타임 위 겟 투 더 시네마]
뜻: 우리가 영화관에 도착할 때쯤이면 영화는 이미 시작했을 것이다. -
표현: He will have left before you call him.
발음: [히 윌 해브 레프트 비포 유 콜 힘]
뜻: 네가 그에게 전화하기 전에 그는 떠났을 것이다. -
표현: By the time the meeting ends, she will have prepared the report.
발음: [바이 더 타임 더 미팅 엔즈, 쉬 윌 해브 프리페어드 더 리포트]
뜻: 회의가 끝날 때쯤이면, 그녀는 보고서를 준비해 놓았을 것이다. -
표현: Will you have eaten lunch by the time I pick you up?
발음: [윌 유 해브 이튼 런치 바이 더 타임 아이 픽 유 업?]
뜻: 내가 너를 데리러 갈 때쯤이면 점심을 먹었을 거니? -
표현: They won’t have finished the project before the deadline.
발음: [데이 원트 해브 피니쉬드 더 프로젝트 비포 더 데드라인]
뜻: 그들은 마감일 전에 프로젝트를 끝내지 못했을 것이다. (won’t = will not)
미래에 대한 가정 또는 추측 (Assumption or Prediction about the Future)
미래의 특정 시점에 어떤 상태나 경험이 완료되었을 것이라고 가정하거나 추측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기간과 함께 쓰여 경험의 누적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
표현: Next month, I will have lived in this city for ten years.
발음: [넥스트 먼쓰, 아이 윌 해브 리브드 인 디스 시티 포 텐 이어스]
뜻: 다음 달이면, 나는 이 도시에 산 지 10년이 될 것이다. -
표현: By 2030, scientists will have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AI.
발음: [바이 투엔티 써티, 사이언티스츠 윌 해브 메이드 시그니피컨트 프로그레스 인 에이아이]
뜻: 2030년까지, 과학자들은 AI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을 것이다. -
표현: He will have traveled to over 20 countries by the time he turns 30.
발음: [히 윌 해브 트래블드 투 오버 트웬티 컨트리즈 바이 더 타임 히 턴즈 써티]
뜻: 그는 30살이 될 때까지 20개국 이상을 여행했을 것이다. -
표현: In five years, this technology will likely have become obsolete.
발음: [인 파이브 이어스, 디스 테크놀로지 윌 라이클리 해브 비컴 옵솔리트]
뜻: 5년 안에, 이 기술은 아마 구식이 되어 있을 것이다. -
표현: How many books will you have read by the end of the year?
발음: [하우 매니 북스 윌 유 해브 레드 바이 디 엔드 오브 디 이어?]
뜻: 올해 말까지 당신은 몇 권의 책을 읽었을 것인가요?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핵심 포인트
‘Will have + 과거분사’ 구문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아두면 좋습니다. 다음 팁들은 실제 대화나 글쓰기에서 이 시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 1. 명확한 미래 기준 시점 설정: 미래 완료 시제는 항상 미래의 특정 기준 시점을 필요로 합니다. ‘by next Friday’, ‘by the time she arrives’, ‘in three years’, ‘before the presentation starts’ 와 같이 명확한 시간 표현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기준 시점이 없다면 문장의 의미가 모호해질 수 있습니다.
- 2. ‘By’와 ‘Until’의 차이 이해: ‘By’는 마감 시한이나 완료 시점을 나타냅니다 (그 시점까지 완료). 반면 ‘Until’은 어떤 상태나 행동이 특정 시점까지 지속됨을 의미합니다. 미래 완료 시제는 완료를 나타내므로 주로 ‘by’와 함께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I will have finished the report by Friday.” (금요일까지 보고서를 끝낼 것이다 – 완료)는 자연스럽지만, “I will have finished the report until Friday.”는 어색합니다.
