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지막을 강조하는 영어 표현: Last but not least vs Finally 완벽 정리
프레젠테이션이나 목록을 마무리할 때, 어떤 표현으로 마지막 항목을 소개해야 할지 고민될 때가 있으시죠? “Finally”와 “Last but not least”는 비슷해 보이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어 혼동하기 쉽습니다. 이 두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을 몰라 중요한 마지막 포인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할까 봐 걱정되셨을 거예요. 걱정 마세요! 이 글을 통해 “Finally”와 “Last but not least”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마지막 항목을 강조하는 다양한 영어 표현들을 쉽고 정확하게 배울 수 있습니다. 이제부터 저와 함께 마지막 순간까지 청중의 집중을 사로잡는 영어 표현 전문가가 되어 보세요!
목차
- ‘마지막 강조’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마지막 강조’ 영어 문장
- 순서상의 마지막을 알릴 때
- 마지막 항목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 발표나 연설을 마무리하며 요점을 정리할 때
- 오랜 기다림 끝의 마지막을 나타낼 때
-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마지막 강조’ 표현 핵심 포인트
-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프레젠테이션 마무리 상황 대화 예시
-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마지막 강조’ 관련 표현들
- 1. 공식적인 자리 vs. 비공식적인 자리의 마무리 표현
- 2. 문화적 차이: 마지막을 강조하는 방식
- 3. 흔히 저지르는 실수와 주의점
- ‘마지막 강조’ 표현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 1. 순서 표시 (Sequence Indication)
- 2. 중요도 강조 (Emphasis)
- 3. 어조 및 격식 설정 (Tone and Formality)
-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마지막을 강조하기
‘마지막 강조’를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목록이나 설명의 마지막 항목을 언급하며 그 중요성을 함께 전달하고 싶을 때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이 있습니다.
-
표현: Last but not least
발음: 라스트 벗 낫 리스트
뜻: 마지막이지만 앞서 언급한 것들만큼 중요한
이 표현은 단순히 순서상 마지막임을 알리는 것을 넘어, 마지막 항목이 다른 항목들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목록의 끝을 알리면서도 그 항목의 가치를 떨어뜨리지 않는 세련된 방법이죠. 공식적인 발표나 글쓰기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핵심 표현: 상황별로 알아보는 ‘마지막 강조’ 영어 문장
마지막 항목을 소개하거나 내용을 마무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영어 표현들을 상황별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각 표현의 뉘앙스를 이해하고 적절한 상황에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순서상의 마지막을 알릴 때
단순히 열거하는 내용의 마지막 순서임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표현들입니다.
-
표현: Finally, I’d like to thank the event organizers.
발음: 파이널리, 아이드 라이크 투 땡크 디 이벤트 오거나이저스.
뜻: 마지막으로, 행사 주최 측에 감사드립니다. -
표현: Lastly, let’s consider the budget.
발음: 라스틀리, 렛츠 컨시더 더 버짓.
뜻: 마지막으로, 예산을 고려해 봅시다. -
표현: To conclude, we need further research.
발음: 투 컨클루드, 위 니드 퍼더 리서치.
뜻: 결론적으로, 우리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
표현: In conclusion, the project was a success.
발음: 인 컨클루전, 더 프로젝트 워즈 어 석세스.
뜻: 결론적으로, 그 프로젝트는 성공적이었습니다.
마지막 항목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
순서상 마지막이지만, 그 중요성이 결코 덜하지 않음을 강조하며 마지막 항목을 소개할 때 사용합니다.
-
표현: Last but not least, remember to stay hydrated.
발음: 라스트 벗 낫 리스트, 리멤버 투 스테이 하이드레이티드.
뜻: 마지막이지만 역시 중요한 것은, 수분 섭취를 잊지 마세요. -
표현: And importantly, we must consider the environmental impact.
발음: 앤 임포턴틀리, 위 머스트 컨시더 디 인바이런멘탈 임팩트.
뜻: 그리고 중요하게, 우리는 환경적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
표현: Most importantly, always be honest with yourself.