- 3. ‘By the time’ 구문 활용: ‘By the time + 주어 + 현재 시제 동사’ 구문은 미래 완료 시제와 매우 잘 어울립니다. “By the time you wake up, I will have already made breakfast.” (네가 일어날 때쯤이면, 나는 이미 아침 식사를 만들어 놓았을 것이다.) 처럼, 미래의 한 시점(네가 일어나는 시점) 전에 다른 행동(아침 식사 만들기)이 완료될 것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이때 ‘by the time’ 절의 동사는 현재 시제를 사용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 4. 부정문과 의문문 만들기: 부정문은 ‘will not have + pp’ (축약형 won’t have + pp), 의문문은 ‘Will + 주어 + have + pp?’ 형태로 만듭니다. “He won’t have completed the training by then.” (그는 그때까지 훈련을 완료하지 못했을 것이다.), “Will they have decided by tomorrow?” (그들이 내일까지 결정을 내렸을까요?) 와 같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 5. 미래 단순 시제(Will + 동사원형)와의 구분: 미래 단순 시제는 미래의 행동이나 상태 자체를 나타내는 반면, 미래 완료 시제는 미래 특정 시점까지의 ‘완료’를 강조합니다. “I will finish the project.” (나는 프로젝트를 끝낼 것이다 – 미래의 의지나 계획) 와 “I will have finished the project by Friday.” (나는 금요일까지 프로젝트를 끝냈을 것이다 – 금요일이라는 시점까지의 완료 강조)는 뉘앙스가 다릅니다. 상황에 맞게 구분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 6. 완료의 의미 강조: 이 시제는 단순히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측을 넘어, 그 일이 특정 시점 이전에 ‘끝나 있을 것’이라는 완료된 상태에 초점을 맞춥니다. 따라서 마감 기한, 계획 달성, 경험의 누적 등을 표현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 7. 과거분사(Past Participle) 형태 확인: ‘have’ 뒤에는 항상 동사의 과거분사 형태를 사용해야 합니다. 불규칙 동사의 과거분사 형태(e.g., eat-ate-eaten, go-went-gone, see-saw-seen)를 정확히 알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 동사는 동사원형에 ‘-ed’를 붙입니다 (e.g., finish-finished, work-worked).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프로젝트 마감 기한 논의
상황: 두 동료 Alex(A)와 Ben(B)이 다가오는 프로젝트 마감 기한과 각자의 진행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미래 완료 시제를 사용하여 특정 시점까지 완료될 업무를 명확히 합니다.
-
표현: A: Hey Ben, the project deadline is next Friday. How’s your part coming along?
발음: [헤이 벤, 더 프로젝트 데드라인 이즈 넥스트 프라이데이. 하우즈 유어 파트 커밍 얼롱?]
뜻: 이봐 벤, 프로젝트 마감일이 다음 주 금요일이야. 자네 파트는 어떻게 되어가고 있나? -
표현: B: Hi Alex. It’s going well. I think I will have finished the coding by Wednesday evening.
발음: [하이 알렉스. 잇츠 고잉 웰. 아이 띵크 아이 윌 해브 피니쉬드 더 코딩 바이 웬즈데이 이브닝.]
뜻: 안녕 알렉스. 잘 되어가고 있어. 수요일 저녁까지는 코딩을 끝냈을 것 같아. -
표현: A: Oh, that’s great! So, by the time we have our team meeting on Thursday morning, you will have completed the main programming part?
발음: [오, 댓츠 그레잇! 쏘, 바이 더 타임 위 해브 아워 팀 미팅 온 써스데이 모닝, 유 윌 해브 컴플리티드 더 메인 프로그래밍 파트?]
뜻: 오, 잘됐네! 그럼 목요일 아침 우리 팀 회의 때까지는, 자네가 주요 프로그래밍 부분을 완료했을 거란 말이지? -
표현: B: Exactly. I will have run all the initial tests by then too. What about the documentation?
발음: [이그잭틀리. 아이 윌 해브 런 올 디 이니셜 테스트스 바이 덴 투. 왓 어바웃 더 다큐멘테이션?]
뜻: 맞아. 그때까지 초기 테스트도 모두 실행했을 거야. 문서 작업은 어때? -
표현: A: I’m working on it. I will have written the first draft by Tuesday. Then I’ll need a day for revisions.
발음: [아임 워킹 온 잇. 아이 윌 해브 리튼 더 퍼스트 드래프트 바이 튜스데이. 덴 아일 니드 어 데이 포 리비전스.]
뜻: 작업 중이야. 화요일까지 초안을 작성했을 거야. 그러고 나서 수정하는 데 하루 정도 필요할 것 같아. -
표현: B: Okay. So, you figure you will have finalized the documentation by Thursday afternoon?
발음: [오케이. 쏘, 유 피겨 유 윌 해브 파이널라이즈드 더 다큐멘테이션 바이 써스데이 애프터눈?]
뜻: 알았어. 그럼 목요일 오후까지는 문서 작업을 마무리했을 거라고 생각하는 거지? -
표현: A: Yes, that’s the plan. Hopefully, we will have integrated everything and done the final review by Friday morning.
발음: [예스, 댓츠 더 플랜. 호프풀리, 위 윌 해브 인티그레이티드 에브리띵 앤 던 더 파이널 리뷰 바이 프라이데이 모닝.]
뜻: 응, 그게 계획이야. 잘하면 금요일 오전까지 모든 것을 통합하고 최종 검토를 마쳤을 거야. -
표현: B: Sounds good. It seems we will have met the deadline without too much trouble.
발음: [사운즈 굿. 잇 심즈 위 윌 해브 멧 더 데드라인 위다웃 투 머치 트러블.]
뜻: 좋아. 우리가 큰 문제 없이 마감일을 맞출 수 있을 것 같네. -
표현: A: I hope so! Let’s keep each other updated. By the end of this week, we will have worked on this project for almost three months.
발음: [아이 호프 쏘! 렛츠 킵 이치 아더 업데이트드. 바이 디 엔드 오브 디스 위크, 위 윌 해브 워크드 온 디스 프로젝트 포 올모스트 쓰리 먼쓰.]
뜻: 그러길 바라! 서로 계속 업데이트하자. 이번 주 말이면 우리가 이 프로젝트에 거의 3개월 동안 매달린 셈이 될 거야. -
표현: B: Wow, time flies. Yes, let’s stay in touch. I’m confident we will have delivered a great result by next Friday.
발음: [와우, 타임 플라이즈. 예스, 렛츠 스테이 인 터치. 아임 컨피던트 위 윌 해브 딜리버드 어 그레잇 리절트 바이 넥스트 프라이데이.]
뜻: 와, 시간 빠르다. 그래, 계속 연락하자. 다음 주 금요일까지 우리가 훌륭한 결과물을 내놓았을 거라고 확신해.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미래 완료의 반복 사용: 대화에서 Alex와 Ben은 마감 기한(next Friday)과 중간 목표 시점(Wednesday evening, Thursday morning, Tuesday)을 기준으로 ‘will have + pp’를 반복 사용하여 각자의 업무 완료 시점을 명확히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는 계획과 진행 상황을 논의할 때 매우 효과적입니다.
- ‘By the time’ 활용: Alex는 “by the time we have our team meeting on Thursday morning” 이라는 구체적인 미래 시점을 제시하며, 그 시점까지 Ben의 코딩 작업이 완료될 것인지 확인합니다. 이는 두 가지 미래 사건의 시간적 순서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 완료된 기간 표현: Alex의 마지막 말 “By the end of this week, we will have worked on this project for almost three months.”는 미래 완료 시제를 사용하여 미래 특정 시점(이번 주 말)까지 지속된 행동의 총 기간을 나타냅니다. 이는 경험이나 노력의 누적을 표현할 때 유용합니다.
- 표현 분석: ‘will have run all the initial tests’ – ‘run tests’는 ‘테스트를 실행하다’라는 의미입니다. Ben은 코딩 완료 시점까지 초기 테스트 실행도 완료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run’의 과거분사는 ‘run’입니다 (run-ran-run).
- 표현 분석: ‘will have finalized the documentation’ – ‘finalize’는 ‘마무리하다’, ‘완성하다’는 뜻입니다. Alex가 문서 작업의 최종 완료 시점을 언급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표현들
‘Will have + 과거분사’ 구문을 더 깊이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 관련된 추가 정보와 표현들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미래 시제 표현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고, 더 정확하고 풍부한 영어 구사를 목표로 해봅시다.
1. 미래 완료 vs. 미래 단순
가장 흔하게 혼동하는 부분은 미래 완료 시제(‘will have + pp’)와 미래 단순 시제(‘will + 동사원형’)의 차이입니다. 미래 단순은 미래에 발생할 단순한 사실, 예측, 약속, 즉석 결정 등을 나타냅니다. 반면, 미래 완료는 미래의 특정 시점 이전에 어떤 행동이 ‘완료’될 것임을 강조합니다. 시간 표현과 함께 쓰일 때 그 차이가 명확해집니다.