발음: 모스트 임포턴틀리, 올웨이즈 비 어니스트 윗 유어셀프.
뜻: 가장 중요하게는, 항상 자신에게 솔직해야 합니다. -
표현: Crucially, communication is key in any relationship.
발음: 크루셜리, 커뮤니케이션 이즈 키 인 애니 릴레이션십.
뜻: 결정적으로, 어떤 관계에서든 소통이 핵심입니다.
발표나 연설을 마무리하며 요점을 정리할 때
긴 설명이나 발표를 마치면서 핵심 내용을 요약하거나 최종 결론을 제시할 때 유용한 표현들입니다.
-
표현: To sum up, our main findings indicate a positive trend.
발음: 투 섬 업, 아워 메인 파인딩스 인디케이트 어 파지티브 트렌드.
뜻: 요약하자면, 우리의 주요 결과는 긍정적인 추세를 나타냅니다. -
표현: In summary, we have three key action items.
발음: 인 서머리, 위 해브 쓰리 키 액션 아이템스.
뜻: 요약하면, 우리에게는 세 가지 핵심 실행 항목이 있습니다. -
표현: To wrap up, I want to reiterate the importance of teamwork.
발음: 투 랩 업, 아이 원트 투 리이터레이트 디 임포턴스 오브 팀워크.
뜻: 마무리하며, 저는 팀워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습니다. -
표현: The bottom line is that we need to increase sales.
발음: 더 바텀 라인 이즈 댓 위 니드 투 인크리스 세일즈.
뜻: 핵심은 우리가 매출을 늘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랜 기다림 끝의 마지막을 나타낼 때
어떤 과정이나 기다림이 길었음을 내포하며 ‘드디어 마지막’이라는 느낌을 전달할 때 “Finally”를 사용합니다.
-
표현: After hours of discussion, we finally reached an agreement.
발음: 애프터 아워즈 오브 디스커션, 위 파이널리 리치드 언 어그리먼트.
뜻: 몇 시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마침내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
표현: He finally finished his homework after midnight.
발음: 히 파이널리 피니시드 히즈 홈워크 애프터 미드나잇.
뜻: 그는 자정이 넘어서야 마침내 숙제를 끝냈습니다. -
표현: The train finally arrived, an hour late.
발음: 더 트레인 파이널리 어라이브드, 언 아워 레이트.
뜻: 기차는 한 시간 늦게 마침내 도착했습니다.
실생활에 바로 적용하는 방법: ‘마지막 강조’ 표현 핵심 포인트
다양한 ‘마지막 강조’ 표현들을 배웠으니, 이제 실생활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볼 차례입니다. 다음 핵심 포인트들을 기억하면 더욱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영어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
- 1. 문맥 파악이 핵심입니다: “Finally”와 “Last but not least”의 가장 큰 차이는 뉘앙스에 있습니다. “Finally”는 주로 순서상의 마지막이나 오랜 기다림 끝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반면, “Last but not least”는 순서상 마지막이지만 내용의 중요성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일 때 사용합니다. 발표나 글에서 마지막 항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다면 “Last but not least”가 더 적절합니다. 단순히 순서를 나타내거나, 지연 끝에 무언가가 일어났음을 말할 때는 “Finally”를 사용하세요.
- 2. 어조와 태도를 고려하세요: 같은 표현이라도 어조에 따라 느낌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Finally”를 안도감이나 약간의 짜증 섞인 톤으로 말하면 ‘드디어 끝났다’는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Finally, the meeting is over!”) 반면, “Last but not least”는 보통 긍정적이고 강조하는 어조로 사용하여 마지막 항목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킵니다. 전달하려는 메시지와 감정에 맞는 어조를 사용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 3. “Last but not least”의 남용을 피하세요: 이 표현은 마지막 항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너무 자주 사용하면 그 효과가 떨어지거나 부자연스럽게 들릴 수 있습니다. 모든 목록의 마지막 항목이 ‘덜 중요하지 않은’ 것은 아니므로, 정말로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을 때 아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때로는 “Lastly”나 “And finally”와 같은 더 간단한 표현이 더 자연스러울 수 있습니다.
- 4. “Finally”의 다양한 쓰임새를 이해하세요: “Finally”는 단순히 ‘마지막으로’라는 뜻 외에도 ‘마침내’, ‘드디어’라는 의미로 훨씬 더 자주 쓰입니다. 오랜 노력이나 기다림 끝에 어떤 결과가 나타났을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After searching for hours, I finally found my keys.”) 이 쓰임새를 잘 이해하면 “Finally”를 더욱 폭넓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5. 대안 표현으로 다양성을 더하세요: 항상 “Finally”나 “Last but not least”만 사용하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표현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To conclude”, “In summary”, “To wrap up” 등은 발표나 글을 마무리할 때 유용하며, “Most importantly”, “Crucially” 등은 마지막 항목의 중요성을 더욱 강하게 부각할 수 있습니다. 표현의 폭을 넓히면 더욱 세련된 영어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
- 6. 공식적인 글쓰기 vs. 비공식적인 대화: “Last but not least”는 약간 격식 있는 느낌을 줄 수 있어 프레젠테이션이나 공식적인 글에 잘 어울립니다. 일상 대화에서는 “And the last thing is…” 또는 간단히 “Lastly…”라고 말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수 있습니다. “Finally”는 격식/비격식 상황 모두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을 기억하세요.
- 7. 명확한 신호 제공하기: 어떤 표현을 사용하든, 마지막 항목이나 결론으로 넘어간다는 것을 청중이나 독자에게 명확하게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표지판’ 역할의 표현들은 내용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잠시 멈추거나 목소리 톤을 조절하는 것도 마지막임을 알리는 좋은 방법입니다.
실전 영어회화 시나리오: 프레젠테이션 마무리 상황 대화 예시
상황 설명: 팀 회의에서 분기별 실적 발표를 마친 후, 마지막으로 중요한 공지사항과 감사 인사를 전하는 상황입니다.
역할:
A: 발표자 (마케팅 팀 리더)
B: 팀원
-
표현: A: …So, those are the main sales figures for the last quarter. Before we open the floor for questions, I have a couple more points.
발음: …소, 도우즈 아 더 메인 세일즈 피겨스 포 더 라스트 쿼터. 비포 위 오픈 더 플로어 포 퀘스천스, 아이 해브 어 커플 모어 포인츠.
뜻: …이상으로 지난 분기의 주요 매출 수치를 말씀드렸습니다. 질의응답 시간을 갖기 전에, 몇 가지 더 말씀드릴 점이 있습니다. -
표현: B: Okay, sure.
발음: 오케이, 슈어.
뜻: 네, 알겠습니다. -
표현: A: Firstly, please remember the deadline for the new campaign proposal is this Friday. Secondly, we’ll have a brief team workshop next Monday morning to brainstorm ideas.
발음: 퍼스틀리, 플리즈 리멤버 더 데드라인 포 더 뉴 캠페인 프로포절 이즈 디스 프라이데이. 세컨들리, 윌 해브 어 브리프 팀 워크샵 넥스트 먼데이 모닝 투 브레인스톰 아이디어스.
뜻: 첫째, 새로운 캠페인 제안 마감일이 이번 주 금요일이라는 점을 기억해 주십시오. 둘째, 다음 주 월요일 오전에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을 위한 간단한 팀 워크숍이 있을 예정입니다. -
표현: B: Got it. Friday deadline and Monday workshop.
발음: 갓 잇. 프라이데이 데드라인 앤 먼데이 워크샵.
뜻: 알겠습니다. 금요일 마감, 월요일 워크숍이군요. -
표현: A: Exactly. And finally, I want to address the upcoming team-building event. The details will be sent out later today.
발음: 이그잭틀리. 앤 파이널리, 아이 원트 투 어드레스 디 업커밍 팀빌딩 이벤트. 더 디테일스 윌 비 센트 아웃 레이터 투데이.