- 미래 단순: I will finish the report tomorrow. (내일 보고서를 끝낼 것이다 – 미래의 계획/의지)
- 미래 완료: I will have finished the report by tomorrow morning. (내일 아침까지는 보고서를 끝냈을 것이다 – 내일 아침이라는 시점까지의 완료 강조)
상황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뉘앙스가 다르므로, ‘완료’의 의미를 강조하고 싶을 때는 미래 완료 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2. 미래 완료 진행 시제 (Future Perfect Continuous)
미래 완료 시제와 유사하지만 약간 다른 뉘앙스를 가진 시제로 미래 완료 진행 시제(‘will have been + 동사-ing’)가 있습니다. 이 시제는 미래의 특정 시점까지 어떤 행동이 계속 진행 중일 것이며, 그 시점에도 여전히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을 내포합니다. 완료보다는 ‘지속’에 초점을 맞춥니다.
- 미래 완료: By next year, I will have lived here for 10 years. (내년이면 나는 여기서 산 지 10년이 될 것이다 – 10년 거주 완료 상태 강조)
- 미래 완료 진행: By next year, I will have been living here for 10 years. (내년이면 나는 여기서 10년째 살고 있는 중일 것이다 – 10년 동안 계속 살아왔고, 내년에도 살고 있을 것이라는 지속성 강조)
두 시제 모두 미래 특정 시점까지의 기간을 나타낼 수 있지만, 미래 완료는 완료된 상태나 경험에, 미래 완료 진행은 그 시점까지의 지속적인 행위에 더 중점을 둡니다. 어떤 동사(live, work, study 등)는 두 시제 모두 사용 가능하며 의미 차이가 크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3. 자주 함께 쓰이는 시간 표현 (Common Time Expressions)
미래 완료 시제는 특정 미래 시점을 명시하는 시간 표현과 함께 자주 사용됩니다. 이러한 표현들을 익혀두면 문장을 더 자연스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 By + [미래 시점]: by tomorrow, by next week, by the end of the year, by 8 o’clock, by then
- By the time + [주어 + 현재 시제 동사]: by the time you arrive, by the time the class starts
- In + [기간]: in two weeks, in three years’ time (이 경우, ‘지금부터 ~ 후에는 완료될 것’이라는 의미) – 예: In two weeks, I will have finished this course. (2주 후에는 이 과정을 끝냈을 것이다.)
- Before + [미래 시점/사건]: before summer, before the meeting begins
- When + [주어 + 현재 시제 동사] (때로는 가능): When she retires, she will have worked here for 30 years. (그녀가 은퇴할 때, 그녀는 여기서 30년 동안 일한 셈이 될 것이다.) – ‘by the time’과 유사한 의미로 쓰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간 표현들은 미래 완료 시제가 사용될 문맥을 명확하게 해주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주제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Will have + 과거분사’ 구문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을 더 깊이 파고들어 보겠습니다. 구조, 의미, 그리고 실제 사용 맥락을 이해하면 이 시제를 더욱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구조적 요소: Will + Have + Past Participle
미래 완료 시제의 구조는 세 부분으로 나뉩니다.
- Will: 미래를 나타내는 조동사입니다. 주어의 인칭이나 수에 관계없이 항상 ‘will’을 사용합니다.
- Have: 완료 의미를 더하는 조동사입니다. ‘will’ 뒤에 오므로 항상 원형인 ‘have’를 사용합니다. 주어가 3인칭 단수(he, she, it)라도 ‘has’가 아닌 ‘have’를 씁니다. (예: He will have finished.)
- Past Participle (과거분사): 주 동사의 과거분사 형태입니다. 이것이 실제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냅니다. 규칙 동사는 ‘-ed’를 붙이고, 불규칙 동사는 고유의 형태를 가집니다 (예: finished, gone, eaten, made). 정확한 과거분사 형태를 아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 세 요소가 결합하여 “미래의 특정 시점까지 ~했을 것이다”라는 의미를 형성합니다.
2. 의미적 핵심: 미래 시점에서의 완료 (Completion at a Future Point)
미래 완료 시제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완료’입니다. 단순히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측(미래 단순)과는 다릅니다. 이 시제는 미래의 특정 기준점을 설정하고, 그 기준점 이전에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이미 끝나 있을 것임을 명확히 합니다.