뜻: 맞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곧 있을 팀 빌딩 행사에 대해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오늘 오후에 발송될 예정입니다. -
표현: B: Oh, great! Looking forward to that.
발음: 오, 그레잇! 루킹 포워드 투 댓.
뜻: 오, 잘됐네요! 기대됩니다. -
표현: A: Me too. Now, moving on to acknowledgements. I’d like to thank Sarah for her excellent data analysis and John for his creative input on the visuals.
발음: 미 투. 나우, 무빙 온 투 애크날러지먼츠. 아이드 라이크 투 땡크 사라 포 허 엑설런트 데이터 어낼리시스 앤 존 포 히즈 크리에이티브 인풋 온 더 비주얼스.
뜻: 저도요. 이제 감사 인사를 드릴 차례입니다. 훌륭한 데이터 분석을 해준 Sarah와 시각 자료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더해준 John에게 감사합니다. -
표현: A: And last but not least, I want to give a huge thank you to the entire team for your hard work and dedication this quarter. We couldn’t have achieved these results without everyone’s contribution.
발음: 앤 라스트 벗 낫 리스트, 아이 원트 투 기브 어 휴즈 땡큐 투 디 인타이어 팀 포 유어 하드 워크 앤 데디케이션 디스 쿼터. 위 쿠든트 해브 어치브드 디즈 리절츠 위다웃 에브리원스 컨트리뷰션.
뜻: 그리고 마지막이지만 역시 중요하게, 이번 분기 동안 팀 전체의 노고와 헌신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모든 분의 기여 없이는 이러한 결과를 달성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
표현: B: Thank you for the acknowledgement! It was a team effort indeed.
발음: 땡큐 포 디 애크날러지먼트! 잇 워즈 어 팀 에포트 인디드.
뜻: 인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팀의 노력이었습니다. -
표현: A: Absolutely. Okay, that concludes my presentation. Are there any questions?
발음: 앱솔루틀리. 오케이, 댓 컨클루즈 마이 프레젠테이션. 아 데어 애니 퀘스천스?
뜻: 물론입니다. 네, 이것으로 제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질문 있으신가요?
회화 포인트 및 표현 분석
- “Finally” vs. “Last but not least”의 활용: 발표자 A는 공지사항 목록(마감일, 워크숍, 팀 빌딩)의 마지막 항목을 소개할 때 “Finally”를 사용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순서상 마지막임을 나타냅니다. 반면, 감사 인사를 전할 때는 특정 인물들을 언급한 후, 팀 전체에 대한 감사를 마지막에 전하며 “Last but not least”를 사용했습니다. 이는 팀 전체에 대한 감사가 앞서 언급된 개인들에 대한 감사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 명확한 구조화: 발표자는 “Firstly”, “Secondly”, “Finally”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여 공지사항을 명확하게 구조화했습니다. 이는 듣는 사람이 정보를 쉽게 따라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 긍정적인 마무리: 팀 전체에 대한 감사를 “Last but not least”와 함께 전달함으로써, 발표를 긍정적이고 팀의 사기를 높이는 방식으로 마무리했습니다.
- 표현 분석 1: “Open the floor for questions” – ‘질의응답 시간을 갖다’, ‘질문을 받기 시작하다’라는 의미의 관용적인 표현입니다. 프레젠테이션이나 회의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표현 분석 2: “Give a huge thank you to…” – ‘~에게 큰 감사를 표하다’라는 의미로, 감사의 마음을 강조하여 전달할 때 사용합니다. “Thank you”보다 더 강조된 표현입니다.
더 알면 좋은 추가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마지막 강조’ 관련 표현들
‘마지막’을 나타내는 표현은 단순히 순서나 중요성을 넘어 다양한 뉘앙스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알아두면 좋은 추가 정보와 표현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공식적인 자리 vs. 비공식적인 자리의 마무리 표현
상황의 격식 수준에 따라 마무리 표현을 다르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식적인 프레젠테이션이나 보고서에서는 좀 더 구조화되고 명확한 표현이 선호되는 반면, 친구와의 대화나 편안한 자리에서는 간결하고 자연스러운 표현이 어울립니다.
공식적인 상황:
- In conclusion, … (결론적으로, …) – 논리적인 결론을 제시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To summarize, … (요약하자면, …) – 앞서 말한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할 때 사용합니다.
- To reiterate the main point, … (핵심 요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 – 가장 중요한 메시지를 반복하여 강조할 때 유용합니다.
- With that, I’ll conclude my remarks. (이것으로 제 말씀을 마치겠습니다.) – 연설이나 발표의 공식적인 종료를 알릴 때 사용됩니다.
비공식적인 상황:
- So, basically, … (그래서, 기본적으로는…) – 핵심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며 말할 때 흔히 쓰입니다.
- Anyway, the point is… (어쨌든, 요점은…) – 다른 이야기를 하다가 본론으로 돌아와 핵심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 Long story short, … (간단히 말해서, …) – 긴 이야기를 짧게 요약해서 결론만 말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 And yeah, that’s about it. (그리고 네, 그게 다예요.) – 할 말을 다 했음을 편안하게 알릴 때 사용합니다.
상황에 맞는 표현을 선택하는 것은 의사소통의 명확성을 높이고 적절한 인상을 주는 데 중요합니다.
2. 문화적 차이: 마지막을 강조하는 방식
마지막 요점을 강조하는 방식은 문화권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서구권 문화, 특히 미국에서는 프레젠테이션이나 논의에서 마지막에 핵심 메시지나 행동 촉구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The bottom line is…”, “The key takeaway is…” 와 같은 직접적인 표현이 자주 사용됩니다. 이는 결론을 명확히 하고 청중이 무엇을 기억해야 하는지 확실히 하려는 의도입니다.
반면, 일부 동양 문화권에서는 결론을 직접적으로 강조하기보다는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자연스럽게 마무리하거나, 여운을 남기는 방식을 선호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마지막 강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표현 방식이 좀 더 간접적이거나 부드러울 수 있습니다. 국제적인 환경에서 소통할 때는 이러한 문화적 차이를 인지하고, 상대방의 스타일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습니다. 명확성이 중요한 비즈니스 상황에서는 서구식의 직접적인 마무리 방식을 따르는 것이 오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흔히 저지르는 실수와 주의점
마지막 강조 표현을 사용할 때 몇 가지 흔한 실수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Finally”와 “At last”의 혼동: “Finally”와 “At last”는 둘 다 ‘마침내’, ‘드디어’라는 의미를 가지지만, “At last”는 종종 더 강한 안도감이나 때로는 약간의 불만(오래 기다렸다는)을 내포합니다. (“At last, the bus is here!”) 순서상의 마지막을 의미할 때는 “Finally”나 “Lastly”가 더 적합합니다.
- “Last” 와 “Lastly”: “Last”는 형용사(마지막의)나 명사(마지막 것)로 주로 쓰이고, “Lastly”는 부사(마지막으로)로 쓰여 목록의 마지막 항목을 소개할 때 사용됩니다. (“Last, we need to check the results.” 보다는 “Lastly, we need to check the results.”가 문법적으로 더 정확합니다.)
- 과도한 강조 표현 사용: “Most importantly”, “Crucially”, “Above all”과 같은 강조 표현을 한 연설이나 글에서 너무 많이 사용하면, 정말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가장 핵심적인 내용에만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마무리 신호 없이 갑자기 끝내기: “Finally”, “In conclusion” 등의 마무리 신호 없이 갑자기 발표나 말을 끝내면 청중이 당황하거나 내용 정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적절한 마무리 표현으로 끝맺음을 알리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유의하면 마지막 강조 표현을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강조’ 표현의 핵심 요소: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마지막 강조’ 표현들이 효과적인 의사소통 도구가 되는 이유를 세 가지 핵심 요소로 나누어 분석해 볼 수 있습니다: 순서 표시, 중요도 강조, 그리고 어조 및 격식 설정입니다. 이 요소들을 이해하면 어떤 상황에서 어떤 표현을 선택해야 할지 더 명확해집니다.