- 예시: Imagine it’s Monday. You say, “I will have submitted the proposal by Friday.” (금요일까지는 제안서를 제출했을 것이다.) 이 말은 금요일이라는 미래 시점을 기준으로, 그 시점 또는 그 이전에 ‘제출’이라는 행위가 완료될 것임을 의미합니다. 목요일에 제출할 수도 있고, 금요일 오전에 제출할 수도 있지만, 금요일이 지나기 전에는 완료된다는 뜻입니다.
이 ‘완료’의 개념 때문에 마감 기한, 목표 달성 시점, 특정 시점까지의 경험 누적 등을 표현하는 데 매우 적합합니다.
3. 사용 맥락: 언제, 왜 사용하는가?
미래 완료 시제는 다음과 같은 특정 맥락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계획 및 예측의 구체화: 프로젝트 계획, 여행 일정, 학업 계획 등 미래의 특정 시점까지 완료될 일을 구체적으로 명시할 때 사용합니다. “By the end of the course, students will have learned advanced techniques.” (과정이 끝날 때까지 학생들은 고급 기술을 배웠을 것이다.)
- 경험의 누적 표현: 특정 미래 시점까지 어떤 경험이 얼마나 쌓일지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Next year, we will have been married for 20 years.” (내년이면 우리는 결혼한 지 20년이 될 것이다.)
- 미래 상황에 대한 가정/추측: 미래의 특정 시점에 어떤 상황이 이미 벌어졌을 것이라고 가정하거나 추측할 때 사용합니다. “Don’t call him now; he will have gone to bed already.” (지금 그에게 전화하지 마세요; 그는 이미 자러 갔을 거예요.) (현재 시점에서 미래의 완료된 상태를 추측)
- 두 미래 사건의 순서 명확화: ‘By the time’ 구문과 함께 사용하여, 한 미래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 다른 사건이 완료될 것임을 명확히 할 때 사용합니다. “By the time the guests arrive, we will have prepared everything.” (손님들이 도착할 때쯤이면, 우리는 모든 것을 준비해 놓았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을 이해하면 언제 미래 완료 시제를 사용해야 할지 더 잘 판단할 수 있습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표현하기
자, 이제 ‘will have + 과거분사’라는 미래 완료 시제에 대해 훨씬 더 명확하게 이해하게 되셨을 거예요!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오늘 배운 내용을 차근차근 복습하고 연습하면 미래의 완료된 행동이나 상태를 영어로 자신감 있게 표현할 수 있게 될 겁니다.
핵심은 미래의 특정 기준 시점을 설정하고, 그 시점까지 어떤 일이 ‘완료’될 것이라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에요. ‘by + 시간’, ‘by the time + 절’과 같은 시간 표현과 함께 사용하는 연습을 꾸준히 해보세요. 오늘 배운 다양한 예문들을 소리 내어 읽어보고, 자신만의 문장을 만들어보는 것도 아주 좋은 방법이랍니다!
혹시 미래 완료 진행 시제(‘will have been -ing’)와의 차이가 아직 조금 헷갈리시나요? 괜찮아요! 우선 미래 완료 시제(‘will have + pp’)를 확실히 익히는 데 집중하고, 그 후에 두 시제의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비교하며 학습하면 더 효과적일 거예요. 관련해서 미래 시제 전반에 대한 글이나, 완료 시제(현재완료, 과거완료 포함)를 비교하는 글을 찾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한 작은 실천 계획을 세워보는 건 어떨까요?
- 오늘의 목표: 오늘 배운 미래 완료 예문 5개를 골라 소리 내어 3번씩 읽어보기.
- 내일의 목표: 자신의 미래 계획(예: 다음 주까지 끝낼 일, 내년까지 이루고 싶은 목표)을 미래 완료 시제를 사용해 3문장 이상 영어로 써보기.
- 이번 주 목표: 영어 일기를 쓰거나 영어로 대화할 기회가 있다면, 의식적으로 미래 완료 시제를 한 번 이상 사용해보기!
작은 실천들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든답니다. 꾸준히 연습하면 어느새 미래 완료 시제를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거예요. 영어 공부, 절대 어렵지 않아요! 여러분의 영어 실력 향상을 항상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