1. 순서 표시 (Sequence Indication)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목록이나 절차의 마지막 단계임을 알리는 것입니다. “Finally”, “Lastly”, “To conclude”와 같은 표현들은 듣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에게 ‘이제 마지막 내용입니다’라는 명확한 신호를 줍니다. 이는 정보의 구조를 파악하고 내용을 정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여러 단계를 설명한 후 “Finally, you need to save the document.”라고 말하면, 듣는 사람은 이것이 과정의 마지막 단계임을 즉시 인지하고 모든 절차가 끝났다고 이해하게 됩니다. 이러한 순서 표시는 복잡한 정보를 전달할 때 청중의 이해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중요도 강조 (Emphasis)
“Last but not least”, “Most importantly”, “Crucially”, “Above all”과 같은 표현들은 단순히 순서상 마지막임을 넘어, 그 내용의 중요성을 부각하는 역할을 합니다. “Last but not least”는 마지막 항목이 앞선 항목들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여 마지막까지 청중의 집중을 유지시킵니다. “Most importantly”나 “Crucially”는 여러 요점 중에서도 이것이 가장 핵심적이거나 결정적인 내용임을 명확히 하여, 청중이 반드시 기억해야 할 사항으로 각인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발표의 핵심 메시지나 설득의 마지막 논거를 제시할 때 이러한 강조 표현을 사용하면 전달력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3. 어조 및 격식 설정 (Tone and Formality)
어떤 마무리 표현을 선택하는지는 대화나 글의 전체적인 어조와 격식 수준을 설정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In conclusion”, “To summarize” 등은 비교적 공식적이고 학술적이거나 비즈니스적인 맥락에 잘 어울립니다. 이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을 보여줍니다. 반면, “So, basically…”, “Anyway, the point is…” 와 같은 표현은 좀 더 비공식적이고 대화적인 느낌을 줍니다. “Last but not least”는 격식 있는 자리와 약간 덜 격식적인 자리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약간의 무게감을 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Finally”는 사용되는 문맥과 어조에 따라 격식 수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예: 안도감을 나타낼 때는 비격식적, 순서를 나타낼 때는 중립적). 상황과 대상에 맞는 표현을 선택하여 원하는 분위기와 격식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자신감 있게 영어로 마지막을 강조하기
이제 “Finally”와 “Last but not least”의 차이점을 명확히 아시겠죠? 단순히 순서상 마지막을 알릴 때는 “Finally”나 “Lastly”를, 마지막 항목의 중요성을 함께 강조하고 싶을 때는 “Last but not least”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점! 기억해주세요~.
이 외에도 “To conclude”, “In summary”, “Most importantly” 등 다양한 표현들을 배우셨으니, 이제 여러분의 영어 표현 능력은 한층 더 풍부해졌을 거예요! 처음에는 어떤 표현을 써야 할지 조금 망설여질 수도 있지만, 자꾸 사용해보는 것이 중요해요. 오늘 배운 표현들을 실제 대화나 글쓰기에 적용해보세요. 예를 들어, 친구에게 주말 계획을 이야기할 때 마지막 계획을 “Last but not least, I’m planning to just relax at home!” 처럼 말해보는 건 어떨까요? 작은 시도들이 모여 큰 자신감이 된답니다!
프레젠테이션을 하거나 이메일을 쓸 때도 의식적으로 마무리 표현을 사용해보세요. 처음에는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연습을 통해 금방 자연스러워질 거예요. 영화나 미드를 볼 때 등장인물들이 마지막을 어떻게 강조하는지 유심히 들어보는 것도 좋은 학습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원어민들이 사용하는 표현을 접하면서 감각을 익히는 거죠!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영어로 소통할 때 마지막 순간까지 명확하고 자신감 있게 여러분의 생각을 전달하시기를 바랍니다. 꾸준히 연습하고 적용하는 당신의 노력을 응원합니다! 파이팅!